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 몸은 탈수 중 물 마시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부리고…. 듣자듣자하니 듣는 물 기분 나쁘네. 아니, 맛이 없어서 안 먹겠다니…. 물이 인간의 몸에 얼마나 좋고 중요한 존재인데! 잘 모르겠다고? 자, 그럼 내 얘길 들어 봐. 분명 물이 먹고 싶어질걸?물이 부족한 대한민국 어린이들!유빈이는 콜라를 마시고 싶었지만 결국 엄마의 강요로 물을 마셨어. ...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불필요한 정보를 거르지 못하는 위험이 있다.1988년 마시에 헨네베르크 교수팀이 ‘인간생물학’지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화석이나 유골의 두개골 크기는 최근 들어 약간씩 작아지고 있다. 남성과 여성 모두 중석기 시대(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 사이로 약 1만~3만 년 전)에 두뇌 용량이 최고에 ... ...
- “클림트의 그림은 왜 더 야할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측면에서 어떻게 반응했는지를 알려주기 때문이다.책은 빈 분리파의 인간의 시각과 감정에 관한 이야기로 시작한다. 후반부에서는 창의성의 근원에 ‘무의식’이 있음을 지적한다. 실제로 의사 결정 과정에서 무의식이 큰 역할을 하고 있음이 최근 밝혀졌다.캔델은 클림트의 그림이 특별히 ... ...
- 얼굴 읽어 주는 수학수학동아 l2014년 11호
- 길이가 서로 다른 두 변의 비가 황금비를 이루는 이등변삼각형이다. 이 삼각형은 인간이 볼 때 편안함과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삼각형이라고 알려져 있다.즉 이 ‘마쿼트 마스크’를 실제 사람의 얼굴에 겹쳐 보았을 때 비슷할수록 미인이라고 볼 수 있다. 실제로 마릴린 먼로나 안젤리나 졸리와 ... ...
- Part 1. 테러도 공식을 따른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높은 테러는 횟수가 적고, 그에 비해 사망자 수가 적은 약한 테러는 많았다. 이는 자연과 인간 사회에서 벌어지는 각종 사건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모델인 ‘거듭제곱 분포’와 일치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테러를 예측하는 도구로 쓰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테러 가능성을 예측하는 함수2007년 ...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Y 염색체가 두 개인 정자가 만들어진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SRY 유전자와 EIF2 S3Y(인간은 EIF1AY) 유전자가 다른 염색체로 이동한다면 Y 염색체는 사라질 수도 있지 않을까. Y 염색체에 담겨있는 유전자 개수도 78개다. 그나마 실제로 활동하는 유전자는 20여개에 불과하다. Y염색체가 사라지기 더 좋은 ... ...
- [hot science] 카톡 정말 믿어도 될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검찰은 지난 9월 18일 온라인상의 유언비어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사이버 명예훼손 전담 수사팀을 발족했다. 그러자 검찰이 카카오톡을 비롯한 국내 ... 사이버공간에서 얼마나 인정받을 수 있는 걸까. 이번 카카오톡과 사이버 망명 사건은 인간과 기술의 미래에 또 다른 화두를 던지고 있다 ...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약 84%에 해당하는 1만7294개 유전자가 어떤 단백질을 만드는지 밝혀냈다. 팬디 교수는 “인간의 뇌, 간, 폐 등 각 장기에서 발견되는 특이 단백질을 확인한 성과도 거뒀다”고 말했다.이 연구는 결과 자체뿐만 아니라 방대한 시료를 분석한 연구 데이터를 완전히 공개했다는 점에서 이후 연구에 큰 ... ...
- [hot science] 전생에 삼엽충이었던 분을 찾습니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너무도 악행을 일삼아서 다음 생에는 축생으로 환생해야 하는데, 폭발적인 인구 증가로 인간의 몸을 채울 영혼의 수요가 급증하는 바람에 이득을 본 사람도 있겠군요. 반대로 전쟁 같은 이유로 인구가 급감하는 시기에 환생하는 영혼은 전생에 덕을 쌓았어도 사람으로 태어나지 못하는 억울한 ... ...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박스 기사 참조)에 거부감을 느끼기도 한다.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친다는 목표 자체가 인간적이지 않다고 생각하거나, 첨단 로봇기술을 규제하려는 수단으로 보는 것이다. 그러나 로봇윤리 개념을 최초로 세운 이탈리아 국립로봇연구원 장마르코 베루지오 교수는 이런 시각이 오해라고 말한다. 그는 ... ...
이전2222232242252262272282292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