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펭수야, 너 진짜 펭귄 맞니? 펭수 vs. 펭귄 전격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자유롭게 뛰어다닐 수 있다. 반면 물범은 땅에서든 얼음에서든 앞다리와 복부를 이용해 기어 다니기 때문에 느리고 둔하다. 김 책임연구원은 “펭귄이 물범을 물속에서 마주친다면 위험하겠지만, 육상에서는 물범이 펭귄을 추격해 사냥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며 “남극 유치원이 수중 유치원이 ... ...
- [1920~2020, 로봇 100년] 한국 로봇 개발의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로버에게 신호를 보낸 뒤 답을 받으려면 심우주 통신 시스템(DSN·Deep Space Network)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 이날 연구팀은 달 탐사 로버에 원격으로 통신 신호를 보내고 원격으로 조종하는 데까지 성공했다. 화성보다 심한 달의 극한 환경사실 달 탐사 로버는 화성 탐사 ... ...
- 금성에도 기후변화가? 황산 구름층의 비밀을 찾아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중요합니다. 한국에서 진행하는 행성 탐사선이 아직 없고, 주로 해외의 탐사선을 이용하기 때문입니다. 행성 연구자에게는 자립성도 필수 덕목입니다. 전 세계로 동료를 찾아가며 연구를 진척시켜야 하니까요. 외로운 생활이기는 하지만, 지구 밖의 관측자료를 세상에서 가장 먼저 다룬다는 쾌감이 ... ...
- 윷놀이를 이겨라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윷의 회전운동을 고려해야 하지. 따라서 윷을 던지면 무게중심 대신에 회전중심을 이용해야 해.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하면 절단각 대신 회전각이 생기는데, 회전각이 작아지면 엎어질 확률도 작아져. 허명회 교수가 계산한 결과, 반원 윷의 경우 엎어질 확률이 37%인 반면, 회전각이 더 작은 실제 ... ...
- 변화하는 환경엔 말랑말랑한 내가 최고! 소프트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않아요. 로봇학자들은 부피가 작은 액체를 섞어 공기를 발생시키거나, 작은 전극을 이용하는 등의 아이디어를 내고 있답니다. INTERVIEW 조규진(서울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이것도 로봇이냐고요?”소프트로봇은 워낙 다양한 모습을 지니고 있어서 정의를 단정짓기 어려워요. 저는 유연한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떨어져도 깨지지 않는 달걀?! 달걀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주셨어요. 친구들은 약속이라도 한 듯 달걀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도록 솜과 스펀지를 이용해 달걀을 꼼꼼히 감싸주었지요. “달걀을 보호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다른 비법은 구조물을 가볍게 만드는 거예요.”섭섭박사님은 질량을 줄이면 떨어지는 물체의 충격량이 줄어든다는 힌트를 주었어요. ... ...
- 영화처럼, 정말 백두산이 폭발한다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퍼지면 1시간 안에 10만 명이 숨질 수 있다.2015년 윤 교수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밀레니엄 대분화가 재연될 경우 화쇄류가 최대 23.4km까지 퍼지고, 화산재가 남한까지 도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doi: 10.14770/jgsk.2015.51.4.363다만 시뮬레이션 결과를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다. 밀레니엄 대분화에서 ... ...
- 차세대 유전자 가위 '프라임 에디팅' 크리스퍼 아성 누르고 혜성처럼 등장!과학동아 l2020년 01호
- A)을 티민(T)으로, 시토신(C)을 구아닌(G)으로도 바꿀 수 있다. 연구팀은 프라임 에디팅을 이용해 175가지 종류의 유전자 교정 실험을 진행한 결과 교정 성공률이 최대 70%에 달하며, 전체 유전질환의 89%를 치료하는데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 예로 낭포성 섬유증이 있다. 이 병은 기도세포에 ... ...
- 나는 과학동아 키즈 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실리콘밸리의 구글 본사에서 일을 시작했다. 지금은 ‘Geo’라는 부서에서 데이터를 이용해 구글맵을 발전시키는 업무를 하고 있다. 구글에서 일을 시작한 지 얼마 안됐지만, 하루하루 많이 배우고 있다. 구글 문화 자체가 도전과 배움을 장려하는 곳이기 때문에 더 즐겁게 일하고 있다. 회사에서 ... ...
- 지구를 위한 수학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방정식과 유사하지만, 마구 섞이도록 하는 힘은 고려하지 않는 ‘스토크스 방정식’을 이용해 계산합니다. Q 앞으로의 연구 방향은요? 연구를 통해 남극의 얼음이 전체적으로 높이가 1m 정도 감소하면 한반도 근처의 해수면은 38~42cm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안 ... ...
이전2202212222232242252262272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