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변화1] 가상 공간에서 오감을 느낀다! 확장 현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차가운 음료수 캔을 만지는 것 같아요!”지난달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고승환 교수 연구팀은 가상현실 세계에서 뜨거움과 차가움을 느낄 수 있는 웨어러블 소자, ‘전자피부’를 개발했다고 밝혔어요.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을 넘어선 ‘확장 현실(XR)’ 기술이지요. 지난 4월 28일, ... ...
- [시사과학] 코로나19 어린이 브리핑 개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최은화 서울대학교의학대학 소아과학교실 교수, 김예진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가 답변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어요. 과연 어린이들은 어떤 질문을 했을까요? ‘코로나19’라는 질병 이름은 누가 만들었나요?‘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라는 이름은 세계보건기구(WHO)에서 ... ...
- 너넨 우주를 보니? 핵물리학자는 우주를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우리는 어디에서 왔고, 어디로 가는 걸까요? 19세기 프랑스 화가 폴 고갱이 던졌던 이 질문은 철학적인 듯 들리지만 과학적이기도 해요. 인류가 탄생하기 전으로, 지구가 만들어지기 전으로, 별조차 생기기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우주가 태어났을 무렵을 밝히는 것이야말로 저 같은 핵물리학자를 ... ...
- 슬기롭고 과학적인 전동킥보드 생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18년(480건)에 2배 가까이 늘었다. doi: 10.7470/jkst.2020.38.3.232사고 원인은 굉장히 다양했다. 김 교수팀이 위 자료에서 사고 특성이 명확하지 않은 사고를 제외한 707건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개인형 이동장치가 차량과 충돌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80.06%). 이어서 사람과 부딪힌 경우(13.01%), 단독으로 ...
- '웃는 돌고래' 상괭이에게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부검 결과는 해양보호생물 생태 연구에도 활용된다. 2018년 이항 서울대 수의대 교수팀은 2006~2015년 부검으로 수집된 상괭이 조직 샘플로 한국과 일본, 중국 해역에 서식하는 상괭이의 유전적 계통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상괭이는 플라이스토세 후기인 약 1만 년 전에 공통조상으로부터 ... ...
- 숲속 히어로즈, 수학으로 지뢰를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지뢰찾기 히어로즈, 모두 모여라~! 도움김준모(단국대학교 SW융합대학 컴퓨터공학과 교수), 배준현(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초빙 교수), 엄상일(기초과학연구원(IBS) 이산수학그룹 CI & KAIST 수리과학과 교수) ... ...
- 지뢰찾기가 수학계 7대 난제라고?수학동아 l2020년 10호
- P=NP라는 연구가 있었거든. 1999년 수학자 리차드 케야 영국 버밍엄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지뢰찾기 문제가 NP 완전문제라는 사실을 밝혔어. NP 완전문제는 다항 시간 안에 P가 아닌 NP 문제를 다른 P가 아닌 NP 문제로 바꿀 수 있는 문제를 말해. 지뢰찾기는 지뢰가 어디 있는지 안다면 피해서 칸을 고를 수 ... ...
- [수학뉴스] 격자를 구부리는 수학적 마법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실제 모양과 계산된 모양이 일치한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연구를 이끈 무시알스키 교수는 “이 방식으로 제작한 구조물은 저렴하며 운반이 쉽고 돔 구조뿐만 아니라 정교한 모양도 만들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ACM 트랜젝션즈 온 그래픽스’ 7월호에 발표됐습니다. ... ...
- [수학뉴스] 뉴질랜드 수학계의 영웅 잠들다...필즈상 수상자 보건 존스 별세수학동아 l2020년 10호
- 타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수학과 교수는 자신의 홈페이지에 존스 교수의 사망 소식을 전하며 “호주 출신인 나는 뉴질랜드 출신인 존스와 문화적으로 동질감을 느껴서인지 만날 때마다 쉽게 어울릴 수 있었다”면서 안타까움을 나타냈습니다. ... ...
- [매스미디어] 히든싱어6수학동아 l2020년 10호
- 투표방식을 수학적으로 확인한 이광연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교수는 “인간은 원조가수와 모창 도전자의 목소리를 듣고 자신만의 기준으로 최선의 판단을 한다”며, “인간 개개인의 판단은 수학적으로 정량화하기 힘들기 때문에 완벽한 확률을 계산하기는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 ...
이전2212222232242252262272282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