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앞발
주먹
도움
손바닥
약혼
sone
so’n
d라이브러리
"
손
"(으)로 총 3,913건 검색되었습니다.
1. 우주는 왼
손
잡이 물질이 지배하는 세계
과학동아
l
200412
영국의 저명한 이론물리학자인 폴 디랙은 물리학에 대한 철학적 의미를 묻는 태도에 대해 늘 회의적이었다. 물리학자는 엄밀한 수식을 통해 자연의 법칙을 드러낼 ... 코드 비대칭 1. 우주는 왼
손
잡이 물질이 지배하는 세계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 3.
손
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 ...
3.
손
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0412
%자녀가 왼
손
잡이일 확률 : 25×0.48(DC) + 50×0.36(CC) = 30%3. 부모 한쪽이 오른
손
잡이, 한쪽은 왼
손
잡이인 경우 자녀가 오른
손
잡이일 확률 : 100×0.34(DD) + 75×0.56(DC) + 50×0.10(CC) = 81%자녀가 왼
손
잡이일 확률 : 25×0.56(DC) ...
종이로봇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200412
대당 수백~수천만 달러에 이르는 탐사선에 만일 이상이 생겨 임무에 실패하면 엄청난
손
실을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이 때문에 기능은 간단하지만 훨씬 저렴한 탐사선을 대량으로 제작해 보내자는 의견이 대두됐다. 한마디로 ‘물량공세’를 펼쳐 성공가능성을 높이자는 것이다. 좀더 값싼 ... ...
술, 담배, 마약 왜 끊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0412
이는 모르핀이 도파민 신경세포를 공격한다는 뜻. 따라서 이를 치료하기 위해 체내에서
손
상된 신경세포를 회복시키는 신경성장인자를 추가로 주입하는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불행히도 신경성장인자를 몸 밖에서 주입하면 뇌로 곧바로 들어가지 못한다. 두개골에 구멍을 내 직접 투여해야 ...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11
많은 관심과 지원을 받아 세계적 경쟁력을 지닌 우수한 연구결과들이 우리 과학자들
손
에서 속출하기를 기대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04 노벨상 따라잡기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2004 엽기 ... ...
뇌지문으로 거짓말 탐지할 수 있나
과학동아
l
200411
특정 부위가 있다고 ‘미 국립과학원회보’ 에 발표했다. 투비 박사팀은 뇌 변연계에
손
상을 입은 환자와 정상인을 비교연구한 결과 사람에게 사회적 속임수를 가려내는 신경회로가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아예 거짓말 할 때 나오는 뇌파에 대한 연구도 주목받고 있다. 미 뉴욕시립대 퀸스칼리지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
과학동아
l
200411
얼마전 막 내린 아테네올림픽 역도 종목에서 아깝게 은메달에 머물고도 시종일관 환한 미소를 보였던 이배영 선수를 기억하는가. 팬들은 그에게 ‘역도계 살인미소’라는 별명을 ... 문 박사. 그에게 한국 과학계가 낳은 ‘표준맨’이라는 또다른 별칭을 선물해도
손
색이 없지 않을까 ... ...
만약
손
가락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0411
2004년 가을,
손
바닥 프린트가 찍혀있는 거대한 현수막이 드리워진 이곳은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이다. 오늘 밤은 인기 재즈밴드 O-Square의 공연이 있는 날이다. 잠 ... 수학과 언어를 발전시켰으며, 지금도 우리의 뇌를 변화시키고 있을 자그마한 10개의
손
가락이 가진 거대한 힘이 보이는가 ... ...
과학자 3천명 축제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0411
아니었다. 페달이 발판 모양으로 생긴 자전거, 바퀴는 매우 작고 안장은 낮은 대신
손
잡이는 매우 높은 자전거, 밑바닥에 스프링 장치가 달려 통통 점프하면서 다닐 수 있는 운동화 등 상식을 뒤엎었지만 여전히 움직임의 역학을 보여주는 것들이었다.무선이동통신 기술인 블루투스를 직접 체험해 ... ...
미분방정식 풀어 애니메이션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11
이곳에서 연속함수가 끊기게 된다. 이때 미분방정식을 이용해 연속함수로 이어주면
손
상된 부분이 자연스럽게 복원된 매끄러운 얼굴사진을 얻을 수 있다.이 교수팀에서는 이밖에도 나노분야에 필수장비인 원자현미경의 측정결과를 제대로 표현할 수 있는 알고리즘 개발 연구 등을 진행하고 있다 ... ...
이전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