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응용"(으)로 총 2,880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6년 노벨 화학상]‘가장 작은 기계’ 만든 과학자 3명 공동수상2016.10.05
- 2016년 노벨화학상 수상자. 왼쪽부터 장 피에르 소바주 교수, 프레이저 스토더트 교수, 베르나르트 페링하 교수. - 노벨위원회 제공 올해 노벨 화학상은 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를 설계하고 합성한 유럽 과학자 3명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5일(현지 시간) 노벨 화학상 ... ...
- 중국, 올해도 노벨상 받을까?2016.10.03
- 의공학과 연구소 회원(연구내용 : 쥐 세포와 인간 세포에서 크리스퍼-카스9 유전자 수정 응용)이다. 로육밍 홍콩중문대 교수(왼쪽), 장펑 미국 메사추세츠공대 의공학과 연구소 회원(오른쪽) - 최영휘 제공 그런데 로육밍 교수는 홍콩에서 태어나 영국 캠버리지대와 옥스퍼드대에서 공부한 ... ...
- “연구비,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과학동아 l2016.09.28
- 영향력지수가 그렇게 높지 않아서 조금 걱정이 된다. → 한국의 국가 R&D 예산은 대부분 응용연구나 기술 개발에 초점을 맞춘 콘트랙트 형태다. 이른바 ‘추격형 연구’에 적합한 방식이다. ‘선도형 연구’를 육성한다는 명목으로 기초연구비 지원 규모를 확대했지만, 평가 방식은 기존과 크게 ... ...
- 애플, 맥OS 시에라 배포, ‘맥과 iOS의 만남’ 2016.09.22
- 된다. 이건 맥만의 기능이라기보다, 맥이 업데이트되면서 그에 따라 함께 업데이트된 응용 프로그램들의 기능이긴 하다. 이전에도 문서를 공유하는 건 됐지만 양쪽이 동시에 편집하는 건 쉽지 않았다. 기존처럼 문서의 인터넷 주소를 보내는 것으로 문서가 공유되고, 그 안에서 편집하는 내용이 ... ...
- 코끼리와 기린, 이러다 멸종될 수도?2016.09.19
- 줄 알았다”고 발뺌할 여지가 생긴다. ● 둥근귀코끼리가 특히 취약 학술지 ‘응용생태학저널’ 8월 31일 온라인판에는 상아 거래 양성화가 시기상조라는 결론으로 이어지는 코끼리 생태에 관한 논문이 실렸다. 미국 콜로라도주립대 조지 위트마이어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23년에 걸쳐 ... ...
- 동물이 옮긴다고? 사람한테 옮았다!과학동아 l2016.09.09
- GIB 제공 메르스, 에볼라 등 바이러스가 맹위를 떨칠 땐 매개하는 동물들도 원망을 산다. 하지만 동물들에게 치명적인 질병을 옮기는 것이 결국 사람일 수 ... 사람이 치명적인 병원균을 전달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응용 및 환경 미생물학’ 7월 29일자에 실렸다 ... ...
- 거미 표본 15만점… 캠퍼스의 스파이더맨2016.09.08
- 거미 수집가 김승태 교수가 아프리카에서 주술적인 의미로 쓰이던 거미 마스크를 들어 보이고 있다. - 신수빈 기자(sbshin@donga.com) 제공 “25년 동안 모은 거미 표본이 15만 점이나 되더군요. 농촌 지역에 제대로 된 거미박물관을 세우고 해충을 잡아먹는 거미 특성을 계속 연구하는 게 꿈입니다. ... ...
- “北 응용과학과 南 첨단과학 만나면 시너지 클 것”2016.09.07
- SCI급 논문에서 두드러지는 분야는 물리학”이라며 “그중에서도 레이저 기술 같은 응용물리가 많다”고 설명했다. 북한의 국제공동연구 현황도 눈에 띈다. 북한과 가장 활발히 공동 연구를 벌이는 국가는 단연 중국. 다음으로는 독일, 호주 순이다. 최 단장은 “북한이 발표한 국제협력논문 260편 ... ...
- 세계에서 가장 굴절률 높은 신소재 나왔다2016.09.06
- 1800까지 늘어났다. 굴절률이 높은 소재는 빛을 큰 폭으로 휘게 만들 수 있어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연구진은 이 신소재가 5세대(5G) 휴대전화용 고성능 안테나, 스텔스기, 고성능 광학 현미경 등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신 교수는 "물리적 현상과 수학 원리를 결합해 새로운 ... ...
- “뇌질환 빛으로 치료하는 길 열었다”2016.09.05
- 연구진이 처음으로 밝혀냈다. 신경세포 활성을 빛으로 조절하는 ‘광유전학’ 연구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뇌질환 치료법 발전에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세대 시스템생물학과 조현수, 김지현 교수 공동 연구진은 해양 박테리아 속 빛에 반응하는 단백질인 ‘염소로돕신’의 구조를 ... ...
이전2222232242252262272282292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