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비교분석"(으)로 총 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독특한 철학과 프로그램공개로 성공한 새로운 운영체계「유닉스」과학동아 l1990년 06호
- 최근 국내기업들이 386PC에 한글유닉스를 채용함으로써 유닉스는 PC사용자들에게 한걸음 바싹 다가왔다.최근 컴퓨터 사용자들과 업계에서는 유닉스(UNIX)라는 컴퓨터 운영체계(OS, Operating System)가 많은 화제를 낳고 있다. 대부분의 컴퓨터 전문가들은 유닉스가 앞으로 컴퓨터 운영체계의 표준이 될 것 ... ...
- 30억개의 염기서열을 밝혀낸다과학동아 l1990년 05호
- 이 계획이 성공하면 불치로 알려졌던 유전병의 치료에 새 길이 열릴 수도 있다. 미국 일본 유럽에 이어 한국에서도··· 게놈연구(genome project)란 생명과학에 관한 한 금세기 최대의 야심에 찬 국제적인 계획이다. 이는 핵폭탄을 만들어 냈던 맨하탄 프로젝트(Manhattan project)나 아폴로의 탐색과제와 비 ... ...
- 유기농법, 이땅에서도 가능한가?과학동아 l1990년 05호
- 화학비료와 농약을 뿌리면 섭취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고, 뿌리지 않으면 수확량이 현저히 떨어진다. 이 모순을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각종 농산물에 뿌려지고 있는 농약의 잔류문제가 심상찮게 거론되고 있다. 실제로 이 문제는 매우 심각하다. 하지만 일부 무공해식품 판매업자들이 사회여론을 ... ...
- 마이크로의 세계로 인도하는 셈(SEM)과 템(TEM)의 나상(裸像)과학동아 l1990년 05호
- 최고배율이 2천배에 불과한 광학현미경을 차츰 대체해 가고 있는 전자현미경. 이 경이의 「눈」에 새로운 장비가 계속 부탁되고···이제 전자현미경(electron microscope)은 모든 업무에서 활용되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다. 그만큼 손쉽게 접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특히 주사전자현미경은 시료표면의 미 ... ...
- 기상이변을 감지해낸다과학동아 l1990년 05호
- 기상을 관측하고 분석해서 일기도를 만들기까지의 모든 과정에서 컴퓨터가 맹활약을 하고 있다.개별적으로 수집된 자료를 기상전문가들이 직접 분석해서 손으로 일기도를 그리던 시대는 끝났다. 최근에 와서는 첨단의 위성수신장비와 전산시스템을 이용, 컴퓨터가 스스로 자료를 모아 분석하고 ... ...
- ④ 숫자를 그림으로과학동아 l1990년 05호
- 로터스는 숫자계산에만 '프로'가 아니다. 로터스의 그래픽기능을 이용하면 복잡한 숫자들이 그림으로 일복요연하게 나타난다.복잡한 숫자들의 나열보다 한 장의 그래프가 일목요연한 전달수단이 된다. 열심히 만든 워크시트라 하더라도 다른 사람이 보면 이해하기 힘든 경우가 있기 때문에 여러가 ... ...
- 우주를 보는 또 하나의 창과학동아 l1990년 05호
- 외계에서 오는 미약한 신호를 받아 신비에 싸인 우주의 수수께끼를 풀어내려는 노력이 세계 도처에서 진행되고 있다. 대덕 전파망원경 가동 1년을 맞아 전파망원경의 활약상을 알아본다.인간 자신을 포함한 생명체와 지구, 태양 및 밤하늘에 무수히 빛나는 별 등 우주의 본질에 대한 연구는 인류가 ... ...
- 어느 틈에 수학이 약학으로 바뀌고과학동아 l1990년 04호
- 약학과 3학년의 생활은 고3과 비슷하다. 기초과학에서 응용과학까지 모두 섭렵하려면 어쩔 수 없어…향기로운 봄냄새를 맡으며, 곧이어 눈앞에 펼쳐질 봄꽃 만발한 관악캠퍼스를 생각하니 즐거움이 감돈다. 관악의 겨울이 유난히 춥기때문일까.관악캠퍼스의 봄꽃은 진달래 개나리 벚꽃이 주종이다 ... ...
- 작은 꼬인 빛 Tiny Twisty Light과학동아 l1990년 04호
- 천문학의 가장 큰 수수께끼의 하나는 잃어버린 질량의 신비다. 지난 1월 몇몇 천문학자들은 잃어버린 질량은 어느 정도 볼 수 있게 할 수도 있다고 안했다.잃어버린 질량은 볼 수 없거나 확인될 수 없지만 천문학자들이 있다고 확신하는 우주 안의 물체에 속한다. 그들은 그것이 무엇인지 무엇일 수 ... ...
- W, Z입자의 실체를 찾아서과학동아 l1990년 04호
- 맥스웰의 전자기이론과 비견되는 GSW 이론은 W와 Z, 두 입자의 발견으로 검증되었다. 이제 마지막 하나 남은 힉스입자만 찾아내면…“카를로, 이리 와 봐요."루돌프 프뤼비르트가 전화에 대고 카를로 루비아(Carlo Rubbia)를 황급히 불렀다."무슨 일이야. 루디""우리가 지금까지 찾던 이벤트(event)가 드디 ... ...
이전2222232242252262272282292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