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립자
원자에너지
에너지
에네르기
태자
황태자
전자
뉴스
"
원자
"(으)로 총 2,554건 검색되었습니다.
南北 대화 모드, 과학계에도 온풍 부나
2015.08.28
한국
원자
력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단기적으로는 즉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중소형
원자
로인 ‘스마트(SMART)’로 북한 지역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며 “북한의 풍부한 우라늄 자원을 개발하면 양측 모두 핵연료를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 ...
역대 가장 무거운 입자로 표준모형 대칭성 확인
2015.08.27
연구진 대표인 유 교수는 “기본입자 뿐 아니라 기본입자들이 만든
원자
핵에서도 반물질
원자
핵과 엄밀한 대칭성이 나타난다는 것은 실재하는 우주의 대칭성을 강력히 시사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네이처’의 자매지 ‘네이처 피직스’ 17일자에 실렸다. ... ...
PART 0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08.27
‘재료’가 조금 특별하다. 지구에서는 태양에서 방출된 전자가 대기 중의 산소
원자
와 작용해 초록색을 띠는 반면, 토성의 오로라는 수소로 만들어져 붉은 색을 띤다. 오로라는 높이가 1000km에 이르러 그야말로 장관을 이룬다. 천왕성 - wikipedia.org 제공 ● 청록빛의 ‘흐르는 얼음’ 천왕성 ... ...
[2015 아태 젠더서밋 ①] “방사능 노출 시 男 보다 女 취약”
2015.08.27
담고 있다. 폴리처 소장은 “‘맨해튼 프로젝트(제 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 정부의
원자
폭탄 개발 계획)’에 참여했던 지도교수의 영향으로 과학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한 게 젠더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2011년부터 매년 개최되는 젠더서밋에서는 전 세계 ... ...
은하수 저편에서 ‘유령입자’ 샘솟는다
2015.08.20
달았다. 관측 시설 부피만 1㎦에 달한다. 아이스큐브는 남극 얼음 속에 들어 있는 수소
원자
와 중성미자가 반응할 때 뮤온이라는 입자를 생성하면서 남기는 섬광을 광센서로 포착해 중성미자의 존재를 확인한다. 연구진은 이 장치를 이용해 2010년부터 최근까지 고에너지 중성미자 21개를 ... ...
“다 잡아 먹겠다” 가시광 흡수율 높인 초박막 광소재
2015.08.18
만든 소재에 비해 같은 두께로도 4배 이상 흡수력이 좋았다. 김 교수는 “초박막 소재를
원자
단위로 미세조절하는 기술은 소재의 물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원천기술이기 때문에 더 의미가 있다”며 “향후 종이보다 얇고 구겨지는 태양전지, 광센서 등을 만드는 데 기여할 것”이라 설명했다. ... ...
그래핀 따윈 버려! ‘포스포린 반도체’ 나왔다
2015.08.14
변화를 주기 위해 포스포린 위에 흡착시켰다. - 포스텍 제공 국내 연구진이 흑린(黑燐)을
원자
한 층 두께로 떼어 내 반도체 재료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처음 확인했다. 인(P)에 고온 고압을 가하면 흑린이 되고, 흑린 표면에서 몇 층을 떼어 내면 머리카락 굵기의 10만 분의 1 수준인 0.5nm ... ...
사람의 폭력성은 진화의 산물일까
2015.08.09
이 가설을 토대로 어느 시간에 폭발해 우주가 점점 팽창하고 있다는 빅뱅 모델이 나왔다.
원자
핵물리학과 전파천문학이 발전하며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하게 돼 이 모델을 뒷받침할 수 있었다. 이렇듯 빅뱅 이론은 고대 그리스부터 품어온 의문을 해결하려는 결론에서 나왔다. 저자는 빅뱅이론을 ... ...
레이저 쪼여 50배 빠른 초박막 반도체 개발
2015.08.07
IBS) 나노구조물리연구단장과 양희준 연구위원.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원자
한 층 두께의 신소재를 이용해 기존 초박막 반도체보다 속도가 50배 빠른 반도체 소자를 개발했다. 이영희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구조물리연구단장과 양희준 연구위원(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은 ... ...
플라스틱으로 전기회로 만드는 방법 찾았다
2015.07.31
않는다. 반면 빛을 쪼이지 않은 부분은 열을 가해 주면 녹아서 그래핀의 재료인 탄소
원자
가 생긴다. 김 교수팀은 이렇게 만든 플라스틱 전기회로를 그래핀을 처음 개발한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맨체스터대 교수에게 보내 성능을 검증한 결과 기존 그래핀만큼 전기가 잘 흐를 뿐 아니라 회로 경계를 ... ...
이전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