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류
날짐승
새짐승
겨를
틈
짬
사이
뉴스
"
새
"(으)로 총 4,192건 검색되었습니다.
염기 하나 콕 집어 바꾼다…아데닌 염기교정 유전자가위
새
기능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9.24
온라인판 24일자에 실렸다. 국내 연구팀이 아데닌 염기교정 유전자가위의
새
로운 기능을 밝혀냈다. 왼쪽부터 김진수 IBS 유전체교정연구단장, 배상수 한양대 화학과 교수, 정유경 한양대학교 화학과 박사과정연구원, 김헌석 한양대 화학과 박사후연구원이다. IBS ... ...
최소 20년~반세기 걸리는 '장수 연구'를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9.23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머리독수리 같은 맹금류 나 오리나 거위 같은 물
새
류는 오히려 개체수가 늘어나기도 했다. 로젠버그 수석과학자는 "일찍부터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해 관리를 받은 조류는 개체수가 늘었다"며 "이번에 개체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조류에 대한 보호 조치가 ... ...
업그레이드 된 ‘중력파’ 관측... 블랙홀-중성자별 비밀 풀릴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9.20
모습을 그렸다. 중력파는 그동안 빛을 통해 관측하기 어려웠던 블랙홀 연구에
새
돌파구를 열었다. NASA 2015년 9월 14일 우주 진화의 단서를 담은 ‘중력파’가 처음으로 지구상에서 관측됐다. 미국 소재 중력파 관측소인 ‘고급레이저간섭계중력파관측소(LIGO·라이고)’ 협력단 과학자들은 중력파 ... ...
"국내서 개발한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핵심부품 '열차폐체' 운송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19.09.17
제작되며, 600개의 판(패널)을 7만 개의 볼트로 조립하는 복잡한 장비다. 열이
새
나가지 않도록 오차 없이 정교하게 제작해야 해 높은 기술이 필요한 부품으로 꼽힌다. 전체 조립시 높이와 지름이 25m이고 무게가 900t에 이르는 대형 구조물이다. 열차폐체는 ‘진공용기 열차폐체’와 ‘저온용기 ... ...
진주에서 가장 완벽한 중생대 백악기 도마뱀 발자국 화석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6
약 6~9cm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신종 백악기 도마뱀에 ‘진주혁신도시에서 발견된
새
로운 도마뱀 발자국’이라는 뜻의 ‘네오사우로이데스 이노바투스’라는 이름을 붙였다. 김 소장은 “이제까지 백악기 도마뱀 발자국 화석은 경남 진주의 1억 1000만 년 전 지층과 하동의 1억 년 전 지층에서 각각 ... ...
이산화탄소보다 2만 3500배 강력한 온실가스 '육불화황' 유럽 內 배출량 증가세
동아사이언스
l
2019.09.15
전력장치의 누설률은 15% 높을 수 있다. 루이스 섀퍼 이튼 전무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
새
로운 장치는 누설률이 낮지만 문제는 전력장치 대부분이 노후화되고 있다는 점”이라며 “이번 연구에서는 누설률만 다뤘다. SF6를 다시 채워넣거나 폐기하기 위해 빼내는 과정 등에서 발생하는 누설은 ... ...
차세대 연료 수소 대량생산 가능한
새
촉매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5
지닌 이황화나이오븀의 구조를 처음 확인했다”며 “다른 적층형 물질에 응용하면
새
로운 촉매구조를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재료 분야 국제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스’ 8월 27일자에 발표됐다 ... ...
[주말 고고학산책] 고대인들은 철
새
처럼 옮겨 살았다
2019.09.14
않을까요?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18호(9.15발행) [Go!Go! 고고학자] 고대인도 철
새
처럼 이사했다고? ※필자소개 고은별.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에서 고고학을 공부했다. 시흥 오이도 유적, 구리 아차산 4보루 유적, 연천 무등리 유적 등 중부 지역의 고고학 유적 발굴에 참여했다 ... ...
한국인 과학자, 우주의 팽창 속도 구하는
새
방법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19.09.13
일치한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지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허블상수를 측정하는
새
로운 방법을 제안한 데 의의가 있다”며 “측정값이 절대적으로 옳지도 않고 측정 오차가 다른 방법에 비해 아직 큰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우주론 모델과 관련 없이 일정한 값의 허블 상수를 ... ...
'종의 기원' 쓴 찰스 다윈도 진로 때문에 고민했다는데
2019.09.12
어떤 개체군 내 특정 형질의 빈도는 시간이 지나면서 변하게 된다. 상당한 시간이 지나면
새
로운 종도 생겨나게 될 것이다. 이것이 바로 다윈이 제시했던 ‘자연 선택에 의한 진화’의 핵심이다. 종의 기원 초고를 먼저 읽어 본 토머스 헉슬리는 “이 쉬운 자연 선택을 생각해내지 못했다니, 이런 ... ...
이전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