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기
순풍
욕구
소원
바람구멍
구멍
구녕
d라이브러리
"
바람
"(으)로 총 3,46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가 선정한 2004년 하이테크 20選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않을 만큼 진동이나 충격에 강하다. 50℃의 고열, 영하 10℃의 추위, 95%의 습도, 강한 모래
바람
같은 혹독한 환경에서도 너끈히 작동한다. 단 무게는 일반 노트북보다 약 1.5kg 무거운 4.3kg. 지난 2002년 미국 라스베이거스 컴덱스에서 허머북을 물에 반쯤 담근 채로 사용하는 모습을 시연해 관람객들의 ... ...
종이로봇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날아라 날아라 높이높이 날아라 우리 비행기~’ 어린시절 학교 운동장에 나가 시원한
바람
을 맞으며 종이비행기를 접던 추억을 누구나 하나쯤은 갖고 있다. 칙칙한 8절 연습장을 뜯어온 아이에서 누나 몰래 두툼한 고급 도화지를 가져나온 꼬마녀석까지. 가을철 운동장 하늘은 형형색색 크고 작은 ... ...
동해에서 육지가 떠오른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식어 굳어진 심성암에 속한다. 그 위에 쌓여있던 다른 암석들이 오랜 세월 동안 비,
바람
, 여러 생물들의 풍화작용과 지각변동으로 깎여나가야 비로소 화강암이 지상에 드러난다. 그래서 보통 화강암이 만들어지고 발견되기까지는 오랜 세월이 걸린다. 필자는 울릉도에서 발견한 화강암이 과연 ... ...
새만금 갯벌에 기댄 어민들의 삶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주민들은 대책 없이 내몰릴 운명에 처해있다.가을엔 망둥이 낚고 겨울엔 숭어 낚는다찬
바람
들고 나락이 누렇게 익을 무렵 계화도 사람들의 망둥이 낚시에 따라나섰다. 등에 둘러멘 큼직한 구럭, 1m가 채 안되는 댓가지, 허리를 잘라낸 1.5L 페트병이 채비의 전부. 페트병은 미끼인 민챙이로 채웠다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선생님이 질문하면 떨려서 아는 것도 대답을 못할 정도였죠.”어머니가 일찍 돌아가시는
바람
에 문 박사는 점점 더 어두운 성격으로 변해갔다. 그런 자신의 모습을 깨닫고 그는 이러면 안되겠다 싶어 밝아지려고 무던히도 애를 썼다. 성격마저도 스스로의 의지로 바꾼 것이다. 지금도 어린 시절 ... ...
'풍력' 세계 전력수요 충분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6배였다. 그러나 서유럽은 2배에 그쳤으며 인구 밀집도가 가장 높은 동남 아시아는
바람
자원이 부족해 풍력만으로는 충분한 전기를 생산할 수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 ...
2080년 '초강력 태풍' 출현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태풍의 위력도 더욱 커지는 것이다. 현재 최대 위력의 태풍은 5등급으로 초속 69m 이상의
바람
과 5.5m 이상의 해일을 동반하며 건물도 무너뜨릴 수 있을 정도의 위력을 갖추고 있다. 5.5등급 허리케인은 태풍 주위의 폭우가 5등급보다 20% 심해지는 등 더 강력해진다. 연구자들은 지구온난화 때문에 태풍 ... ...
숨 못 쉬는 조산아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비용만 지원되면 수년후에는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겁니다.”이 교수의
바람
이다.엄마 배 ‘밖’ 에서 자라는 태아?이제 기자의 상상은 어느새 저 멀리 가 있다. 인공태반? 인공자궁? 그렇다면 언젠가는 여성이 임신으로부터 ‘해방’ 될 수 있지 않을까.체외수정한 수정란을 실제 ... ...
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계속 보시려면?신에너지혁명이 시작된다 01. 10년내 진짜 석유대란 온다 02.
바람
과 태양이 세상을 바꾼다 03. 수소 경제가 뜬다 연료전지04. 핵융합 vs. 우주태양광 - 2050년 상용화 목표 암컷의 2개 X염색체 중 한쪽의 기능이 비활성화(非活性化)하는 현상 고등포유동물에서 나타난다X염색체 위에 ... ...
태풍 오면 왜 영동지방에 폭우 내릴까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한반도를 통과하지 않고 일본 쪽으로 비켜간다 하더라도 태풍으로 인해 동풍계열의
바람
이 불면 영동지방에 지형성 강우가 발달할 가능성이 높다.루사로 인해 발생한 영동지방의 폭우는 태풍 자체뿐만 아니라 지형적 특성과 태풍 상륙 전 이 지역의 기상상황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2003년 ... ...
이전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