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날
지난날
예전
태고
왕년
옛적
과거지사
d라이브러리
"
과거
"(으)로 총 3,665건 검색되었습니다.
라이트 형제의 인류 최초 동력 비행기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거둔 것은 없고 그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는 상태천체의 운행을 나타내는 기계 천체의
과거
·현재·미래의 운행을 영상화하여 주로 교육적인 목적에 사용된다 하지만 천체 운행의 간단한 계산기로도 이용된다 플라네타리움은 그 기능상 크게 3부분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번 째 항성 투영부에서는 작은 ... ...
4 개는 인간의 생각을 가장 잘 읽는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있다고 한다.어느 지역 늑대가 가장 오래된 개의 선조인지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과거
에는 소아시아 지역의 소형 아라비아 늑대가 사람들에게 길러진 후 전세계로 퍼졌다는 주장이 정설로 받아들여졌다.그러나 최근에는 개와 늑대의 미토콘드리아 DNA 염기서열 비교연구에 따라 중국 늑대가 ... ...
푸른빛의 환상! 플레아데스성단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뿌연 구름 모습으로 보인다. 하지만 시력이 좋다면 6-8개 가량의 별로 구분해 볼 수 있다.
과거
유명한 천문학자들은 십여개의 별을 세기도 했으므로 자신의 시력을 테스트해보는 것도 흥미롭다 하겠다. 밝은 별들만으로 본 성단의 시직경은 천구상에서 약 1.5도 가량으로 보름달 크기의 3배다. 이 작은 ... ...
진화는 1백m 경주인가 넓이뛰기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그것이 불완전하기 때문이 아니라 실제로 불연속적인 변화들, 즉 격변들이 지질학적인
과거
에 빈번히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고생물학자들이 다윈 이후로 1백년이 넘게 연구를 거듭했지만 대부분의 화석기록은 여전히 진화가 점진적으로 일어나지 않았다는 사실을 보여줄 뿐입니다. 1972년에 저와 ... ...
최초의 나노과학자 돌턴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돌터니즘(Daltonism)은 색맹을 나타내는 용어가 되었다.그러나 이번 행사는 단순히 돌턴의
과거
업적만을 칭송하는 자리는 아니었다. 먼저 돌턴은 화학혁명뿐 아니라 미래과학의 주역으로 떠오르는 나노기술의 아버지로도 칭송된다.영국왕립화학회 회장이자 노벨상 수상자인 해럴드 크로토 박사는 1 ... ...
아인슈타인 우주로의 시간 여행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줄 아는 우주론 분야의 최고 전문가다. 그는 비극적으로 죽은 사랑하는 사람을 구하려고
과거
로 돌아가고자 하는 사람들로부터 시간여행에 대한 연구 내용을 알고 싶다는 전화를 종종 받는다고 한다. 고트 박사는 그런 전화를 아주 진지하고 심각하게 받아들였으며, 이 책 역시 그런 질문에 답하기 ... ...
“우주는 12면체로 이뤄진 축구공” 주장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쓰여져야 할 운명에 처할 것이다.기하학적 우주를 상상해낸 천재들우주의 구조는 이미
과거
수천년동안 인류의 상상속에 다양한 모습으로 그려져 왔다. 기하학적인 우주 형태설의 원조는 그리스의 철학자 플라톤(BC 429?-BC 347)이었다.수학을 중시했던 그는 우주를 구성하는 다섯가지 물질(불, 공기, ... ...
북쪽하늘 모범생 은하 M33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델타에 위치해M33이 위치해 있는 삼각형자리는 오래 전부터 알려져 있던 별자리다.
과거
이집트에서는 이 별자리를 ‘나일강의 델타’라고 불렀다고 한다. 그 이유는 삼각형의 모습이 그리스문자 델타와 닮았기 때문이다. 가을철의 유명한 별자리인 안드로메다자리와 양자리의 사이에 끼어 있는 이 ... ...
몸속 1㎏ 미생물이 우리 몸 지킨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바이러스가 속하는 레트로바이러스의 DNA가 전체 DNA의 1-2% 정도라고 한다. 이 사실은
과거
어느 시점에서 우리 몸 안에 살고 있던 미생물들의 유전자가 세포 속으로 들어와 자리잡았음을 의미한다. 즉, 미생물과 사람 간에 서로 유전자까지도 교환한 것으로 볼 수 있다.지구 생명의 역사를 더 거슬러 ... ...
우주기원 좇아 발진한 적외선망원경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있는데, 이 원시은하들 역시 적외선으로 관측해야 한다. 멀리 있는 은하를 관측해
과거
우주의 역사를 탐구하는데 적외선 관측이 필요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지상망원경이나 허블우주망원경으로도 적외선을 볼 수 있지만 파장이 짧은 근적외선의 일부에서만 관측이 가능하다. 많은 적외선 ... ...
이전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