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고등학교
중고
d라이브러리
"
등학교
"(으)로 총 3,707건 검색되었습니다.
명작으로 다시 보는 쥐 요건 몰랐'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드디어 그가 돌아왔다! 정월 초하루 12마리의 동물이 숨이 턱까지 차도록 달리기를 할 때, 얌체처럼 소의 머리에 유유히 앉아서 말 그대로 앉은 자리에서 일등을 먹었던 바로 그. 그래서 꾀 많고 영리하기로는 둘째가라면 서러운 그. 11년 동안 자신의 해가 돌아오기를 쥐구멍에서 쥐꼬리 빠지게 기다 ... ...
태안의 자연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흐읍~. 차가운 공기를 한껏 들이마시니 처음이지만 어딘지 익숙한 냄새가 느껴졌어. 드디어 태안에 도착한 거야! 도중에 친구들을 잃어버리는 바람에 늦긴 했지만 나 홀로 태안을 찾아 왔으니 장하지 않아? 난 민물가마우지야. 북쪽의 추운 겨울을 피해 여기까지 날아왔어. 태안이 겨울을 나기에는 ... ...
한강에 모인 새 박사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A,C 기록노트수십~수백 마리의 조류 군집부터 단 한 마리의 새까지 정확한 종명과 개체 수를 기록한다. B 쌍안경가볍게 휴대하며 조류를 관찰할 수 있다. 쌍안경의 배율은 9~18배로 다양하다. D 조류도감새의 학명과 몸길이, 색깔, 서식처 같은 특징을 정확히 묘사한 조류도감은 야생조류연구회 회원 ... ...
행복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모든 결정과 판단에 영향을 미칩니다.”행복한 미래와 동의어인 명문대 진학을 목표로 초
등학교
때부터 학원을 전전하고 어른 앞에서는 웃음을 참아야 예의바르다고 칭찬을 듣는 사회. 우리가 추구하는 행복의 상당 부분은 과학적 근거가 없는 ‘환상’이 아닐까.비교는 불행을 낳는다자기가 얻은 ... ...
수성을 스쳐 지나간 메신저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강사가 되었다 13년부터 바이에른주의 실업학교에서 수학을 가르치고 17년 쾰른의 고
등학교
물리학 교사가 되어 그곳에서 프랑스의 수리물리학을 독학으로 공부하는 동시에 실험장치를 갖추어 20년 이후에는 전자기의 실험연구에 몰두했다 1850~1918 독일의 세균학자 R 코흐의 조수이자 그의 ... ...
수천 년 사랑받은 영구불변의 상징 몸값 치솟는 금의 세계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최근 국제유가가 연일 치솟아 배럴당 100달러를 넘어섰다. 이 뉴스로 전세계인은 한겨울 난방비부터 걱정했다. 그런데 유가 못지않게 날이 갈수록 값이 뛰는 것이 하나 더 있다.최근 달러 가치가 낮아지자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은 “미국은 금리를 추가로 인하할 준비가 돼 있 ... ...
유럽의 콜럼버스,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운동 경기장 같이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넓은 장소에 가는 것을 회피한다 사회 공포증: 초
등학교
때 교실에서 국어 책을 읽다가 갑자기 가슴이 뛰고 얼굴이 붉어지면서 목소리가 떨려 망신을 당한 후로 사람들 앞에 나서면 으레 가슴이 뛰고 어질어질해서 대중 앞에 나서는 일을 회피한다자신의 ... ...
예비 과학도를 위한 글쓰기 매뉴얼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36쪽|1만2000원 PROLOGUE어린 시절을 되돌아보면 나는 정말 글쓰기를 싫어하는 아이였다. 초
등학교
때 원고지 10매 분량의 글쓰기 숙제 때문에 끙끙거렸던 기억들이 아직도 생생하다. 그래서 글쓰기와 관계없을 것 같은 과학자가 되겠다고 일찌감치 결심했는지도 모른다. 그러던 내가 과학 글쓰기에 ... ...
올 겨울 유성우 전망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지구가 혜성이 남긴 잔해더미를 통과할 때 다채로운 색을 자랑하는 쌍둥이자리 유성우처럼 해마다 유성우가 내린다. 모래알 크기의 작은 파편들은 대부분 별똥별로 대기권에서 타면서 사라지는 반면 일부 큰 파편들은 땅에 충돌해 운석으로 발견된다. 세균을 세는 단위로 1ml당 세포 또는 균주가 ... ...
'휴보' 기술로 개기일식 촬영하는 로봇공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위성인 포보스와 데이모스에 대한 내용은 그때 처음 접해 아직도 잊지 않고 있다.초
등학교
때 천체망원경을 손수 만든 것은 그의 이력을 보면 당연한 과정이었다. 구경 40mm에 배율 30배짜리 갈릴레이망원경을 제작해 17세기 갈릴레이처럼 달의 크레이터(운석충돌구덩이), 목성과 그 위성도 관찰했다 ... ...
이전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