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스페셜
"
직접
"(으)로 총 2,27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 기후 아열대화는 위기이자 기회”
동아사이언스
l
2011.12.26
어종 명태, 이젠 동해에서 찾아보기 힘들어 농업은 이런 지구 변화에 가장 즉각적이고
직접
적인 영향을 받는다. “1980년대만 해도 매년 10만t 이상 잡히던 명태가 지금은 거의 잡히지 않고 있습니다. 한반도 근해의 수온이 계속 오르면서 대표적인 한류성 어종인 명태가 러시아 쪽으로 북상해버렸죠. ... ...
“사람에게 목적 맞춘 바이오 연구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1.11.28
위원을 맡았다. 스스로를 ‘칼잡이’로 소개한 그는 “국과위가 환자를
직접
진료하는 임상 의사를 위촉한 것은 처음”이라며 “앞으로 생명복지 분야에서 실용성 있는 연구를 강화해 효율을 높이려는 의지로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서 그를 연구개발(R&D)본부장에 ... ...
“연구는 고정관념과의 전쟁”
동아사이언스
l
2011.11.07
지금과 같이 생쥐실험 등을 할 수 없었던 상황이어서 결국 자신이 헬리코박터균을
직접
마셨다는 것이다. 결국 위 속에 헬리코박터균이 증식했고, 염증이 발생했으며, 두드러기와 구토 증상으로 고생했다는 것. 이후 항생제를 먹어서 위 속 균을 사멸시킴으로써 이런 증상들도 사라지는 것을 ... ...
바이오분야 학계와 산업계간 소통 절실…생명공학 인력 DB확보로 해결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09.05
이전의 자문위원회 역할만 하던 국과위는 올해부터 각 사업의 적절한 예산 규모를
직접
분배하기 시작했다. 생명복지와 관련된 분야는 생명복지 전문위원회의 ‘깐깐한’ 심의를 거친다. 이영식 한양대 분자생물학 교수를 위원장으로 13명의 학계와 산업계 전문가들이 전문위원회를 구성하고 있다 ... ...
“시장에서 필요한 지재권 확보로 바이오 경쟁력 확보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8.17
대한 인식 부족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고 위원장은 국제시장에서 외국 기업들과
직접
경쟁하는 대기업들을 제외하고는 중소기업이나 정부출연연구소, 대학 등 연구자들은 지재권 분야만 놓고 볼 때 국제 기준에 한참 뒤떨어진다고 말했다. ● 연구자부터 CEO까지 지재권 인식 부족 심각 “우리나라 ... ...
한국 바이오 기업이 주목해야할 미국 바이오 분야의 특징들
동아사이언스
l
2011.07.20
전 날까지 협상 대상을 오픈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학교수가 벤처를 차리고
직접
대표이사(CEO)까지 하려는 한국 관행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미국에서는 교수의 연구결과를 대학이 나서 라이센싱아웃 하고, 벤처를 차려도 전문경영인이 따로 있는 게 보편적이라는 것이다. 민 변호사는 “대학에서 ... ...
“연구자 홀로서기 지원하는 박사후연구원 정책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8
한국에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제도는 박사후연구원이 지도교수(PI)를 통하지 않고
직접
신청한다는 게 특징이다. 연구자는 그동안의 연구 실적과 향후 구체적인 계획, 연구결과가 타 분야에 미칠 영향 등을 작성해 NIH에 신청한다. 심사가 통과되면 두 단계에 걸친 연구지원이 이뤄진다. 첫 ... ...
“한국 바이오에는 ‘디벨롭먼트(Development)’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7
충분히 가능하지 않을까. 또는 한국 제약사들이 일종의 ‘컨소시엄’을 만들어서 미국에
직접
디벨로퍼를 만드는 전략도 있다. ▽민현석 변호사=M&A가 한 방법이긴 하지만 문화가 다른 해외 기업을 인수한다는 점에서 그 위험 부담을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미국 기업을 인수한 일본 제약사 다케다의 ... ...
“선택과 집중의 수월성 경쟁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05
발병 원인을 관찰한 적도 없었다. 그는 “환자의 피부 세포로 줄기세포를 만들어
직접
질병 모델로 사용해 신약개발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역분화 줄기세포를 이용하면 각종 난치병 치료제를 연구하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9월에는 김 단장이 만든 ... ...
“2015년 단백질 지도 완성…연속성 있는 연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4.25
4월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인간게놈프로젝트가 개개인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데
직접
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단백질의 목록만 나타낸 단백질 지도 역시 유전자 지도와 같은 길을 걷지 않을까. 울렌 교수는 “단백질의 기능을 모두 아는데 오랜 시간이 걸릴 ... ...
이전
222
223
224
225
226
227
2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