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녕
평온
안정
보장
무사
안보
안심
d라이브러리
"
안전
"(으)로 총 3,896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상! 우주가 위험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안녕, 난 얼마 뒤 우리나라 기술로 만든 최초의 발사체 KSLV-I에 실려 우주로 떠날 과학기술위성 2호야. 몇 달 뒤 있을 발사를 준비하느라 한창 바쁜 시간을 보내고 ... 그래야 앞으로‘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이 우주비행사가 되거나 우주로 여행을 갔을때
안전
하게 다닐 수 있을 테니까 ... ...
지하철과 KTX 선로 같을까? 다를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콧속에서 살랑거리다 못해 온몸을 간질이는 시원한 바람. 그래~ 이런 날씨에 집에만 있으면 죄다 죄! 야외에서 도시락도 먹고 예쁜 사진도 많이 ... 경전철에는 본격적으로 무선통신기반의 열차제어시스템이 적용된다. 친환경적이고
안전
한 철도가 앞으로 얼마나 더 똑똑해질지 기대된다 ... ...
터미네이터 로봇의 진화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빅독’을 제작했으며, 미국 베크나로보틱스 사에서는 전장에서 부상당한 군인을
안전
하게 후송할 수 있는 구조용 인간형 로봇 ‘베어’(BEAR)를 개발했다.미국 국방부는 2012년까지 17조 8000억 원을 투입해 로봇을 기반으로 ‘미래형 전투시스템’(FCS)을 위한 기술 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분쟁지역에 ... ...
하늘을 나는 자동차의 꿈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감안하면 자동차로 직접 이동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도로 주행과
안전
성 측면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도 많다. 우리나라처럼 도로가 울퉁불퉁하고 언덕이 많은 곳에서는 기체가 손상되기 쉽다. 하늘을 맘대로 날아다닐 수 있는 것도 아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구삼옥 박사는 ... ...
섬유 넣은 콘크리트로 ‘건축 빅뱅’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그 기술을 쓰려면 비싼 기술 사용료를 내야 하죠. 제가 만든 기술이 로열티를 대체하고
안전
성을 높이는 데 널리 활용된다면 그것으로 만족합니다.”먼 미래 아닌 현재에 충실해야인정받는 학자가 된 비결을 물었다. 박 교수는 “특별히 내세울 만한 비결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대신 ... ...
석면탤크 얼마나 위험한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물론 그렇더라도 장기적으로 이런 약물을 복용하는 건 문제가 될 수 있다. 식품의약품
안전
청도 석면탤크가 들어간 약품 1122개 품목을 판매금지했지만 대체약물을 구하기 어려운 22개 약품은 유예조치를 내렸다. 당장 대체가 불가능한 약물까지 금지할 경우 치료를 못해 더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 ...
잠든 야성 깨우는 동물행동 풍부화 프로그램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등 동물원이 일반적으로 갖추고 있어야 할 여건을 뜻하는 ‘충족’, 깨끗하고 편리하고
안전
한 관람 여건과 장내 질서 유지를 나타내는 ‘쾌적’이 그것이다.이 가운데 사람을 동물원으로 끌어들이는 데 가장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요소는 무엇일까. 결론부터 얘기하면 매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 ...
불치병 치료의 꿈 R·N·A 앱타머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베타카테닌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다는 의미”라며 “앞으로 임상실험을 여러 번 거쳐
안전
하고 확실하게 대장암을 치료하는 RNA 앱타머를 완성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컴퓨터 자판을 한글모드로 지정한 다음 ‘RNA’를 입력하면 ‘꿈’이라는 단어가 된다. 정 교수가 RNA 앱타머로 대장암을 ... ...
“쾅!”우주 교통사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영화에서나 보던 일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지구주위를 돌고 있던 인공위성 두 대가 서로 충돌해 폭발한 것입니다. 대체 이게 어떻게 된 일일까요? 인공위성이 폭발하면 ... 걱정이랍니다. 휴~. 앞으로 이런 우주 교통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루빨리
안전
대책이 세워지길 바랄뿐입니다 ... ...
물질계 만능엔터테이너 초임계유체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커피의 형태와 향은 건드리지 않고 카페인만 녹여 빼낼 수 있게 됐다. 물론 먹어도
안전
하다. 도대체 초임계유체가 어떤 물질이기에 이런 일이 가능한 걸까?기체처럼 침투해 액체처럼 녹인다물을 가열하면 보통 100℃에서 끓어 수증기가 된다. 하지만 물은 100℃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기화될 수 있다. ... ...
이전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