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때"(으)로 총 22,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허블 우주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졸이게 한 이 망원경의 정체가 뭘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허블 우주망원경Part1. [기획] 허블 우주망원경 이번에도 부활했다!Part2. [기획] 대체 불가! 허블 우주망원경의 업적 Best5Part3. [기획] 허블 우주망원경 또 고장나면 어떤담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맞진 않을까 걱정하기도 했죠. 구름은 물 분자가 뭉친 물방울들이 눈에 보이는 것이기 때문에, 반드시 하늘에서만 만들어지는 건 아니에요. 섭섭박사는 뜨거운 물, 얼음, 성냥 연기로 유리병 속에 구름을 만들었죠. 영상을 보고 나만의 구름 만들기 도전?! ●영상 제목뭉게뭉게 구름을 만들어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똑똑한 코딩 로봇 ‘에이전트’로 건축을 뚝딱!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왼쪽과 오른쪽에 모두 블록이 있다면 에이전트는 왼쪽에 있는 블록을 먼저 감지하기 때문에 왼쪽으로 이동한답니다. 마찬가지로 세 갈래 길이 나온다면 가장 먼저 감지된 앞으로 이동하지요. 이렇게 작성된 코드의 위에서부터 아래로 차례로 실행되는 것을 ‘순차구조’라고 말해요 ... ...
- 산타클로스와 순록 배달팀을 소개합니다~!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6호
- 그 결과, 산타는 1초에 2,278km를 이동한다는 결론이 나왔어요. 비행기로 같은 거리를 갈 때 약 2시간 반이 걸린다는 걸 생각하면 어마어마한 속도지요. 비행기의 속도는 시속* 900km예요.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산타는 한 집 당 0.0003초만에 선물을 배달할 정도로 빠르게 이동한답니다. (*시속: 어떤 ... ...
- 우동수비대 우동이의 일기 “지역특파원과 멘토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체험관과 분양관으로 나뉘어 있었습니다. 금강앵무속에 속하는 한스마카오는 날 때부터 아팠던 아이라 변이 묽고 변의 형태가 정상과는 달랐습니다. 활발하고 정형행동을 보이지는 않았으나, 사육사가 30~40분 정도 자유롭게 풀어놓아도 앵무는 발과 입만 이용해서 움직였습니다. 좁은 사육공간으로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확장팩으로 짜릿함 UP! 그래비트랙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않습니다.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를 이용하거든요. 액션 스톤이 높은 곳에 있을 때는 위치에너지가 크고, 운동에너지는 작습니다. 이후 트랙을 따라 아래로 움직이기 시작하면 위치에너지가 작아지고 운동에너지는 커져서, 액션 스톤의 움직임이 빨라져요. 이 힘에 의해 액션 스톤이 트랙을 따라 ... ...
- [만랩! 디지털 리터러시] 악성 온라인 범죄, 멈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등)의 디지털 기기를 사용한 뒤 반드시 로그아웃해요. 온라인 범죄로 피해를 당했을 때는 부모님에게 먼저 알리고, 경찰청 사이버수사국에 신고해요. 이번 호 미션 2명을 선정해 선물을 드립니다.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온라인 범죄가 늘고 있어요. 그 이유와 범죄 예방법에 대해 의견을 나눠 ... ...
-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우리가 최고의 댄싱팀! 찌르레기 춤의 비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6호
- 무리에는 리더가 없어요. 보통 여러 사람이 힘을 합쳐 하나의 작품을 완성해야 할 때는 리더가 있기 마련이죠. 참여하는 모든 사람은 리더가 이끄는 대로 완벽하게 따라야 하고요. 하지만 찌르레기 무리는 수가 너무 많아서 한 마리의 리더를 모두가 따라가기 힘들어요. 대신 찌르레기는 자기 주위에 ... ...
- [기획] 허블 우주망원경 이번에도 부활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문제인지 찾아내고 해결하는 게 제 임무죠. Q정말 멋있네요! 이 일을 하며 가장 힘들 때가 언제인가요?1990년 발사된 허블 우주망원경은 지금까지 천문학 영역에서 활약하고 있답니다. 30년 동안 수많은 과학자가 허블을 통해 별과 우주를 연구해왔어요. 따라서 망원경을 수리하고 보수하는 일이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이는 발톱도 마찬가지예요. 혈관과 신경이 없고 죽은 세포로 이뤄져 있어서 잘라낼 때 아프지 않아요.그런데 죽은 세포로 이뤄진 손톱은 어떻게 계속 자라는 걸가요? 그 비밀은 손톱의 가장 안쪽 아래에 있는 ‘조근’에 있어요. 조근은 손톱 아래쪽 반달 모양으로 하얀 부분인 ‘조반월’ 아래에 ... ...
이전2232242252262272282292302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