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간"(으)로 총 5,53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우주의 ‘지문’이 등장하기까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분포는 거의 전체가 균일했다. 우주는 처음에 태어났을 때 균일했지만 이후 팽창하면서 공간 사이가 크게 벌어졌고, 서로가 서로를 ‘참조’할 수 있는 한계를 크게 벗어났다.부산에서 나룻배 두 개를 띄웠다고 해보자. 둘은 서로 손짓 발짓을 하며 속도를 통일시키기로 했다. 그런데 두 배는 가는 ... ...
- 수학 7대 난제 정말 풀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5호
- 강입자 등으로 불린다)의 특징이다.그럼 나머지 질량은 어디에서 나타날까. 이 문제는 ‘공간에서 질량을 가진 입자가 나타날 수 있는가’의 문제와 관련이 있고, 여기에 관여하는 수학적, 이론물리학적 문제가 바로 질량 간극 가설이다. 새천년 상 문제는 이 가설을 수학적으로 증명할 것을 ... ...
- 황금빛 햇살을 그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비슷한 ‘금’을 본 것은 통영의 달아공원에서였다. 지는 해가 하늘과 바다 사이에 제3의 공간을 만들고 있었다. 거제와 같은 남해 바다니, 아마 황 시인이 본 것과 같은 빛이었을지도 모르겠다.자연을 따라 하기 좋아하는 게 사람의 속성이다. 지는 해의 신비로운 금빛을 다른 곳에 재현할 수 있을까. ... ...
- PRAT 3. 3D 르네상스, 이제 소리도 3D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앉은 사람은 왼쪽 귀에서 공이 날아가는 소리가 들린다. 스크린에서 객석까지의 실제 공간을 기준으로 소리를 좌표로 나타냈기 때문이다.물론 실제 극장에서 이렇게까지 극단적으로 들리게 할 수는 없다. 극장은 어느 좌석에서나 동일한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3차원 ... ...
- [화보] 종이로 만든 입체 예술 , 팝업아트수학동아 l2013년 04호
- 팝업 북을 시중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다. 기술도 점점 발전해 책을 펼치면, 마치 가상의 공간에 들어와 있는 듯 생생한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이렇게 입체감을 살리기 위해서는 대칭과 비례는 물론, 보는 시야에 따라 원근법을 강조하거나 종이의 높낮이를 다르게 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 ...
- 나누는 기쁨, 더하는 즐거움!수학동아 l2013년 04호
- 호응을 얻었다.작년 축제 때는 한 가지 모양을 반복적으로 나열해서 틈이나 포개짐 없이 공간을 완전히 뒤덮는 ‘테셀레이션’을 주제로 강의했어요. 그런 뒤에 참가자들이 직접 테셀레이션 작품을 만들어 볼 수 있도록 했어요. 처음엔 헷갈려 하는 사람도 많았지만, 다 만들고 나서 즐거워하는 ... ...
- [시사] 20세기 마지막 보편주의자 푸앵카레수학동아 l2013년 04호
- 도입된 개념이다. 점, 직선, 평면, 원, 삼각형, 입체, 구와 같은 기하학적 도형을 1개의 공간으로 보는 것을 뜻한다.하지만 이 둘에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아래의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농구공 표면에 동그란 루프를 그리면 조금씩 연속해서 결국 한 점으로 오그라든다. 그러나 도넛에서는 한 ... ...
- [현장취재] 온가족이 즐거운 수학체험관 궁리마루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이치를 마음 속으로 깊이 생각해 본다는 뜻의 ‘궁리’와, 온 가족이 모여 소통하는 공간인 ‘마루’를 합성해서 지은 이름이다. 학교 건물을 리모델링해서 작년 4월 초에 개관한 궁리마루는 지난 1년 동안 13만 명이 다녀갔을 정도로 성공적인 한 해를 보냈다.에서 찾아간 때가 평일 ... ...
- 4화 평행우주에서 찾은 사랑수학동아 l2013년 04호
- 님이 사는 시공간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 아니에요?”“피타피타!”피타가 시공간 정보 사전을 손에 들고 있었다. 거기에는 데카르트의 정보가 적혀 있었다.“1596년부터 1650년까지? 1650년? 우리가 데카르트 님을 처음 만났던 시간이잖아?”“그렇군. 난 곧 생을 마감할 예정이었군. 그렇다면 ... ...
- 도로시의 카오스 여행기 혼돈에 빠진 오즈를 구하라!수학동아 l2013년 04호
- 발견한다. 대기의 변화를 수학적으로 모델링 하기 위해 만든 방정식을 풀어 위상공간에 그리자 이상한 일이 벌어졌다. 점의 궤적이 어떤 한 점이나 기하학적 형태로 나타나지 않고, 일정 범위 안에서 나비 모양을 유지한 것이다. 이를 ‘로렌츠 끌개’라고 한다. 로렌츠의 첫 발견 이후, 과학자들은 ... ...
이전2222232242252262272282292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