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단
대
교단
지휘대
단체
강단
구
d라이브러리
"
단
"(으)로 총 3,82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에서 몸무게 0, 다이어트 고민 끝?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가면 어떤 일을 할 계획인가.ISS에서 크게 3가지 일을 할 계획이다. 상업적인 목적으로
단
백질 결정 성장실험을 한다. 일본 시계 회사 세이코와 미국 특급배달서비스 회사 DHL이 의뢰한 실험도 몇 가지 준비돼 있다. 예술가인 어머니를 존경하는 뜻으로 몇 가지 예술 활동도 할 생각이다. 마지막으로 ... ...
밤하늘에 꼭꼭 감춰진 보물, ‘딥스카이’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같은 요소를 얼마나 잘 살렸느냐가 사진의 수준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플레이아데스 성
단
은 별을 둘러 싼 파란색의 빗살무늬 성운기가 핵심이다. 캘리포니아 성운 같은 발광성운은 붉은 색감이 생명이다.안드로메다은하를 촬영할 때 포인트는 무엇일까? 은하 중심부를 휘감는 암흑대와 위성은하인 ... ...
통합교과 지식이 핵심 열쇠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전문가들에게 첨삭과 평가를 받아보는 게 좋다. 친구끼리 답안을 돌려보고 서로의 장
단
점을 찾아보는 것도 한 방법이다. 일곱째,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키운다. 유형화된 문제 풀이에 치우치지 말고 논술에 대한 학습법을 스스로 만들어야 한다. 무조건 암기하지 말고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 ...
“미래 이끌 과학 인재 양성이 목표”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내용을 심화 공부하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정숙 교장은 “세종과학고를
단
순히 학교시설뿐 아니라 교육내용, 인성교육 등 전 분야에서 전국 최고의 과학고로 만들고자 꾸준히 노력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 ...
[물리]변압기가 작동하는 원리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크기는 1차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시간 변화율에 비례하며 ε =-M△I/△t (M:자체유도계수(
단
위 : H, 헨리))이다. 변압기는 상호유도 현상을 이용해 교류 전기의 전압을 바꿀 수 있도록 제작된 장치다. I2/ I1= V1 / V2= N1 / N2 물론 이때 변압기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에너지 손실을 무시한다. 1차 코일의 소비 ... ...
지구과학올림피아드 완전정복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과정에서 해결할 수 없는 고등학교 과정 이상의 문제들도 출제됐다. 다른 해와 달리 천문
단
원 문제가 어렵지 않게 나왔다. 2차 시험은 1박 2일 동안 화석과 습곡지형을 조사하고 천문대에서 별자리를 관찰한 뒤 수행 평가로 11개 문항의 주관식 문제를 푸는 형식이었다. 1차 시험에 비해 쉬운 ... ...
나노 크기 공 모양 입자로 다양한 색상 표현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인쇄해도 사진 인화용 용지에 인화한 효과를 볼 수 있다. 컬러스피어 토너로 ‘날개’를
단
‘CP1215’는 20만 원 중반의 ‘착한’ 가격이지만 인쇄 품질은 고급형 제품과 비교해도 뒤떨어지지 않는다. 다만 잉크젯 프린터보다 출력 시간이 오래 걸리는 점은 아쉽다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높은 예상문제를 풀어봄으로써 실전감각을 길러두자. 1. A에서 출발해 B까지 최
단
거리로 가는데, 한 칸을 움직이는데 걸리는 시간은 1시간이라고 한다. 1) 학교를 지나지 않고 B까지 가는 방법의 개수는? 2) 학교에서 1시간 이상 머무르는 경우의 개수는? 예시답안 1) 그림에서 A에서 B까지 이동하려면 C, ... ...
[지구과학]구름이 하늘에 떠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0.3″이다. 별 B는 겉보기 1등성으로 시차는 0.05″이고 스펙트럼형은 둘 다 K형이다.
단
모든 별은 흑체로 가정한다. 1) 별 B의 실제 밝기(광도)는 별 A의 몇 배인지 구하라. 2) 철수는 별 B와 태양의 시직경(관측자가 항성의 지름을 본 각도)을 관측하고 이를 이용해 별 B의 반지름이 태양 반지름의 45배임을 ... ...
진짜기자 명예기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9호
한반도 상공을 지나는 짧은시간 동안만 무선교신이 가능하기 때문이죠.
단
1초도 허비할 수 없기 때문에 실전처럼 연습하지 않을 수 없었어요.두근두근, 교신 시간!1차 교신이 이뤄지는 4월 13일! 그간 열심히 연습해서인지 모두 자신있는 표정으로 행사장에 들어왔어요. 드디어 국제우주정거장이 ... ...
이전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