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녕
빵꾸
홀
함정
입
바람구멍
바람
d라이브러리
"
구멍
"(으)로 총 2,357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들의 겨울잠·여름잠 추위와 더위, 건조함을 이기는 생리기능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충분히 갖추어지지 않은 달팽이나 개구리다. 이들은 습도가 높은 땅속에 있는
구멍
이나 틈을 찾아 파고들어 가사 상태에서 여름잠을 자는 집단을 만든다. 달팽이의 경우에는 몇년동안 휴면하다가 깨어났다는 기록도 있으며, 이밖에도 많은 동물들이 여름잠을 잔다.예컨대 땅위에 사는 플라나리아, ... ...
독특한 맛과 맹독을 함께 지닌 생선 복(鰒·Swellfish)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서로 닿아 전체로서 주둥이 모양을 이루고 있다.가슴지느러미는 짧고 작은 아가미
구멍
이 그 바로 앞에 뚫려 있다. 배지느러미는 없다. 어느 지느러미나 모두 물렁살로 되어있고 가시모양이 아니다. 위는 잘록해져서 등과 배의 두 부분으로 나눠져 있으며 배쪽 부분을 팽창낭이라 하고 그 뒷면이 ... ...
상대성이론의 모든것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블랙홀 주위를 거울로 둘러싼다면, 빛은 무한정 증폭될 수 있다. 거울에 들어간 빛이 날
구멍
이 없다면 거울을 날려버릴 정도로 빛이 증폭되어 '블랙홀 폭탄'을 이루게 된다.특이점들 회전하지 않는 블랙홀에는 쉬바르쯔쉴트블랙홀과 라이스너―노드스트룀블랙홀이 있다. 질량만 있는 ... ...
우주 오염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1의 크기인 아주 작은 조각이 우주 왕복선 챌린저호의 창에 부딪쳤다. 이 충돌로 유리에
구멍
이 생기고 그 창문에 지름이 1인치의 10분의 1이 되는 작은 분화구가 남았다.그리 대단한 것은 아닌듯 했으나 창문을 약하게 해 우주왕복선이 다시 비행하기 전에 그 당시 5반달러의 비용을 들여 바꿔야만 ... ...
미국 국방네트워크에 침입한 컴퓨터바이러스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벨'사의 컴퓨터에 접근할 수있는 특별한 권리를 부여하였고 대신에 어떤 시스팀이
구멍
이 났는지를 파악하고 그것을 메꾸는일을 전담토록 하였다.1980년대에 들어와서는 암호해독의 전문가가 되었고 전자정보를 보호하는 세계 최고의 권위자로 인정받았다.암호해독의 천재, 전자통신 안전 전문가의 ... ...
컴퓨터와 문서편집 복잡한 기능은 오히려 손해일수도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보완하지만 디스켓의 해당부분은 여전히 공란으로 남아있게 되기 때문에 기록보관에는
구멍
이 뚫릴 수 밖에 없다.또 타자솜씨가 늘어나서 속도가 빨라지면서 8비트 기계의 성능으로서는 미쳐 이 속도를 따라올 수 없게 되자 글씨의 조합이 헝클어지는 경우가 자주 생겼다. 기계가 명령을 수행하는 ... ...
눈·코·귀의 기능을 기막히게 향상시킨 첨단의 센서들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많다. 다공질 세라믹스 습도센서를 살펴보면 세라믹스 기판에 많은
구멍
이 있는데 그
구멍
에 수분이 부착되어 전기 저항의 변화를 일으킨다. 이 습도 센서는 새로운 습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클리닝이 필요하다. 즉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켜야 습도 측정이 가능하다. 습도 센서가 사용된 ... ...
인삼연초연구소장 이종화박사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희석시켜 주게 됩니다. 따라서
구멍
이 고르게 적당한 숫자 만큼 뚫려야 하지요. 이
구멍
을 외국에서는 레이저 빔을 이용해 정교하게 뚫고 있는데 비해 우리는 전자·전기적인 혹은 기계적인 방식으로 뚫고 있어요. 이는 기술적인 문제라기보다는 돈이 많이 들기때문에 종이 회사에서 꺼려하는 ... ...
잘못 알려진것이 너무많은 곰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2백10일. 암컷은 2~3월에 1~3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바위틈이나 굴이나 굵은 통나무의 빈
구멍
속에서 동면(冬眠)을 하기 때문에 동면도중에 새끼를 낳는 경우도 있다.새끼는 눈을 감은 채 태어나서 약해 보인다. 그 크기는 20cm밖에 안되며 2주일 동안은 잘 움직이지도 않아서 죽은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 ...
색깔의 본질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방향에서 색깔의 문제를 접근했다. 그는 방을 어둡게 하고 창문에 작은
구멍
을 낸 후, 그
구멍
을 통해 들어오는 가느다란 빛줄기를 프리즘에 쏘여 무지개를 얻어냈다. 사실 이 실험은 뉴턴 이전에도 많이 수행했던 것이었다. 하지만 뉴턴은 이 실험을 통해 이전과는 전혀 다른 결론을 얻어냈다.그는 ... ...
이전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