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이에나의 ‘SNS’는 미생물?어린이과학동아 l201323
- 식 페이스북 같은 ‘SNS’인 셈이지.응? 냄새만으로 그걸 알아낼 수 있어? 어떻게?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케빈 테시스 박사 연구팀이 연구한 결과로는 우리 몸에 살고 있는 미생물 덕분이라고 합디다. 테시스 박사는 초원에 사는 점박이하이에나와 건조한 바위 지대에 사는 줄무늬하이에나의 취선, 즉 ... ...
- 과학동아천문대 서울의 중심에서 별을 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23
- 왜 서울 같은 도시에서는 별을 보기 어렵지?도 시는 밤에도 불빛이 강해서 상대적으로 약한 별빛을 보기 어려운 거야. 하지만 이제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도 별을 볼 수 있다고.맞아! 용산에 과학동아천문대가 생겼거든.도심에서도 다양한 별을 볼 수 있다고~!금성이 초승달 모양이라고?엇 , 언니. ... ...
- 날아라, 신통방통 미래 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1323
- 빠른 시간에 날아갈 수 있어요. 이렇게 우주를 거쳐 날아가면 우리나라 인천공항에서 미국 뉴욕 존F. 케네디국제공항까지 약 45분이 걸릴 거예요.극초음속비행기는 로켓과 마찬가지로 공기가 없는 우주에서도 연료를 태울 수 있게 산소를 함께 싣는 로켓엔진을 달아야 한답니다.과학자들이 만드는 ... ...
- 무한도전 & 무한변신 미래 디스플레이어린이과학동아 l201322
- 디스플레이 제품은 2016년쯤에 나올 거라고 전망했단다.늘어나기도 하는 디스플레이2013년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학교 과학자들은 OLED를 이용해 고무처럼 늘어나 크기가 2배 이상 커지는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단다. 이 OLED로는 접을 수도 있고 투명해 영화 속에서나 보던 늘어나는 스마트폰을 ... ...
- 카메라 VS 디지털 카메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22
- 인화하지 않아도 바로 사진을 볼 수 있어요. 세계 최초의 디지털카메라는 1975년, 미국 코닥사의 스티브 새슨이 발명했는데, 겨우 1만 화소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이미지센서를 가지고 있었고, 촬영된 사진은 카세트 테이프에 저장됐답니다. 디지털카메라는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고 있는데, 아래에서 ... ...
- 2013 노벨상 키워드는 ‘힉스, 분자, 세포’어린이과학동아 l201321
- 거대 분자의 구조와 복잡한 화학 반응을 미리 알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한 미국의 마르틴 카르플루스, 마이클 레빗, 아리에 아르셸 교수가 수상했어요. 이들이 1970년대에 개발한 프로그램은 지금도 전 세계 화학 연구실에서 신약이나 촉매를 개발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답니다. 실제가 ... ...
- 엄마의 스트레스, 아이의 ADHD?어린이과학동아 l201321
- 따라 아이가 ‘ADHD(주의력결핍행동장애)’ 증세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어요.미국 콜롬비아대학교 프레데리카 페레라 교수 연구팀은 폴란드 크라노프 지방의 여성 248명의 환경호르몬 노출 정도와 스트레스 상태, 그리고 이들이 낳은 아이들의 행동 발달 상황을 관찰했어요. 그 결과 ... ...
- 치르치르의 응답하라 외계생명체어린이과학동아 l201321
- 미생물을 찾아냈답니다. 환경에 따라 능력을 꾸는 거지요. 또 미국과 독일 공동 연구팀은미국 옐로스톤 국립공원의 뜨거운 온천 속에 사는 홍조류인 갈디 에리아가 극한 환경의 박테리아 유전자를 ‘훔쳐서’ 중금속이나 염분이 가득한 환경에서도 견디는 능력을 얻었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 ...
- ‘지구 수호 벨트’의 비밀이 풀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20
- 5000㎞ 두께의 외부 벨트로 이루어져 있답니다. 한국천문연구원 김경찬 선임연구원팀과 미국항공우주국(NASA), 로스엔젤레스 캘리포니아대학교(UCLA)의 공동 연구팀은 최근 새로운 반 알렌 벨트를 발견하고, 새 벨트를 만드는 원인까지 찾아냈어요.연구팀은 지난해 8월 발사한 방사선 벨트 관측 ... ...
- 큐리오시티, 화성에서 물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20
- 지난해 12월에 NASA에서 화성 토양에 물 분자가 있다는 사실을 발표한 이후 두 번째예요. 미국 렌셀러 폴리테크닉대학교의 로리 레신 교수 연구팀이 제가 채집한 화성 표면의 토양을 시료분석기에 넣어 분석한 결과 토양 1㎥ 에 약 2pt(파인트, 1파인트=0.47리터)의 물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지요. 이를 ... ...
이전2222232242252262272282292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