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ISS 과학실험 최종 리허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개발했다”고 말했다.이날 고 씨와 이 씨는 아침 9시부터 저녁 7시까지 우주에서 초파리
유전
자 변화를 알아보는 실험을 비롯해 제올라이트 결정 성장 실험 등 훈련 일정을 소화하느라 녹초가 됐다. 하지만 국내에서 머무는 일주일 동안 18가지 과학실험을 눈감고도 해낼 수 있을 정도로 실험내용과 ... ...
남극 녹아내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중첩에 의해 표시할 수 있을 때 이를 공명혼성체라 한다 특히 불포화결합이나 비공
유전
자쌍을 가지는 원자를 함유하는 분자의 물리적·화학적 성질은 공명혼성체의 개념에 의해 잘 설명할 수 있다 공비등(共沸騰)이 일어날 수 있는 용액상태의 액체혼합물 일반적으로 용액을 증류하면 끓는 데 따라 ... ...
인간광우병 공포 누그러뜨린 프리온 발견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성공했다고 ‘사이언스’에 보고했다. 1986년 연구자들은 생쥐에서 프리온 단백질
유전
자를 찾아냈고 1990년대 초 프리온의 구조를 밝혔다. 그 결과 스크래피나 CJD에 걸린 뇌조직에 있는 프리온 단백질은 정상적인 뇌조직에 있는 단백질과 아미노산 서열이 동일하지만 입체구조가 다르다는 사실이 ... ...
우주인과의 인터뷰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씨는 이번 방문 기간에‘지구 대기 관측’,‘우주환경에서 초파리의 중력 및 노화
유전
자 연구’등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수행할 실험을 미리 연습합니다. 1월 12일에는 한국을 떠나 미국 존슨우주센터에서 1주일간 국제우주정거장 모듈의 구조와 통신 방법에 대해 교육받을 예정이에요. 마지막으로 ... ...
번쩍번쩍 형광 고양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뿐만 아니라 인간과 비슷한
유전
병을 갖고 있어요. 그래서 이번 연구가 인간의
유전
병 치료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지요. 또한 호랑이, 표범, 삵과 같은 고양이과 동물을 복원하는 데도 쓰일 거랍니다 ... ...
이산화탄소 배출 주범은 주요 산업국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발현돼 만들어진 mRNA를 이용해 거꾸로 만든 DNA 염기서열조각 발현된 부분이기 때문에
유전
자이거나 그 일부일 가능성이 높다컴퓨터 시스템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고 프로그램의 모든 연산을 수행하는 핵심 장치 중앙처리장치라고도 부른다원자핵이 α입자(헬륨원자핵과 동일)를 방출하고 다른 ... ...
특집01 전자회로 설계하듯 생명체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edu)에 정리해뒀다. 이 홈페이지에 가면 전기회로도의 부품 아이콘과 함께 정리된 다양한
유전
자 부품의 목록을 볼 수 있다. 머지않은 미래에 ‘생명회로 디자이너’가 유망 직종으로 등장할지도 모를 일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생명 2.0시대 오는가? intro 21세기 다시 쓰는 '종의 기원' ... ...
과학자들의 친구 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추측하는 방식입니다. 더욱이 잭슨연구소에서는 단일
유전
자를 밝히는 것에서 더 나아가
유전
자가 어떻게 상호작용 해 암을 일으키는지 밝힐 예정입니다.Q4 실험쥐 연구의 미래 비전에 대해 말씀해주십시오.최근 쥐모델의 자원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렉시콘이나 델타젠 같은 기업과 세계적인 ... ...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배열돼있는
유전
자가 감수분열 때 교차를 일으키는 빈도 이를 알면 염색체 위의 특정
유전
자가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다손가락을 움직여 손가락 끝 지문이 있는 부위끼리 맞닿게 하는 동작 엄지는 다른 네 손가락과 각각 마주보기가 가능하지만 다른 네 손가락끼리는 마주보기가 불가능하다 엄지 ... ...
특집02 세포창조 무한도전 성과 있을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다른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DNA 단위.
유전
자 사이를 건너다닐 수 있기 때문에 ‘점핑
유전
자’(jumping gene)라고 불리기도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생명 2.0시대 오는가? intro 21세기 다시 쓰는 '종의 기원' 특집01 전자회로 설계하듯 생명체 디자인한다 특집02 세포창조 무한도전 성과 있을까? ... ...
이전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