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코드마스터] 코딩을 알면 노벨상 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프로그램으로 1998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답니다. 이 프로그램은 크기가 작은 분자만 다룰 수 있지만, 지금도 쓰이고 있지요.2013년 노벨화학상 수상자들은 가우시안보다 한 발 더 나아가, 수만~수십 만 개의 원자가 연결된 아주 커다란 분자의 움직임까지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 ‘참’을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빙글빙글 소용돌이를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욕조에 채운 물이 내려갈 때에도 소용돌이가 생기거든요. 큰 용기에 담겨 있던 물이 작은 구멍을 통해 빠져나갈 때 생긴답니다.왜 변기와 욕조 속 소용돌이는 위쪽이 넓고 아래쪽이 좁을까요? 회전하는 물에는 원심력이 작용해요. 그 결과, 물이 바깥쪽으로 밀리면서 가운데에 공기가 움직이는 ... ...
- Part 3. 사이좋게 함께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우리 털보집갯지렁이들은 주로 ‘옆길게’와 함께 살아요. 옆길게는 2cm 정도 크기의 작은 게예요. 저의 집에서 함께 발견되는 경우가 많답니다.우리가 함께 사는 이유는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어요. 구본주 연구원은 옆길게가 우리의 배설물을 먹으며 함께 사는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어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흔들리는 신풍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건물 벽을 지지해 주는 뼈대가 없고, 벽돌 사이의 접착제만으로 버티고 있기 때문에 작은 흔들림에도 쉽게 움직일 수 있거든요.특히 우리나라의 오래된 학교 건물은 대부분 벽돌이나 시멘트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지진에 약한 편이에요. 그래서 지진이 일어나면 진동이 멈추자마자 침착하게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아쿠아플라넷63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지구에 살아온 물고기예요.아쿠아 가든을 지나자 ‘수달 행성’이 나타났어요. 이곳에는 작은발톱수달 네 마리가 살고 있어요.“수달은 아주 깨끗한 1급수에서만 살아요. 그래서 수달이 살면 그곳이 곧 1급수라는 뜻이기도 하죠. 수달과 같이 그곳의 환경 조건을 알려 주는 생물을 ... ...
- Part 2. 기계를 내 몸처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하는 기술은 어려워요. 예를 들어 한 손을 움직이는 데만 34개의 큰 신경과 수백 개의 작은 신경이 복잡하게 얽히며 일하고 있지요. 만약 신경을 하나라도 잘못 이을 경우, 머리로는 손가락을 굽히고 싶은데 로봇팔은 손목을 반대로 돌리는 일이 일어날 수 있어요.손과 발은 특히 많은 관절들이 ... ...
- [국립수목원과 함께하는 숲이야기 열] 다시 보자! 잡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도시를 상상해 보세요. 풀들이 없으면 풀을 먹는 개미, 꿀벌, 노린재, 호랑나비도 없고 작은 곤충을 먹는 귀뚜라미, 밀잠자리, 무당벌레, 거미도 안 올 거예요. 또 그들을 먹는 참새, 곤줄박이, 직박구리, 까치도 볼 수 없을 거예요. 잡초가 살기 힘든 곳에서는 다른 생물들, 심지어 사람도 살기 ... ...
- Part 2. 바닷속에서 유물을 발굴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흙을 조심스럽게 쓸어내야 해요. 유물은 강도가 약해져 있는 상태라 흙속에서 빼기 위해 작은 힘만 줘도 쉽게 깨질 수 있거든요. 그런데 문제는 진도 앞바다 해역이 주로 *개흙으로 이뤄져 있다는 거예요. 약간의 움직임만으로도 흙이 쉽게 흩어져 물을 탁한 상태로 만들지요. 심지어 쓸어낸 흙이 ... ...
- [해외취재] 비만 잡는 ‘움직이는 학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세이나요키는 핀란드의 수도인 헬싱키에서 차로 5시간 정도 걸리는 곳에 위치한 작은 도시예요. 서울과 경기도를 합친 정도의 면적에 서울시 인구의 0.6%밖에 되지 않는 약 6만 명이 살고 있지요. 특별할 것 없는 세이나요키가 주목을 받는 이유는 바로 어린이 비만을 빠르게 줄였기 때문이에요 ... ...
- [과학뉴스] 우표만 한 초소형 정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능력을 갖고 있답니다.연구팀은 이황화몰리브덴이 여러 겹으로 겹쳐 있는 우표 크기의 작은 칩을 만들었어요. 이 칩을 물에 넣고 햇볕을 쬐면 물이 정수되는 거죠. 실제로 이 칩은 20분 만에 25mL의 물에 있는 세균의 99.999%를 없앴답니다. 보엠 교수는 “이 초소형 정수기는 앞으로 수질오염을 개선하는 ... ...
이전2222232242252262272282292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