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기소개
뉴스
"
자신소개
"(으)로 총 2,50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0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
과학동아
l
2015.08.27
미적분은 기존의 스틸사진 같던 문명을 동영상으로 바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혹자는 인류문명의 발전사를 미적분 발명 전과 후로 구분하기도 한다. 그러나 사실 미적분의 토대는 불완전하고 의심스러웠으며 모순이 가득했다. 근대 철학의 아버지이자 해석기하학의 창시자인 르네 데카르트 ... ...
성장과정을 연대기로 나열하는 것보다 고교 기간을 중심으로 쓰는 것이 유리
동아일보
l
2015.08.27
[동아일보] 대입 자기소개서 작성 ‘팁’ 2016학년도 대입 수시모집 1차 원서접수가 내달 9일부터 시작된다. 원서접수까지는 2주 정도 남은 시점. 수시 주요 전형인 학생부종합전형에서는 서류평가의 비중이 높은 만큼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특히 수험생이 직접 작성해야 하는 자기소개서에 대 ... ...
2015년도 ‘물 수능’ 예고… 상위권 수험생들 ‘수시납치’ 골머리
동아일보
l
2015.08.27
[동아일보] 9월 원서접수 앞두고 ‘묘수 찾기’ 2016학년도 수시모집 원서접수 기간(9월 9∼15일)이 임박하면서 수험생들 사이에서 속칭 ‘수시 납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가 올해도 지난해처럼 쉬운 수능 기조를 유지하겠다고 예고함에 따라 수험생들이 본인의 수능 등급을 예측하기 어 ... ...
효모 정밀화학공장, 말라리아치료제에서 마약성진통제까지 생산
2015.08.24
새로운 분야가 등장하면 이를 나타내는 여러 이름이 나오고 이 가운데 하나가 선택돼 널리 퍼지기 마련이다. 유전자 또는 게놈을 편집해 새로운 기능을 갖는 생명체를 만드는 분야를 요즘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라고 부른다. 합성생물학은 유전공학이나 대사공학을 아우르는 개념이다. 합성 ... ...
기억보다 망각이 중요한 이유
2015.08.23
에코리브로 제공 ■ 망각(다우어 드라이스마 作, 에코리브로 刊) 잊고 싶지만 잊혀지지 않고, 잊기 싫어도 잊혀지는 것. 바로 기억이다. 이 책은 평생 기억을 연구해 온 저자가 기억과 망각을 탐구하며 기록한 역작이다. 기억력은 훈련할 수 있는데 왜 망각을 훈련할 수는 없을까. 저자는 뇌 연구에 ... ...
과학 소재로 전 세계 오지 탐험하는 괴짜 예술가
2015.08.21
설치 및 영상미술 작가 릴릴(본명 강소영) 씨가 자신의 남극 탐사 경험을 살려 만든 영상작품 ‘사라져가는 풍경1’ 앞에 서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 릴릴 제공 인천 연수구 송도미래로 극지연구소(극지연)에 가면 가로 54.2m, 세로 1.2m인 초대형 벽화를 볼 수 있다. 2014년 4월 극지연구소 창립 10주년 ... ...
리처드 도킨스의 첫 자서전
2015.08.16
바다 제공 ■ 악마의 사도 (리처드 도킨스 作, 바다 刊) 리처드 도킨스가 25년 간 쓴 기고문과 연설문, 회고록과 논설문 등에서 정수만을 가려 뽑은 신간 에세이가 나왔다. 총 32편의 에세이를 이 책에서 만날 수 있다. 이 책은 올해로 62세를 맞이한 도킨스의 첫 자서전으로 기획됐다. 이 때문에 ‘도킨 ... ...
[즐기자! 사이언스바캉스] 과학동아가 만든 고품격 과학 강연회
2015.07.31
25일 과학동아가 개최한 과학 강연회 ‘사이언스 바캉스’에 참가한 학생들이 흥미로운 강연을 들으며 미소를 짓고 있다. - 동아사이언스 제공 새벽부터 장맛비가 추적추적 내린 25일 오전. 여름방학에 토요일까지 겹쳐 조용하던 서울대 관악캠퍼스 제1공학관에 하나둘 사람들이 모여들기 시작했다. ... ...
[신나는 공부]“남도 다 한다, 깊이 파라”
동아일보
l
2015.07.28
[동아일보] 대입 비교과활동 ‘상향 평준화’ 시대, 대비전략은? ‘깊이로 승부하라.’ 최근 대입 수시모집 합격을 좌우하는 요소가 비교과활동의 ‘소재’에서 ‘깊이’로 진화하고 있다. 이른바 비교과 ‘스펙’의 ‘상향 평준화’ 현상이 일어남에 따라 비교과활동을 ‘넓게’ 하는 것보단 ‘ ... ...
머리 겔만과 펜타쿼크
2015.07.27
수학적 쿼크는 영원히 갇혀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지만 그런 특성을 통해서 우리가 볼 수 있는 현실적 입자들을 만들어낸다. - 머리 겔만 필자는 책의 장르 가운데 전기를 즐겨 읽는데 10여 년 전 물리학자 머리 겔만(Murray Gell-Mann)의 전기 ‘스트레인지 뷰티’를 읽을 때 깊은 인상을 받은 기억이 ... ...
이전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