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도시공원은 또 하나의 생태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직접 지도에 등록하는 시스템이에요. 지금까지 등록된 1179건의 데이터 중 식물이 630건으로 가장 많았고, 곤충 286건, 조류 183건, 양서파충류 26건, 어류 12건, 생태계 교란종 5건 등이 있답니다. 수원시 정자동에서는 도심에서 흔히 볼 수 없는 오색딱따구리, ...
- [Culture] 비틀스의 ‘In My Life’ 진짜 작곡가는?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다양한 어휘를 쓰는 사람도 구분할 수 있다.스타일측정법이 학계에서 인정받기 시작한 건 1964년 미국 하버드대 통계학자인 데이비드 월러스와 프레데릭 모스텔러가 ‘연방주의자 논집(The Federalist Papers)’의 저자를 찾아내면서부터다.연방주의자 논집은 1787년 10월~1788년 8월 알렉산더 해밀턴, 제임스 ... ...
- Intro. SHOW ME THE 9수학동아 l2018년 10호
- 참석하려면 퀴즈를 풀어야 한대요. 정답은 9와 관련이 있다는데…, 설마 참석 못하는 건 아니겠죠? 정답을 알면 제게 귀띔 좀 해주세요. 파티는 함께 즐겨야 제맛이잖아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1. '미스터 9’의 신기한 마술쇼!Part2. 도전! ‘구연환’을 풀어라Part3. 9를 사랑한 음악가 ... ...
- Part 3. 9를 사랑한 음악가 콘서트수학동아 l2018년 10호
- 돌이켜보면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능력을 키워준 것 같아요. 수학 문제를 푸는 건 논리와 사고의 흐름을 정리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해요. 물론, 제 수학 점수는 공개하지 않겠습니다!4(이용) 음악은 수학에 속한 학문이었던 걸로 알고 있어요. 완전히 같지 않지만, 부분적으로 필요할 때가 있는 것 ... ...
- In My Life 누가 작곡했을까?수학동아 l2018년 10호
- 이 모형의 경우 데이터가 한정돼 있어 모형이 정교해진다고 해서 더 신뢰할 수 있는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진짜 진실이 밝혀질 날을 기대해 본다. ● 마크 클리크먼 - 미국 하버드대학교 통계학과 교수 Q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저는 주로 게임과 스포츠 경기를 분석하는 통계적 방법을 ... ...
- [이승재의 매스일레븐] 강팀 이겨야 유리한 새로운 FIFA 랭킹 시스템수학동아 l2018년 10호
- 2018년 8월 16일 국제축구연맹(FIFA)의 발표에 세계 축구팬의 이목이 쏠렸습니다. 강팀을 이겨야 순위가 더 올라가는 새로운 FIFA 랭킹 시스템을 적용한 첫 순위를 공개했거든 ... 다시 생겨난 만큼 새로운 평점 시스템과 함께 다시 한번 한국 축구의 희망찬 발전을 기대해 보는 건 어떨까요 ... ...
- Part 3. 하늘을 가르는 거대한 비행기의 위협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저를 데려다 줬지요. 신나게 벌레를 먹는데 갑자기 뒤에서 집채만 한 새가 날아갔어요! 저건 뭐지? 공항 주변에는 사람이나 들짐승이 거의 없기 때문에 곤충이 많이 살아요. 그래서 이를 먹기 위해 모여든 새와 비행기가 충돌하는 ‘버드 스트라이크’가 일어나기 쉽지요. 그런데 몸무게가 1~2kg밖에 ... ...
- [에디터 노트] 우주군(軍)과 존 레넌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현실이 된다.전쟁의 분위기가 짙어질수록 인간은 평화를 갈망한다. 우리에게 필요한 건 ‘제다이 기사’가 아니라 존 레넌의 꿈이다. 천국도, 지옥도 없는, 누구도 죽이지 않고, 죽지 않는.‘우리 위에는 오직 하늘만 있고, 모두가 하나 되어 사는 세상을 상상해 보아요(‘imagine’ 가사 中)’ ... ...
- [시사기획] 땅이 가라 앉는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넣어 시멘트가 유실되지 않게 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개발을 담당한 한중근 중앙대 건설환경플랜트공학과 교수는 “수용성 폴리머로 캡슐을 제작해 캡슐이 서서히 녹는다”며 “시멘트가 굳을 때까지 시간을 벌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기존 공법을 개선한 굴착 공법도 함께 개발 중이다. 수직 ... ...
- [Issue] 뇌는 커지고, 얼굴은 작아졌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만지면 말랑말랑하지만, 자라면서 골조직이 생산되고 봉합선이 닫히게 된다. 송우철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해부학교실 교수는 “두개부의 뼈는 뇌가 성장하면서 같이 자란다”며 “뇌 크기가 진화하면서 두개부 뼈의 크기도 진화했다”고 설명했다.현재 1300~1500cm3인 인간의 뇌는 진화를 거쳐 점차 ... ...
이전2232242252262272282292302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