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새로운"(으)로 총 10,542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과학동아리 100% 활용하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많이 아는 인재보다는 비판적 사고력에 기초한 창의적 사고능력과 집단 지성을 활용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협업의 인성을 갖춘 융합형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과학봉사활동을 포트폴리오로과학동아리는 교과서에 나오지 않는 흥미로운 과학실험과 다양한 창의체험을 할 ... ...
- [이투스교육] 살아 움직이는 지구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판들이 서로 이동하는 속도가 달라 발생한다. 따라서 발산형 경계나 수렴형 경계와 달리 새로운 판이 생성되거나 원래 있던 판이 사라지지 않는다. 대륙판과 대륙판이 어긋난 산안드레아스 단층, 해양판과 해양판이 어긋난 케인단층이 여기에 속한다. 이곳에서는 천발지진이 일어나며, 화산활동은 ... ...
- Part 2. 수학자를 뛰어넘은 아마추어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라이스는 자기만의 표기법을 만들어서 테셀레이션을 연구했어요. 그로부터 몇 달 뒤, 새로운 테셀레이션 방법을 4가지나 찾았어요! 전문가가 확인한 결과, 그 내용은 정확했지요. 2017년 7월 프랑스 국립연구소의 미카엘 라오 박사가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방법이 오직 15가지밖에 없다는 사실을 ... ...
- [과학뉴스] 무당벌레까지 느끼는 인공 피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인공 피부는 로봇 외에도 의료 기기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며, “폴리머를 활용해 새로운 형태의 전자제품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앞으로의 계획을 밝혔어요 ... ...
- [Culture] ‘팔뚝 요정’이 들려주는 팔씨름의 과학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다발로 이뤄져 있다. 운동을 하면 근섬유가 손상되고, 우리 몸은 혈중 아미노산을 끌어와 새로운 근섬유 세포를 만들고 손상된 근섬유를 회복시킨다. 운동을 반복하면 근육세포가 회복하는 과정에서 근육이 굵어진다. 실제로 백 선수의 팔뚝은 18인치가 넘었다. 백 선수는 팔씨름을 잘 하기 위해서는 ... ...
- [Origin] 불붙은 신경세포 생성 논란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기억을 저장할 수 있는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이 급격히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다만 새로운 뉴런이 조금이라도 계속해서 생겨나는 만큼 인지기능 장애가 있거나, 신경정신질환을 겪거나, 이를 치료하기 위해 약을 복용하는 등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나이가 들어서도 어느 정도 인지능력이나 ... ...
- Intro. 노벨상 향한 대장정 스타트, 중이온가속기 라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1년 완공을 목표로 구축에 들어갔다. 빅뱅 3분 뒤의 우주를 재현하고, 한국의 이름을 붙인 새로운 원소 ‘코리아늄’을 발견해 주기율표에 등재하겠다는 포부도 세웠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노벨상 향한 대장정 스타트, 중이온가속기 라온[Infographic] 세계 주요 가속기와 노벨상Part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치료의 부작용을 해결하는 동시에 치료 효과도 더 높다는 의미다. 희귀동위원소로 새로운 치료법 개발라온의 장점은 희귀동위원소 빔을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안정동위원소와 달리 희귀동위원소는 아직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암 치료에 주로 활용되는 탄소의 경우 ... ...
- [Issue] 라이징 스타에서 스테디셀러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칩이 적용된 스마트폰을 출시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결국 중국은 기초과학 연구를 통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면서 라이징 스타로 이름을 알렸고, 이런 기술이 산업화로 이어지는 생태계를 구축하면서 스테디셀러로 자리매김 했다. 연구자들이 단기적인 성과에 집착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디어를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6호
- 1. 왜 간은 췌장보다 클까? 우리 몸 안의 장기(臟器·organ)를 잠깐 떠올려 볼까요? 심장, 간, 위, 신장… 어쩜 모두가 제각각 다른 크기를 갖고 있습니다 ... 발을 담그게 됐다. 현재 미국 조지타운대 생물학부에서 유전학, 발생학 등을 가르치며 새로운 대학 과학교육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 ...
이전2212222232242252262272282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