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결"(으)로 총 5,84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지직~, 전류가 흐르는 숯이 있다? 신기한 숯 전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없을까요?짜잔! 그럴 줄 알고 전압을 잴 수 있는 ‘전압계’를 준비했지.치원이가 한 번 연결해 볼까?.868?0.868! 우리가 만든 숯 전지의 전압이 0. 868V라는 거야. 건전지의 절반 정도 되는 구나!숯 전지를 다 만들었으니 아까 숯불에 구운 고기를 다시 먹어볼까? 앗! 내 고기가 다 어디 간 거야! 내 고기~, ... ...
- 그리는 대로 만들어진다! 3D PEN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음이 난다.몇 년 뒤에 교구 회사인 미국 컬러폼스사에서 드라디오 장치를 연필 대신 붓에 연결해 ‘천재의 그림놀이’라는 장난감을 만들었다. 원리는 드라디오 연필과 같은데 흑연 대신 물로 전류가 흐른다. 물이 묻는 곳이면 어디든 그리고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수채화 물감으로 그림을 그리면서 ... ...
- 해커와 대결하라! 암호수학수학동아 l2013년 05호
- 그런데 땋임은 수를 이용한 연산과 달리, $a×b$와 $b×a$의 결과가 같지 않다. 땋임을 연결하는 순서를 바꾸면 전혀 다른 모양이 되기 때문이다. 즉, 곱셈에 대해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 따라서 해커는 암호를 풀기 위해 연산 순서까지 고려해야 하고, 그 결과 더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 ... ...
- [통계이야기] 고객 맞춤 서비스에는 통계가 있다!수학동아 l2013년 05호
- 계산을 하죠? 이때 바코드를 찍는 기계를 POS 단말기라고 해요. 이 단말기는 컴퓨터와 연결돼 있어 오늘 어떤 물건이 얼마나 팔렸는지, 하루 매출이 얼마인지 등을 바로 처리할 수 있죠. 그 결과 얼마의 기간 동안 어떤 제품이 얼마나 팔렸는지 POS 시스템을 통해 알 수 있답니다.기업들은 이렇게 모아진 ... ...
- 키 크는 유전자는 없다! 해법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주목해보자. 성장판이란 뼈가 자라는 장소로 팔·다리·손가락·발가락 등 관절과 직접 연결된 긴 뼈 끝 부분에 있는 연골이다. X선 촬영을 하면 하나의 선처럼 보인다. 키가 크는 원리는 성장판이 자라면서 늘어난 부분이 단단한 골질로 바뀌면서 결과적으로 뼈가 길어지기 때문이다. 성장판은 ... ...
- [수학실험실] 기하 문제를 푸는 만능열쇠 갈릴레오 컴퍼스수학동아 l2013년 05호
- 컴퍼스 사용설명서갈릴레오 컴퍼스는 두 개가 서로 맞물려 돌아가는 자와 두 자 사이를 연결하는 쿼드란트로 이루어져 있다. 자에는 총 7개의 비례선이 있고, 쿼드란트에는 4개의 눈금이 있다. 여러 종류의 눈금이 있는 만큼, 천체를 관측하거나 높은 건축물의 길이와 벽의 기울기를 잴 때도 이용할 ... ...
- [시사] 20세기 마지막 보편주의자 푸앵카레수학동아 l2013년 04호
- 말고 또 있을까? 2차원 구를 눌러서 변형한 것을 모두 2차원 구라고 본다면, 이러한 ‘단순연결’의 성질을 가진 2차원 다양체는 구밖에 없다. 이는 그리 어렵지 않게 증명할 수 있다. 과학의 대중화에 대한 관심푸앵카레의 질문은 ‘그 다음 차원에서는 어떤가?’이다. 즉 ‘4차원에 놓여 있는 3차원 ... ...
- 개성 만점 로봇 3인방 더 자이언트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나.그리고 정신을 차려 보니 이런 모습으로 있지 뭐야. 쇠사슬 같은 끈으로 저 녀석과 연결된 채 말이지.무무지금 내 말하는 거야? 진짜 불편한 건 나라고! 나는 바퀴 두 개로 움직이는 용감한 로봇 전사 무무야. 한 바탕 전쟁이 일어나고 눈을 떠 보니 내 꼬리가 저 거대한 녀석에게 걸려서 빠지지 ... ...
- PART 3. 구글의 눈으로 보는 세상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연결하는 아이디어는 처음이 아니다. 애플이 아이폰 GPS 정보를 이용해 나이키 신발과 연결하는 ‘나이키 플러스’로 운동량이나 운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했다.구글은 인공지능으로 사용자와 대화를 나누는 방식으로 만들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국내 유일 구글 무인자동차 탑승자 이상묵 ... ...
- 사랑의 묘약, 있다?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4호
- 기억을 담당하는 부분인 해마가 있는데, 옥시토신은 이곳에 있는 신경 세포 사이의 연결을 강화하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일어난다.물 위에 십자 모양 길이 있고, 그 중 두 길에만 벽이 있는 미로(플러스 미로)가 있다. 쥐는 보통 벽이 있는 길로 다닌다. 벽이 있으면 안정감을 느끼기 때문이다. 하지만 ... ...
이전2222232242252262272282292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