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d라이브러리
"
유전자
"(으)로 총 3,155건 검색되었습니다.
안데스인의 피는 태평양인보다 붉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필요하다. 고산지대에 사는 사람들은 산화질소의 배출을 조절하는 효소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
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산소 공급이 정상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견해도 있다.다양한 요인들이 고산지대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환경 적응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외에도 아직 ... ...
적외선우주 관측하는 새로운 망원경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같은 단백질은 교차반응물질이라 할 수 있다 초파리의 제2염색체의 교차를 억제하는
유전자
1917~19년에 걸쳐 A H 슈터트밴트가 발견하여 명명했으며 식물에서는 33년에 G W 비들이 옥수수에서 발견했다 이 인자는 실은 역위(逆位)이며, 그 존재가 재구성(再構成)을 감소시키고 또 설사 세포학적인 ... ...
② 사스 동물 바이러스 돌연변이가 원인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기관지염 바이러스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서 일부
유전자
를 분석해 만든
유전자
계통연구와 일치하는 것이다.게놈 분석은 환자에서 검출한 바이러스를 세포 배양용 원숭이 콩팥세포에 넣어 수를 늘린 후 이뤄졌다. 과학자들은 앞으로는 환자의 조직세포에서 키운 바이러스를 직접 ... ...
1 수소 원자핵을 빛의 속도로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제공하자는 맥락이다.인간은
유전자
정보를 상당히 많이 알게 됐다. 이제 생물학자는 이
유전자
정보를 통해 만들어지는 단백질을 알고 싶어한다. 기계공학자의 관심은 거대한 건물이나 다리가 아닌 몸 안에 주입해 움직일 수 있는 로봇 등 나노기술에 있다. 이러한 작은 단백질을 관측하고, 나노 ... ...
아이디어 만발한 동식물의 짝짓기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작용하고 있다. 반면 남성은 애인이나 배우자가 딴눈을 팔면 참지를 못한다. 자신만의
유전자
를 남기겠다는 강한 본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인간과 다른 생물의 짝짓기가 똑같다고 할 수는 없지만, 인간도 동물의 한 종이고 보면 같은 공식 안에 들어있는 셈이다 ... ...
지구 수호자에서 이웃집 청년까지, 슈퍼영웅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무엇일까? 역시 이해하기 힘든 불안정한 캐릭터다.‘엑스맨’은 X염색체에 돌연변이
유전자
를 갖고 있는 인간들로 각자 다양한 초능력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그들은 절대적 소수를 차지하고 있는 사회적 약자다. 엑스맨은 자신들을 탄압하는 인간들과 화합해서 잘살아보자는 온건파와 나약한 ... ...
검은 고양이는 행운의 상징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털이 좋은 것입니다.한편 같은 고양이과라도 사자나 호랑이는 재규어나 고양이와 같은
유전자
돌연변이가 없다고 합니다. 검은 사자, 검은 호랑이가 없는 것도 이 때문이죠. 그렇지만 사자도 일부분이나마 검은 색으로 자신의 건강미를 과시한다고 합니다.미국 미네소타대학의 동물행동학자인 ... ...
남녀의 두뇌 차이
유전자
가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지금까지 남성과 여성의 뇌는 똑같은 기본형에서 성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돼 왔다. 그런데 최근 남성과 여성의 ... 영향을 똑같이 받는다. 윙필드 박사는 “핀치의 뇌 차이는 염색체 차이로 인한
유전자
의 영향을 받은 신경세포 자체에 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 ...
나노 장치 이용한
유전자
전달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유전자
로 교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연구팀은 산화티타늄 나노입자를 이용하면
유전자
외에 단백질이나 펩티드 같은 물질도 효과적으로전달할 수 있다고 밝혔다 ... ...
인간게놈지도 100% 완성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일례로 20번 염색체의 염기서열 해독은 당뇨병, 백혈병, 어린이 습진 같은 질병과 연관된
유전자
를 찾는 연구를 가속화시켰다고 브래들리 교수는 설명했다영국 케임브리지대의 연구원이었던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은 1953년 4월 25일 ‘네이처’에 DNA 이중 나선구조를 밝힌 간단한 논문을 ... ...
이전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