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지"(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온 몸이 보안 코드, 생체인증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답했다. 지문+홍채+서명, 합쳐서 강하게다중생체인식 시스템의 구조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지문, 홍채, 서명 등 3개 정보를 사용한다고 가정할 때, 각 생체인식 시스템을 독립적으로 운영한 뒤 가장 마지막 단계에서 이 결과를 합치는 방법이다. 사용자의 얼굴 영상에서 특징을 추출하고 이를 ... ...
- [Culture] 뜻밖의 히어로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또 면역을 억제시키다 보니 자연스레 면역력이 약해져 감염 위험성이 있는 곳은 되도록 가지 않아야 하며, 음식도 가려 먹어야 하는 등 일상생활에서 불편함이 꽤나 많습니다. 심장을 이식 받은 김과동은 평생 면역억제제를 먹어야 합니다. 새로운 삶을 살게 됐지만, 참고 이겨내야 할 것들도 ... ...
- 통계로 예측하는 쩐의 전쟁, 이적 시장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리그의 상황에 따라 천차만별로 책정됩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고려하는 항목이 몇 가지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선수의 나이입니다. 실력이 비슷하다면 노장보다는 앞으로의 잠재력을 기대해 볼만한 유망주의 가치가 훨씬 높게 평가되지요. 이외에도 선수의 포지션, 출장 경기 수 등을 고려 ... ...
- 두리안과 잭푸르트, 반전 매력 속으로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나온 이름이다. ‘두리오’라는 나무에서 자라는 열매를 말하며 그 종류가 무려 30여 가지에 달한다. 그중 약 9가지 종의 열매만 먹을 수 있다고 하는데, 1년에 한 번만 수확할 수 있기 때문에 동남아시아에서도 한두 계절에만 먹을 수 있는 귀한 과일이다. *문태선 선생님은 베트남 호치민 시의 ... ...
- [과학뉴스] 조명처럼 잎살에루시페린빛이 반짝!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만나면서 빛을 내요. 연구팀은 이 두 물질과 루시페린의 기능을 돕는 보조효소까지 총 세 가지 물질을 서로 다른 나노 입자에 각각 담았어요. 그리고 이 나노 입자들을 잎의 뒷면에 있는 공기구멍인 ‘기공’을 통해 식물에 넣었지요. 이렇게 식물 속으로 들어간 나노 입자는 식물 내부에서 각각 ... ...
- [실전! 반려동물] 개는 왜사람을 무는 걸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하고, 그 반대가 되기도 하지요. 어떤 경우든 개가 경고 행동을 보일 때는 더 다가가지 말고 시선을 최대한 피해야 해요. 개의 경고를 무시하고 다가간다면 개는 ‘물기’라는 최후의 수단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지요. 경고 행동을 보이지 않고 공격하는 경우도 있어요.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면 ... ...
- [Issue] 무술년 ‘황금 개’의 해 과학으로 풀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털을 가진 천연기념물 경주개 동경이는 진돗개, 풍산개와는 완전히 다른 유전자 구성을 가지고 있었습니다.doi: 10.1371/journal.pone.0188676 그러나 한국 전통개의 유전적 다양성은 최근 들어 급격히 떨어지고 있습니다. 근친 교배 때문인데요. 최 연구사는 “유전적 다양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한국의 ... ...
- [Culture] 좌완투수의 시대 왼손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왼손잡이다. 야구에서 상위 30%가 왼손잡이왼손잡이 선수가 유리한 재미있는 이유가 한 가지 더 있다. 2017년 11월 과학학술지 ‘바이올로지 레터스’에 4페이지 분량의 짧은 연구 결과가 실렸다. 독일 올덴버그대에서 스포츠과학을 연구하는 플로리안 로핑 교수의 연구다.doi: 10.1098/rsbl.2017.0446 로핑 ... ...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말했다. 부작용이 전혀 없는 ‘완벽한 인공장기’는 개발이 어려운 것일까. 한 가지 방법이 있다. 세포 기반 인공장기 기술이다. 이 방법은 인체의 어느 기관으로든 자랄 수 있는 줄기세포를 이용한다. 환자 몸에서 뽑아낸 혈액이나 피부세포 등에서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를 얻어낸 뒤, 이것을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축삭돌기(axon)를 뻗어내는데요. 발달 과정 중에 필요 이상으로 많이 생기기 때문에 이를 가지를 치듯 잘라낼 필요가 있습니다. 여기서 바로 세포 자멸 기작이 작동합니다. 기관이나 조직을 형성하는 것 외에도 세포 자멸 기작이 하는 일은 다양합니다. 다른 세포들에 비해 느리게 분열하거나 약한 ... ...
이전2232242252262272282292302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