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렬
큰
이음보
뉴스
"
대형
"(으)로 총 3,20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우주개발 기술 수준 높아… 러시아와 협력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17.08.11
것, 그리고 마지막으로 ‘협업 능력’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우주정거장 개발 등
대형
사업은 모두 다 국제 협력으로 진행됐다”면서 “공동 협력을 만들어 내는 능력이 성공의 열쇠인 만큼 한국과 러시아, 양국의 협력이 좀 더 넓은 분야에서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
경량화-성능 안정화 성공… ‘한국형발사체’ 우주 향한 꿈 순항 중
동아사이언스
l
2017.08.11
진행된 한국형발사체(KSLV-Ⅱ) 시험발사체 이동 훈련을 보며 이렇게 설명했다.
대형
트레일러가 길이 26.1m, 지름 2.6m, 무게 53t에 이르는 시험발사체 모형을 싣고 구불구불한 오르막 산길을 서서히 오르고 있었다. 무게중심과 무게, 크기 등을 실제 발사할 시험발사체와 동일하게 만들어 안전하게 ... ...
바다에 익사할 뻔한
대형
방울뱀
팝뉴스
l
2017.08.10
있었다. 낭만적이고 행복한 산책이었다. 그런데 전혀 예상하지 못한 상황이 벌어진다.
대형
방울뱀이 바다에서 기어 나온 것이었다. 강력한 독을 품은 다이아몬드무늬 방울뱀이었다. 독사가 파도를 뚫고 바닷가에 상륙하다니. 만화 같은 상황이다. 어떻게 이런 일이 있을 수 있을까. 현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우리의 소화 효소에도 변화가 생길 수밖에 없다. 오늘날 인간의 해독 체계와 효소 화학이
대형
유인원들과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알려진 바는 극히 적다. - 리처드 랭엄 지금으로부터 40년 전인 1970년대 흑백TV 시절 지상파에서 방영한 ‘미드’ 가운데 ‘타잔’이 지금도 기억난다. 타잔은 침팬지를 ... ...
[때와 곳 16] 야영지: 일상에서 가장 먼 곳
2017.08.05
느끼는 것 역시 이동과 활동의 편의에 필요한 말[馬]보다는 농사에 소[牛]가 필요하듯
대형
마트에 쌀을 사러 갈 때나 시동을 켜는 일과 무관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GIB 제공 그럼에도 오래전 경험의 기억을 떠올리면 청춘 때 타의에 이끌려 설레는 마음으로 야영했던 날들의 신선한 ... ...
돌고래 크기 잉어 잡혔다
팝뉴스
l
2017.08.05
반응이다. 사람이 작은 것일까 물고기가 큰 것일까 묻는다. 말할 것도 없이 물고기가
대형
이다. 170cm는 넘는 것 같다. 해외 네티즌들은 ‘돌고래 크기의 잉어’라면서 놀라워한다. 사진이 촬영된 곳이나 사연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일부 네티즌들은 포토샵을 의심한다. 그만큼 잉어의 덩치나 ... ...
현관 앞에서 잠자는
대형
곰
팝뉴스
l
2017.08.01
롱우드에 사는 한 남성이 현지 시간 금요일 자신의 집 현관 앞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대형
곰이 아주 편하게 누워서 자고 있었다. 워렌 우더드는 아내와 함께 집으로 돌아와 주차를 했다. 그런데 아내가 이상한 말을 했다. 문 앞에 곰이 있다는 것이다. 미심쩍었으나 가보니 거대한 곰이 널브러져 ... ...
나를 향해 달려오는 역주행 트럭 ‘아찔’
팝뉴스
l
2017.07.29
황당한 상황이다. 앞뒤 자세한 설명은 없지만 사고는 없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상대는
대형
트럭이다. 사고가 났다면 아마 블랙박스 카메라도 온전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많은 네티즌들이 말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 ...
인간이 생명을 창조할 수 있을까 …무더위 날릴 ‘과학 바캉스’
동아사이언스
l
2017.07.29
두 발로 걷는 인간형 로봇 ‘휴보’ 개발을 주도했던 인물로 최근엔 키 4m에 달하는 초
대형
로봇 ‘메쏘드’ 개발에 참여 중이다. 박형동 서울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는 ‘지구를 바꾸는 에너지 공학’이란 주제로 강연했다. 마지막 일곱 번째 강연은 4명의 연구자들이 동시에 나서 ‘테드(TED ... ...
차세대 에너지원 ‘핵융합’… 실용화 기술 누가 먼저 웃나
동아사이언스
l
2017.07.28
방식에 가장 열심인 나라는 일본과 독일이다. W7-X와 함께 1998년 건설된 일본의
대형
나선장치(LHD)는 대표적인 스텔러레이터 방식 핵융합실험로로 꼽힌다. 토카막 방식에서 최대 운전시간은 100초 남짓이지만 LHD는 최대 운전시간이 1시간에 달한다. 운전시간이 짧긴 하지만 W7-X는 완공 직후 6초간 운전에 ... ...
이전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