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아"(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휴가 즐기는 네 가지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5호
- 자, 우리는 세상 모든 여자들이 싫어하는 조건을 한 가지씩, 도합 네 가지를 가지고 있는 남자들이다. 이런 우리는 휴가도 못 갈 거라 오해들 하고 그러는데, 이래봬도 우리 넷 모두 이번 휴가를 우주에서 보내고 왔다. 어때, 좀 놀랐지? 자, 지금부터 각자 우주에서 어떻게 휴가를 보냈는지 한 명씩 ... ...
- 우산 vs 양산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4호
- 어제 백화점에 가서 양산을 하나 사 왔어. 응? 이건 우산이라고? 아냐, 양산이 분명해. 이 아름다운 레이스를 보라고. 정말 우산인가? 으으~,이거 정말 헷갈리는 군! 우산우산은 비를 막기 위해 씁니다. 그렇다면 비가 새거나 스며들지 않아야 하겠죠? 그래서 우산을 만들 때는 물방울이 스며들 수 ... ...
- 우리 선생님은 만화가! 옥상헌선생님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4호
- 에이, 선생님~! 이게 뭐예요! 제 얼굴 아니잖아요~.맞는데? 쫙 찢어진 눈에 움푹 들어간 보조개까지…. 승표 너 맞는데 뭘~.에이 아니에요! 선생님은 만화가라면서 그림도 못 그리시네요~.하하하, 이렇게 인물의 특징을 과장해서 그린 그림을 캐리커처라고 한단다. 우리 반 아이들은 서로 그려달라고 ... ...
- 북극 하늘에서 본 새하얀 지구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4호
- 깜깜한 우주에 지구가 구슬처럼 영롱하게 빛나고 있어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지난 6월 19일에 공개한 이 사진은 북극 상공 824km에서 촬영한 ‘지구 머리꼭대기’의 모습이에요. 이런 각도에서 지구 전체를 찍은 건 이번이 처음이랍니다. 대개 우리가 보아온 지구 사진은 궤도면에서 촬영해 남반 ... ...
- 이슬 맺힌 나비와 소리없는 대화를 속삭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3호
-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 김춘수 「꽃」 중에서13년 전 어느 새벽길, 영롱하게 빛나는 아침이슬에 반사된 나비의 모습을 잊지 못한다. 세상의 거친 비바람에도 끝까지 순수를 ... ...
- 어린이과학동아와 함께 멸종위기 동식물 구출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3호
- 얘들아, 큰일났어! 친구가 편지를 보내왔는데 무슨 일이있나 봐. 오른쪽 편지를 읽어 보렴.이를 어째, 어째~. 큰일이다, 큰일이야!수구리네가 사라지면 이제 수원청개구리는 못 보는 거야?잠깐. 우선 상황부터 정확하게 알아보자. 무턱대고나선다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게 아니거든.웬일이래. 몽 ... ...
- 다가오는 방학, 어떤 교재 살까?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이제 기말고사 공부와 함께 2학기를 마무리하면서 너덜너덜해진 책을 정리할 때가 왔습니다. 겨울방학은 여름방학보다 시간적 여유가 있기 때문에 관심 있는 분야를 더 깊게 공부하거나 내년에 배울 책을 먼저 보는 시기입니다. 이때 학생들에게 가장 큰 도움을 주는 것은 바로 ‘책’입니다. 그런 ... ...
- 저선량 방사선은 몸에 좋다? 나쁘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작년 일본 동일본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전 사고 직후, 저선량 방사선이 의학적으로 이로운 효과가 있다는 ‘호메시스’ 가설이 논란이 됐다. 호메시스는 일부 동물 실험에서 저선량 방사선이 면역 효과를 높이고 몸에 해로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현상이 있다는 가설이다.가설에 따르면 방사능 세 ... ...
- 함께 사는 지구, 그런데 왜 부자만 건강할까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부자 엄마에게서 태어난 아기는 더 건강하고 오래 산다? 사회, 경제적 지위가 높으면 스트레스를 덜 받는다? 월급이 많은 사람과 적은 사람이 나뉘는 것은 진화의 결과다? 당연한 말 같기도 하고 아닐 것 같기도 한 속설들. 하지만 상당수가 과학적 사실로 밝혀지고 있다는데…. 소득 불균형을 둘러 ... ...
- 단백질 어떻게 보시나요? 3D로 봅니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엄수현 GIST 생명과학부 교수와의 인터뷰에 앞서 연구실을 잠시 들렀을 때 기자를 깜짝 놀라게 한 것이 있었다. 연구원들이 극장에서 3D 영화를 볼 때나 쓸 법한 검은색 편광안경을 쓰고 컴퓨터 모니터를 보고 있었다. ‘혹시 보안경인가?’ 하고 갸우뚱했지만 정말로 3D 영화를 볼 때 쓰는 그 안경이 ... ...
이전2212222232242252262272282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