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겨울을 녹이는 따뜻한 차 이야기과학동아 l2001년 12호
- 품종이 아니라 차 제조과정의 차이다. 찻잎을 따서 발효를 얼마나 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때문에 같은 차나무로 녹차, 홍차, 우롱차를 생산할 수 있다. 발효는 차를 분류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이다.발효정도에 따라 발효가 전혀 일어나지 않은 비발효차, 발효 정도가 10-70% 사이인 반발효차, ... ...
- 한민족의 오랜 벗 한국개의 기원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종류의 단백질이 있다. 이 중에는 기능은 같으나 구조가 조금 달라서 분자생물학적으로 구분되는 ‘다형단백질’이 있다. 여러 종류의 다형단백질을 잘 선택해 각 개들이 어떤 다형단백질을 갖는지 조사한 후 통계처리를 해보면 개 품종간의 혈연관계를 유추할 수 있다.한국에서 필자와 함께 ... ...
- 01 암과의 전쟁 5세대 선두주자 유전자치료과학동아 l2001년 11호
- 인간의 면역체계를 강화하도록 유전자를 조작해 암을 퇴치하는 간접적 면역요법으로 구분될 수 있다.암은 암을 일으키는 발암유전자(oncogene)가 활성화되거나, 암 억제유전자(tumor suppressor gene)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때 발생한다. 따라서 암 조직을 정상적으로 만들려면 발암유전자를 ... ...
- 하늘 창문으로 바라본 늦가을 별자리과학동아 l2001년 11호
- 별 알게디는 짝별이다. 쌍안경으로 잘 볼 수 있지만 눈이 아주 좋은 사람이라면 두 별로 구분할 수 있다. 알게디가 짝별로 보이느냐가 그날 밤하늘이 어느 정도 맑고 안정한지를 재는 잣대가 되기도 한다. 1백10광년 거리에 있는 3.6등성 옆에서 4.2등성이 다정히 빛나는데, 실제로 두 별은 같은 ... ...
-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화학 - 현대화학의 초석 닦은 폴링과학동아 l2001년 11호
- 농담할 정도로 불만스러워했다.노벨상 수상 초기에 화학상의 영역은 물리학상과 명확히 구분되지 못했다. 초기 화학상 수상 심사위원 가운데 한명이었던 아레니우스(1903년 화학상 수상)는 화학자였지만 화학보다 물리학에 가까운 이론의 주창자였고 화학보다 물리학을 더 잘 이해하는 사람이었다는 ... ...
-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물리학 - 상대론 빠진 수상, 그래도 아인슈타인 최고과학동아 l2001년 11호
- 정답은 없을 것 같다. 고르는 사람의 주관과 편견이 강하게 작용할 것이며 또한 우열이 구분되지 않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철학에서 우주론까지 바꿔이 모든 점을 제외하고 필자에게 베스트3을 선택하라고 묻는다면 다음과 같이 뽑겠다. 1위는 1921년 수상자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 1879-1955), 2위는 192 ... ...
- 하늘과 만나는 지혜의 경계면 지붕과학동아 l2001년 11호
- 어쨌건 하늘과 맞닿은 면이 수평이 아닌 지붕을 뜻한다.경사지붕과 평지붕 시대를 구분하는 기점은 19세기. 물론 그 이전에도 평지붕 건물이 있었고 그 이후에도 경사지붕이 보이지만 본질적 차이가 흐려지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그 이전의 평지붕 건축은 기후 여건이 허락될 경우 그것도 ... ...
- 휴대폰에 침투하는 컴퓨터 바이러스과학동아 l2001년 11호
- 있다.만약 같은 바이러스인데 변종이 발견된 경우에는 바이러스 이름 뒤에 하나의 구분을 더 하는데, 숫자로 표시하는 경우와 영문자 알파벳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숫자 표시는 바이러스 코드의 크기를 바이트(byte)로 표시하는 것이고, 알파벳 표시는 변종이 발견되는 순서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 ...
- 제트엔진 소음 없는 비행기 실현과학동아 l2001년 10호
- 터빈엔진의 팬에서 나오는 소음과 비행기의 날개가 공기 속을 지날 때 나오는 소음으로 구분된다. 그 중 비행기 소음의 주된 원인은 팬에서 나오는 소음이다. 항공기의 속도는 터빈엔진에 있는 팬의 수와 크기에 비례해 증가하는데, 팬의 크기가 클수록 소음도 커진다. 연구실에서는 항공기의 속도와 ... ...
- 화려한 변신 컬러 휴대폰의 미래과학동아 l2001년 10호
- 컬러 모니터로의 전환과 같은 개념사람의 눈은 일반적으로 수만여가지의 혼합색을 구분할 수 있으며, 같은 계통의 색깔이라도 2백50여가지를 구별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이유에서일까. 세상은 수많은 색상으로 치장돼 있으며, 사람들은 이렇게 다양하고 아름다운 색상을 보면서 즐거워하고 ... ...
이전2212222232242252262272282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