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이 살아있다! 캐나다에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망가니즈(망간)에 영향을 받으면서 온몸의 뼈가 윤기 나는 검은색으로 치환됐다. 황금
빛
액자에 담긴 블랙뷰티를 잔잔하게 흐르는 클래식 음악과 함께 들여다보는 느낌은 마치 내가 중생대에 가있는 듯 했다.지질학적으로 뚜렷한 특징이 있는 나라의 박물관들은 대개 그 특징을 활용한다. ... ...
[life & tech]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다이빙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가득 박힌 별들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반짝이는 은하수와 유성도 보였다. 에메랄드
빛
바다와 그 속에 사는 해양 생물들은 정말 아름다웠고, 수많은 궁금증과 책임감을 느끼게 했다. 열대바다가 남긴 강렬한 추억은 언젠가 바다와 생물들이 잃어버린 것을 돌려 주는 힘이 돼 줄 것이다.“다시 ... ...
암흑물질 3파전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오늘날의 우주 구조와 비교하면 존재를 아는 데 도움이 된다.입자가 만약 질량이 없으면
빛
의 속도로 움직일 수 있다(광자는 질량이 0이다). 질량이 있으면 그만큼 느려진다(상호작용이 생긴다). 중성미자는 질량이 아주 작으므로 빠르게 움직인다. 비유하자면 운동성이 좋다. 급팽창 전 우주 초기에 ... ...
홍합으로 망가진 뼈 살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붙어사는 연체동물이에요. 빗방울 모양으로 매끈하게 빠진 보라색 껍데기가 검은색
빛
을 내며 반짝이죠. 속살이 붉어서 홍합이랍니다. 밀물 때는 바닷물에 잠겼다가 썰물 때는 물 밖으로 드러날 수 있는 연안에서부터 수심이 20m쯤 되는 곳까지 살 수 있어요. 사람들은 달콤하고 향긋한 우리를 ... ...
거울로 만든 요술 상자, 만화경 만들기
수학동아
l
2012년 10호
비친 자신에게 늘 이렇게 질문을 하곤 한다. 거울은 사과와 함께 백설공주의 상징으로,
빛
의 반사를 이용해 물체의 모습을 비추는 신기한 물건이다.거울의 시작은 매우 오래 전인 청동기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에는 지금과는 다르게 청동으로 거울을 만들었다. 물건의 모습을 비추는 ... ...
수학동아 열혈독자를 만나다! 2013 최연소 서울과학고 합격생 정재훈
수학동아
l
2012년 10호
수 없을 것 같았던 서울과학고 진학이라는 꿈은 현실이 됐다.재훈 군은 이제 우리나라를
빛
낼 수학자·과학자가 되기 위해 더 열심히 공부하겠다고 말했다. 이러한 재훈 군의 두 번째 꿈이 이뤄지길 도 힘껏 응원한다.담임교사 이지연 쌤(광신중 수학교사)의 한 마디!영재고를 준비하는 ... ...
안전 불 밝히는 ‘안개 가로등 ’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쏜 뒤 두
빛
이 부딪혀 흩어지는 정도를 측정하면 거리를 잴 수 있어요. 안개가 심할수록
빛
이 더 많이 흩어지거든요. 그리 자동차가 지나가는지 실시간으로 파악해요. 만약 시정거리가 200m보다 짧다면 시스템은 안개등을 켠답니다.전문가들은 안개등을 30m 간격으로 설치해 자동차가 지나갈 때마다 ... ...
전문가 3인과 함께하는 뉴칼레도니아에서 보물찾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산호초색은 햇
빛
이 반사되는 파장에 의해 결정된다. 바다에서는 주로 플랑크톤이 햇
빛
을 반사하는데, 열대 지역 바다에서는 산호가 플랑크톤을 흡수해 바닷물이 투명하게 보인다.보물을 찾느라 뒤쫓아 오는 여러분이 안 보였지 뭐예요…. 그래도 어쨌든 절 찾았으니 여기를 함께 봐요. 정말 ... ...
2012 열대해양체험단, 남태평양을 품다!
수학동아
l
2012년 10호
인공 호수에서 동물클랑크톤을 채집해 관찰하는 실험을 했어요. 밤에 손전등을 비추면
빛
을 좋아하는 동물플랑크톤이 모여요. 그럼 촘촘한 체로 떠올려 채집했지요.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니 다양한 플랑크톤들이 끊임없이 움직이는 게 보였어요.흥미로웠던 건 ‘게가 어린 시절 한때 ... ...
대한민국의 공기를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플라스마 상태로 만든다. 순간적으로 2만℃까지 가열한 뒤 냉각시키면
빛
이 나오는데, 이
빛
을 분광기로 관측하면 어떤 원소가 들어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레이저는 고정하고 입자를 조종해 레이저 경로를 지나가게 한다. 입자가 없는 깨끗한 공기를 불어넣어서 입자가 한데 뭉치게 만드는 ... ...
이전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