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으)로 총 8,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전선 없는 세상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전력을 보내는 방법도 있겠지요. 실제로 무선전력전송 기술을 가장 주목하고 있는 분야는 태양광 발전입니다.지상에서는 태양 에너지를 받는 시간과 받지 못하는 시간이 나뉩니다. 또한 날씨의 영향도 받지요. 그러나 우주는 다릅니다. 지상보다 훨씬 큰 태양에너지로 시간과 날씨에 상관없이 ... ...
- [포커스 뉴스] 급격하게 퍼지는 AI 공포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번지는 바이러스성 질환인 만큼, 추가 전염을 막기 위한 가장 근본적인 방법이다. 살처분한 조류는 밀폐 공간에 매몰해, 다른 조류가 바이러스에 노출되거나 사체에서 흘러나오는 침출수에 환경이 오염되는 일을 막는다.만약 사람이 AI에 걸리면 어떤 증상이 나타날까. 가장 흔한 증상은 기침이나 ... ...
- [Issue] 100만 군중 안전하게 대피하려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하지만 뛰어가는 사람이 둘이 되고, 셋이 되면서 하나의 장(field)을 이루게 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대피로의 위치와 상관없이 그들의 흐름에 동참하게 됩니다. 헬빙 교수는 저서 ‘복잡성과 시스템 과학 백과사전’에서 이렇게 밝혔습니다.“패닉 상황에서는 순간적인 관심에 의해 많은 것이 ... ...
- [Origin] 은둔의 물리학자가 발견한 비밀 입자, 마요라나 페르미온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여러 측면에서 그의 행보와 유사하다. 현대 물리학자들은 과연 에토레 마요라나의 분신인 마요라나 페르미온을 찾을 수 있을까. 그들의 손에 입자물리학의 난제와 양자컴퓨터의 미래가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인공 마요라나 페르미온에 도전하는 사람들2012년 4월 13일자 ‘사이언스’에는 ... ...
- [Culture] 11분의 1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다 준비해놨어. 설명을 다 들으면 화가 안 날 거야. 두 사람은 타기만 하면 돼……”흥분해서 남선 오빠를 발로 차려고 시도하다가 다시 경호원 두 사람 사이에 대롱대롱 매달리게 되었지만, 그 정도면 정상적인 반응 아니었을까요? 남선 오빠는 얼른 저를 피해 도망쳤습니다.그날 기준 오빠가 저를 ... ...
- Part 1. 1월 1일, 1초가 늘어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서로 전파가 오가는 시간을 측정해 위치를 알아내요. 그런데 인공위성의 시계가 1000분의 1초만 틀려도 위치가 300km나 어긋나게 되지요.특히 인터넷을 통해 돈 거래를 할 때 시간이 아주 중요해요. 예를 들어 돈을 보내는 사람과 은행 사이에 시간이 1초만 달라도 이 차이를 이용해 돈을 훔칠 수 있어요.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영웅의 아들 제1화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바로 마고였다. 마고는 하림이 5살 되던 해에 조그만 드론을 선물했다. 그 드론은 마고의 분신으로 하림은 언제든지 마고와 이야기할 수 있었다. 특별한 선물이었지만, 이럴 때는 족쇄였다. 학교 안까지 따라 들어오지는 않지만, 건물 밖으로 나가기만 하면 마고가 들러붙었다. 둘도 없는 친구기도 ... ...
- [Future] 1초를 둘러싼 전쟁, 윤초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더 큰 부담이 된다. 윤초 폐지를 지지하는 국가들은 1초는 아주 짧은 시간이라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는 이 차이를 느끼지 못할 것이라고 말한다. 원자시와 천문시가 1분 이상 차이가 나려면 100년 이상이 걸리기 때문이다. 사실 윤초 제도는 단 ‘1초’의 차이도 용납하지 않고 메꾸려는 ...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셈이다. 김 교수는 “다만 빅데이터 등의 수요가 있기 때문에 10년 내로는 특정 응용 분야에 대한 3진법 컴퓨터의 시제품은 나오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0과 1을 넘어서, 3진법 엔지니어링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Part 2. 3진법 시대, ... ...
- [Issue] 기후 위협하는 비행기구름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인도를 비교했는데 우리나라는 일본과 수치가 비슷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1950~1980년대 글로벌디밍 현상이 나타났다가 1980년대 이후부터 브라이트닝 현상이 나타나고 있었다.하지만 중국과 인도는 여전히 글로벌디밍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2000년대 이후 미국과 ... ...
이전2222232242252262272282292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