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자기
디지털
디지탈
digital
전기
전자껍질
껍질
d라이브러리
"
전자
"(으)로 총 5,848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보다 200배 큰 별 폭발 장면 잡았다 !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탄소가 만들어진다. 이때 중심부 온도가 10억℃가 넘으면 질량이 없는 빛이
전자
와 양
전자
쌍으로 바뀌면서 압력이 줄어드는 쌍불안정성 단계에 이르고 그 결과 별 내부가 급격히 수축한다. 이 수축으로 내부 온도가 더 높아지면서 다음 단계의 핵반응이 폭발적으로 일어난다. 이 과정에서 ... ...
초분자에 대한 끝없는 도전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관련 분야를 독학해온 그에게 지금의 연구 활동은 오랫동안 공들여 이룬 꿈이다. 분자
전자
재료학 강의가 개설되고 연구실이 자리잡힌 것도 오랜 도전의 결과라 말한다.현재 박 교수는 1년에 최소한 6~7번은 해외 초청강연에 서고 있다. 10년 전만 해도 국내 연구원들은 해외 학외에서 인정받지 못해 ... ...
What is Aurora?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오로라는 지구 대기권 상층부 80km 위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며, 이온화된 질소원자가
전자
를 다시 갖게 될 때, 산소나 질소원자가 들뜬 상태에서 바닥상태로 돌아가면서 발생한다. 이러한 원소들이 이온화되고 들뜬 상태가 되는 이유는 태양풍의 입자들과 충돌하기 때문이다. 여기된 에너지는 광자를 ... ...
아이, 로봇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지구에 에너지 빔을 보내는 임무를 수행하지 못할까 봐 전전긍긍합니다. 하필이면
전자
폭풍이 다가오고 있기 때문에 에너지 빔의 초점을 수신기지에 맞추기가 더욱 어려워집니다. 초점을 못 맞추면 무슨 큰일이 나기에 그러는 걸까요?초점이란 오목거울이나 볼록렌즈에 평행하게 들어온 빛이 ... ...
정신줄 놓다 에 대한 3가지 고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있는 상태에서는 뇌에서 아무 활동이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여겨 왔다.그러나 최근 양
전자
방출단층촬영(PET)이나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을 이용한 연구 결과들은 그렇지 않음을 보여준다. 오히려 이 상태에서 더 활성화되는 뇌 영역들이 발견됐다. 멍하게 있는 상태를 신경과학에서는 휴지기 상태 ... ...
사이언스誌 선정 10대 과학뉴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차지했다. 그래핀은 탄소원자가 벌집 모양으로 연결된 얇은 판으로 차세대 디스플레이나
전자
소자로 최근 가장 주목받고 있다. 4위는 서울대 의대 서정선 교수와 가천의대 김성진 교수가 각각 발표한 한국인 게놈지도가, 5위는 과학비즈니스벨트의 세종시 유치 논란이 차지했다. 또 녹십자가 독자 ... ...
과학관이 살아 있다는 걸 보여주겠습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북돋울 수 있는 클래식 음악이 흐르고 있다. 이 관장 본인도 MP3플레이어 기능이 있는 ‘
전자
사전’에 이어폰을 꽂고 클래식 음악을 듣는다며 헨델 오페라 ‘리날도’ 중 영국 가수 사라 브라이트만이 부른 ‘울게 하소서(Lascia Ch’io Pianga)’를 들려줬다.그는 과학관을 고객에게 더 친숙하게 ... ...
도넛 가득한 세상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부른다.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려면 1억℃ 이상으로 뜨거운 플라스마(이온핵과 자유
전자
로 이뤄진 상태)를 토카막 안에 가둬야 한다. 토카막은 자기장을 도넛 모양으로 만들어 플라스마를 이 속에서 빙글빙글 돌려 가둔다. 2007년 건설된 ‘한국형 차세대 초전도 핵융합 실험장치(KSTAR)’도 도넛형 ... ...
풀지 않고 필요한 정보 알아내는 암호 체계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h(x 강아지-x 야옹이)=9-8=1이구나!”라고 쉽게 추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방식으로
전자
서명까지도 조작할 가능성이 있다.사람들이 암호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누군가 당신의 개인정보를 볼 수 있다는 점이다. 즉 아무도 모르게 하려고 개인정보를 암호로 바꿨는데 전산 담당자는 그 ... ...
2030년 한반도 하늘과 땅 손금 보듯 살핀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수립했다. 최근 완성된 발전계획은 1단계로 2020년까지 한반도 상공을 감시하는
전자
광학 우주 감시 체계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주기상 예보체계도 완성할 예정이다. 2030년까지 레이더 우주감시 능력을 확보하고 소형 정찰위성, 위성영상 수신 체계를 갖추는 것이 그 다음 단계다. ... ...
이전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