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활
생계
생명
인생
목숨
생애
라이프
d라이브러리
"
삶
"(으)로 총 2,313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의 신비를 파헤치는 즐거움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살고있는 지구를 이해못하고 과연 인간이 영원한
삶
을 누릴 수 있을까? 지구가 탄생한 이래 오늘날까지 생존해온 생물의 역사를 더듬어 보면 그 엄청나게 많은 종류에 깜짝 놀랄 것이다. 그들을 한 종류씩만 모아 놓아도 아마도 지구 땅덩어리만 할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얼마 살지 ... ...
달력이 탄생되기 까지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인류역사와 함께 그 내용을 채워나가고 있는 것일까. 우리의 관심을 현재로, 우리의
삶
더욱 가까이로 여행시켜 보는 것은 더욱 흥미롭고 유익한 일이 되지 않을까 ... ...
이상한 사고가 자주 일어난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하면 안구의 온도가 높아지고 로봇이 사람을 죽인다.전자공학의 발달이 인류의 풍요로운
삶
에 큰 보탬이 돼온 것은 사실. 그러나 전자제품이 범람하게 됨에 따라 예기치 않았던 부작용들이 꼬리를 물고 나타나고 있다. 그 가운데 최근 주목받고 있는 것이 소위 '전자스모그'.스모그라고 하면 1952년 ... ...
정글의 지게차 코끼리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코끼리 조련사들은 에덴의 동산에서 잊혀져버린 인간과 동물과의 완전한 조화와 같은
삶
을 재현하고 있다. 코끼리 조련사들은 자신들의 회색의 친구인 코끼리 등 위에 앉아서 잠을 자기까지 한다. 그동안 코끼리는 그 아래에서 자신의 귀를 펄럭이며 더위를 식힌다. 기계화된 현대에도 타이에선 ... ...
구멍뚫린 방사능 오염 감시체제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투영된다.결국 이점만이 생각하며 그럭저럭 살아가다 순식간에 죽음을 맞는 것도
삶
의 한 형태가 될 수는 있겠지만 그보다는 그늘속에 감추어진 문명의 뒷모습을 더욱 밝게 조명해보고 나아가 위험을 보다 줄이려는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바른 문명인의 자세가 아닐까 싶어지는 것이다.국민에 ... ...
신비의 섬 발리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않다는것이 학자들의 견해이다. 발리섬사람들은 제례(祭禮)를 통해 생활의 활력을 얻고
삶
의 리듬을 조정한다는 것이다.최근에는 수많은 관광객들을 위해 발리섬의 웬만한 호텔에서는 이곳의 춤과 제례, 그리고 민속악기의 연주를 보여준다.그러나 이것은 하나의 '연출' 간략화하고 ... ...
지구과학 박물관과 과학관을 최대한 활용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진지한 사람, 웃으며 손짓하는 사람 등 여러 사람들의 모습 속에서 과학에 대한 탐구심이
삶
의 일부로 스며 있으리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미국인의 자연에의 도전과 개척 정신은 자연을 배우고 이해하면서 얻어진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그러나 좋은 시설과 여건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 ...
로봇 인공지능 갖는 인간의 동반자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무정한 존재가 더이상 아니다. 그들은 답답한 공장에서 우리의 세계로 나와 우리와 함께
삶
을 영위하게 된다.우선 가정의 로봇화가 보편화 될 것이다. 난방 냉방 조명 경보장치 환기 폐쇄회로TV 등의 모든 것이 집의 중앙 컴퓨터의 지시에 따라 움직인다. 따라서 집을 사려는 사람은 복덕방에서 이 ... ...
PART Ⅲ 곰팡이·버섯류 유용물질 생산하는 자연계 청소부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예가 지의류(地衣類). 약 2만여종이 알려져 있는 지의류는 균류와 조류(藻類)가 함께
삶
을 꾸려나가는데, 균류는 물과 광물질을, 조류는 광합성을 통한 탄화수소를 서로 주고받는다. 지의류는 적도에서부터 극지방까지 다른 생명체가 거의 살 수 없는 곳에서도 번성하며 물이 없는 사막이나 암석 ... ...
우리나라의 10대성교육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성교육에는 두가지 목적이 있다. 하나는 성 그 자체에 대한 교육이고 다른하나는 성과
삶
, 성과 인격, 성과 사회생활등과 같이 성에 관련된 문제를 다루는 교육이다.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현대적 의미의 성교육이란 옛날에도 없었고 지금도 없다. 왜냐하면 오랜동안 유교문화에 젖어왔기 때문에 ... ...
이전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