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동
작용
행위
실행
동작
행동거지
몸짓
d라이브러리
"
활동
"(으)로 총 6,60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친 곤충들만 오세요~! 곤충호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할머니와 함께 와도 재미 있는 공원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답니다.2 숲 해설가로
활동
하시며 언제 가장 보람을 느끼시나요?숲에서 수업을 진행하다 보면 아이들이 마음을 열고 받아들여지는 것이 느껴지는 순간이 있어요. 그때 가장 큰 보람을 느낀답니다.3 곤충호텔에 관심 있는 ... ...
[지식] 슬쩍 슬쩍 글 도둑 표절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신 작가는 몇몇 작품이 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렸을 뿐만 아니라 문학상 심사위원으로도
활동
해 충격이 크다. 누군가의 글을 슬쩍 복사, 붙여넣기하고 약간 다듬는 방법은 글을 쉽게 쓸 수 있어 좋다. 완전히 똑같지 않다고? 하지만 양심은 알고 있다. “그거 표절이야….”글 도둑도 도둑!표절의 ... ...
올록볼록~! 종이로 만든 동화 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종이 작품들을 함께 만나 볼까요?작가 소개황정아 작가는 2000년부터 지금까지 미국에서
활동
중인 종이 공예 작가예요. 처음에는 자연이나 사물을 소재로 한 종이 작품을 만들었어요. 지금은 종이로 동화 속 장면 같은 이야기가 있는 작품을 만들고 있어요. 작품을 액자에 넣어서 전시회를 열기도 ... ...
박쥐가 알려 주는 교통사고 방지 전략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1.6kg이나 되지요.너희는 초음파로 대화한다고 하던데….맞아요. 우린 주로 어두운 밤에
활동
하기 때문에 시각보단 초음파를 통해 먹잇감의 위치를 알아내요. 우리가 초음파를 쏠 때는 귀에 있는 근육을 수축해서 자신의 소리가 너무 크게 들리지 않도록 조심해요. 그렇지 않으면 소리가 너무 크게 ... ...
청개구리가 비만 오면 노래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하는 참개구리의 모습.1년 동안 조사해 보니, 북방산개구리는 주로 2월 말에서 3월 초에
활동
했어요. 반면 청개구리와 참개구리는 주로 4월에 출현하여 7월까지 노래를 불렀지요. 노래를 하는 동물 대부분이 그렇듯이 북방산개구리와 참개구리는 주로 온도와 습도에 따라 다르게 노래했어요.하지만 ... ...
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높여 정상 유전자의 전사를 막는다. 현재 후성유전학자들은 이런 비정상적인 세포의
활동
과 CpG 섬의 관계, CpG 섬의 메틸화에 따른 전사요소의 반응 등을 연구하고 있다.여섯 번째 염기를 찾아서메틸화는 현재까지 발견된 후성유전 언어 중 가장 지속시간이 길다. 세포에서 다음 세대의 세포로 ... ...
수면 아래 마법이 피어나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스쿠버 다이빙 과정에 참가했다가 처음 수중 세계에 매료됐다. 1995년부터 수중 사진 작가로 본격적으로
활동
했고, 수중 사진 분야를 한 단계 발전시킨 작가로 평가 받는다. 아름답고 몽환적인 사진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 ...
감정은 마음먹기에 달렸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마비시킬까지나친 불안과 긴장이 임무 수행을 방해한다는 연구는 잘 알려져 있다. 정신
활동
에 필요한 에너지는 한정돼 있는데 긴장은 이 에너지를 급속도로 빨아들여 정작 해야 할 일에 쓸 에너지가 부족해진다. 에너지 소모 외에도 작업 기억 용량을 줄여 정보 처리 과정을 지연시키기도 한다.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뛰어나다고 단정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실생활에서 로봇이 재난, 구조
활동
에 참가하려면 더 큰 기술적 진보가 필요한 만큼 꾸준히 연구개발을 계속할 예정”이라고 말했다.KAIST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는 벌써 다음 대회를 준비하고 있다. 가장 먼저 고민하고 있는 건 NASA에서 ... ...
18년 만의 슈퍼 엘니뇨 강타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될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태풍이 뜨거운 해상에 오래 머물면 태풍의 세기가 세지고
활동
기간도 길어진다.하지만 이 때문에 한반도를 강타하는 태풍의 개수는 오히려 감소할 수 있다. 발생 위치가 오른쪽으로 치우치면서 우리나라보다는 일본으로 진로를 틀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 ...
이전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