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첨예
급진
선구
끄트머리
앞장
엉덩이
d라이브러리
"
첨단
"(으)로 총 2,80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Ⅲ 분자생물학의 기본언어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것이 많다. 그런 아리송한 「전문용어」들의 참 뜻은 무엇일까?유전공학은 생명과학의
첨단
분야로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실제 인간생활에 미치는 영향도 대단히 크다. 그러나 근본이 되는 기초생명과학이 발전하지 않았더라면 오늘날의 유전공학이 태동하지도 못했을 ... ...
가속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아무튼 광물리 광화학 광생물 분야에 새로운 영역을 개척해줄 방사광가속기는 21세기
첨단
산업 및 학문연구에 필수품화될 것이다. 미국 해군 수상 연구센터에서 일하다 포항공대에 와 방사광가속기건설에 참여하고 있는 남궁원박사는 "이론적 연구에 활용되는 입자가속기를 달착륙을 시도한 ... ...
유전공학─빛과 그림자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산업혁명」의 주역인 유전공학이 향후 10년간 획기적인 발전을 이룰 것은 분명하다. 이
첨단
기술이 창출해낼 세계시장규모도 2000년까지 적게는 6백억달러(미국 T.A.시스사 추정), 많게는 4천억달러(일본 장기신용은행 추정)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 이면을 보면 뜻밖의 걸림돌이 많다. 특히 ... ...
PARTⅡ 실생활에 어떻게 사용되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착실하게 기술개발 경험을 축적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결국 앞으로 유전공학과 같은
첨단
기술의 선진화는 우리의 꾸준한 노력여하에 달려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지금은 우리가 80년대에 이룩한 기술기반을 바탕으로 유전공학기술 선진대열에 손색없는 제2의 도약을 시도해야 할 때다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생명공학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특허정보의 공급 등을 맡고 있다. 상공부는
첨단
산업육성 5개년계획에 생물산업을 포함시켜 유전공학관계자들의 호응을 받고 있다.특허분쟁의 소지 많아사실 특허문제는 국내 유전공학자의 공통의 고민이었다. 기껏 연구해서 개발해 놓았는데, 이미 다른 ... ...
정보통신의 새 시대를 선도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수신측에서는 이를 지면상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한 팩시밀리방송 등 하루가 다르게 최
첨단
뉴미디어가 개발, 실용화되고 있다. 따라서 선진국에서는 국가정책으로 미디어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며, 특히 전문인력 배출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매체산업을 ... ...
음양 팔괘와 이진법의 만남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접어든 처녀총각이 있는 경우 꽤 절박한 심정으로 점술가를 찾기도 한다.최근에는
첨단
과학의 산물인 컴퓨터가 거리에 등장, 과학적(?)으로 점을 쳐주는 장면을 종종 목격하게 된다. 전혀 대조적으로 보이는 컴퓨터와 점, 어떤 관계에 있을까. 프로그램의 비법(?)점술에서 최고의 경전으로 쳐주는 ... ...
다시 주목받는 갈륨비소반도체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트랜지스터(MOSFET) 구조로는 0.1μ(${10}^{-7}$m)정도가 한계일 것으로 추정한다. 현재
첨단
반도체의 트랜지스터 크기는 0.5~1μ 정도. 사람의 머리카락 두께가 1백μ 정도인 점을 생각하면 엄청나게 미세한 기술이다. 더구나 이것은 MOSFET 구조를 그대로 유지할 경우의 가정이고 더 향상된 제조공정이 도입될 ... ...
수직막대에서 전자주사 안테나로 진화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현대는 엄청난 정보를 실어 나르는 전파의 홍수시대. 범람하는 전파속에서 유용한 전파만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최
첨단
안테나 기술이 필요하다.전파(전자파)란 무엇 ... 전파빔의 방향을 컴퓨터로 제어하기가 편리한 페이즈드 어레이안테나는 미래의 최
첨단
안테나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 ...
PARTⅣ 생명과학자들의 최대고민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감은 있으나 기본적으로 이러한 논리를 바탕으로 할 때 불가피하게 대두되는 것이
첨단
생명과학 기술인 유전공학의 윤리성에 관한 문제다.두개의 생명관생명현상을 화학반응식이나 수식으로 완전히 설명할 수 있을 것인가. 아니면 생명이란 물질수준에서 해석될 수 없는 신비성을 갖는 것인가. ... ...
이전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