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
지속
퍼짐
속편
결과
뒤
후편
스페셜
"
계속
"(으)로 총 2,452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에서 활약하는 한국의 과학기술자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05
"노벨상을 함께 나누고 싶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김 교수는 실망하지 않고 연구를
계속
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미국 물리학자 더글러스 호프스타터(Douglas Hofstadter)가 제안한 전자와 자기장 간의 함수를 세계 최초로 물질 차원에서 구현했다. 이 함수를 그래픽으로 전환하면 나비 모양이 되기 ... ...
충적층 위의 아찔한 도시, 싱크홀 '대란'의 진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05
잘 파악하고 그에 맞춰 토목공사를 진행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지금도 충적층 위에서
계속
높이를 높여가고 있는 초대형 빌딩이 완공된 뒤 대형사고로 번지기 전, 당국의 대책이 시급한 이유다. ... ...
1인 1주치의 시대를 위한 Connected Doctor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0.29
상담을 받을 수 있으며 모든 메시지는 익명으로 처리된다. 또한 한 번 연결된 의사에게
계속
적으로 상담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편리하게 증상에 대한 조언을 얻을 수 있다. 임산부와 출산한지 얼마 되지 않은 엄마들을 타깃으로 시작했지만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서비스 출시 한 달 만에 1만 ... ...
봄꽃과 함께 즐기는 전국의 과학관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0.29
있다. 4월 과학의 달에는 우주과학 토크쇼, 우주식품 만들기, 과학뮤지컬 공연 등이
계속
되며, 매주 주말에는 화약로켓 발사실험을 진행한다. 4월 10~13일에는 고흥읍 박지성공설운동장 일원에서 '2014 고흥우주항공축제'가 열린다. 우주과학관을 비롯해 국립청소년우주체험센터와 ... ...
[Green Focus]‘3세대 바이오매스’ 미세조류가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4.10.14
영양염류를 먹으며 자라는데, 막 안팎의 농도차에 의해 영양염류가 배양기 안으로
계속
유입되고 미세조류는 이것을 먹고 성장․분열해 개체수가 늘어난다. 따라서 별도의 에너지 없이 미세조류를 경제성 있는 농도까지 농축시킬 수 있다. 반투과막은 구멍 크기가 매우 작아 배양된 미세조류나 ... ...
2014 노벨생리의학상은 ‘노르웨이판 퀴리 부부’에게
2014.10.13
포도당이 글리코겐으로 전환되는 과정과 이때 개입하는 인슐린의 역할에 대해 연구를
계속
했다. 1957년 아내 거티가 세상을 떠난 뒤 남편 칼은 여생동안 무척 힘들어했다고 한다. 칼 코리는 1984년 사망했다. 1947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수상한 코리 부부. 1896년 생 동갑으로 모국인 체코에서부터 ... ...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미끄러지는 이유
2014.09.29
밟고 넘어진다면 관객들이 여전히 웃을까요? 수도 없이 연출된 장면인데.” 맥아더는
계속
물었다. “먼저 바나나 껍질을 보여주고 뚱뚱한 여자가 다가와 넘어지게 할까요? 아니면 뚱뚱한 여자를 먼저 등장시키고 다음에 바나나 껍질을 보여주고 여자가 넘어지게 할까요?” 채플린이 대답했다.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임상시험 33건을 모두 검토했다. 임상은 1959년 시작돼 1988년 결정적인 결과가 나올 때까지
계속
됐다. 그런데 만일 당시 임상연구를 한 사람들이 이전 연구결과들을 제대로 알고 있었다면 1973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어 임상을 끝낼 수 있었다고. 즉 최근 연구들을 업데이트하는 노력을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⑦] 생물의 에너지, 바이오매스
2014.09.22
가장 오랫동안 사용해 온 대표적인 연료는 나무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무는 매년
계속
해서 자라는 재생 가능한 자원으로써 석탄이나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와는 달리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증가시키지 않는 탄소중립형 연료이다. 이 때문에 지구의 기후변화를 완화시킬 수 있는 화석연료 ... ...
어느 줄기세포 학자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들어있기 때문에) 원하는 지시 분자만 포함한 배지를 만드는 연구를 수년 동안
계속
했고 마침내 성공을 거둔 것이다. 그뒤 사사이 박사팀은 외부변수 한두 개를 조금씩 바꿔가며 줄기세포가 여러 특정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조건을 찾아내는데 속속 성공했다. 사사이는 “너무 밀어붙이면 ... ...
이전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