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존재"(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모르면 괴물? 프랑켄슈타인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알고리즘을 따른다. 1차원에서는 한 줄에 있는 세포들끼리, 2차원에서는 평면 상에 존재하는 세포들끼리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 움직인다.세포가 스스로 번식하는 1차원 세포자동자컴퓨터 프로그램 상에서 나 같은 인공생명체를 만들어 낸다고? 대체 세포자동차가 구체적으로 뭔데?성질도 급하긴. ... ...
- 마지막 한 방울 까지 소중히 해야 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빙원, 하천에 포함돼 있으며 나머지 물은 공기 속의 수증기나 땅 속의 지하수 형태로 존재한다. 바다의 물은 수증기로 변하고, 수증기가 모인 구름에서 비가 내려 지하수로 고이며 지하수는 다시 바다로 흘러가는 순환이 매일 자연스럽게 일어나고 있다. 단 자연에 있는 물은 정수되지 않았기 때문에 ... ...
- 신화의 세계를 구하라! 퍼시 잭슨과 괴물의 바다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세계를 구하기 위해 괴물들의 바다로 떠났지. 그곳에서 크로노스와 맞설 수 있는 유일한 존재인 마법의 황금 양피를 찾아야 했거든. 날 기니피그로 변하게 만든 키르케를 비롯해, 노래로 유혹해 불러들인 뒤 순식간에 잡아 먹는 세이렌, 거대한 외눈박이 괴물 폴리페모스와 식인 양까지! 함께 모험을 ... ...
- [환상 퍼즐여행2] 시간의 붕괴를 막아라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여유 그만 부리시죠. 당신도 시간이 붕괴해 봤자 좋을 게 없지 않나요? 고차원의 존재라도 시간이란 차원이 무너지면 골치가 아플 테니…. 그런데 뭔가 이유가 있어서 당신이 직접 나설 수 없기 때문에 우리를 움직이는 것 아닙니까?”메비우스 공작은 특유의 웃음을 잃지 않았지만, 이번에는 ... ...
- 빅 데이터와 인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기술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개발한 것이 바로 하나(HANA)입니다. 최근에는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베이스가 따로 존재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생기는 비효율을 줄이기 위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어떤 학생을 원하는지? 컴퓨터의 구조에 대한 이해가 기본입니다. 운영체제에 대한 이해, 그리고 컴파일러의 작동 ...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사실에 주목하게 된 것은 그 이후다. 연구해 보니 뇌 역시 특정 영역이 ‘허브’로 존재하는 항공로와 같은 구조였던 것이다. 허브를 통해 연결돼 있으니, 만약 어느 영역이 망가져도 다른 지역을 우회하면 그 기능을 대체할 수가 있던 것이다.뇌의 연결성은 뇌질환을 진단하는 데도 활용되고 있다. ... ...
- 공룡의 아버지를 쓰러뜨린 시조새의 깃털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이 과정에서 날아오르는 능력을 얻었다는 것이다.진화야 어찌됐든 깃털은 흥미로운 존재다. 세상의 모든 깃털을 한 줄로 나란히 세우면 달을 지나고 태양을 지나 어느 먼 천체에 닿을 것이다. 길이도 다양해서 온가도리라는 이름의 일본 새는 10m짜리 번식깃을 갖고 있다. 비행기 엔지니어들은 ... ...
- 요리 속에 과학이 쏙, 문화가 쏙쏙! 내 짝의 도시락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할 수 있지 않을까요? 이렇게 퓨전 요리는 각 나라의 문화 차이를 잇는 다리 같은 존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퓨전 푸드가 각 나라의 사람을 묶어 주는 힘이 있다는 뜻입니다.특집 한걸음 더 이색 요리 함께 해볼래?우리 반 다문화가정 친구들과 함께 도시락을 먹으며 세계 여러 요리를 알 수 있는 ... ...
- 현존하는 20세기 최고의 수학자, 장 피에르 세르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자기의 이름을 감추고 벌이는 학술활동이란 더더욱 힘들다. 부르바키는 아직도 존재하지만, 이전의 역동성은 찾아볼 수 없다.어쩌면 세르같은 수학자가 드물어졌기 때문일까? 부르바키가 입증했던 익명성과 자유의 힘을 다시 볼 날을 기다린다 ... ...
- 오크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인간 사회에서도 멸시당했다고 전해집니다.그런데 이 오르쿠스라는 말은 태양계에도 존재합니다. 2004년 2월 처음으로 우주망원경에 공식적으로 포착된 왜행성을 영미 천문학자들이 발견해 ‘오르쿠스’라고 명명했습니다. 이 천체는 ‘반명왕성’으로도 불립니다. 공전주기가 247년으로 명왕성과 ... ...
이전2222232242252262272282292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