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2,992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래가 바다로 되돌아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199410
발굽을 가진 포유류와 먼 친척뻘이 된다고 결론지었다. 이와같은 포유류 중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동물로는 낙타와 황소 돼지 사슴 등이 있다. '메소니치드'는 이러한 발굽 짐승과 고래를 연결시켜 주는 고리로 추정된다. 이 동물은 가끔씩 강가에서 물고기를 잡아먹었으나 지금은 소멸하고 없는 ... ...
3 '자연으로 돌아가자' 가치관 절실
과학동아
l
199410
20세기 후반 들어 인간의 거대한 실험장으로 바뀌었고, 마지막까지 신의 소관으로
남아
있던 생명현상마저 인간이 조작할 수 있는 단계(인간게놈계획)로 나아갔다.미국에서는 50년대 말, 일본에서는 70년대 말에 정보산업에 종사하는 인구가 여타 산업분야의 인력을 넘어섰다. 한국의 경우도 내년쯤엔 ... ...
생물- 동물 골격 표본 만들기
과학동아
l
199410
락스류에 약 15-20분 가량 담가두세요. 너무 오래 담가두면 연골이 없어집니다. 연골이
남아
있으면 관절부위의 연결이 쉬우니 락스에 담글 때는 조심해야 합니다.각 부위의 뼈를 붙일 때는 개구리가 앉아 있는 자세로 붙여야 안정감도 있고 보기에도 좋습니다. 골격표본이 완성되면 니스나 락카 혹은 ... ...
태즈메이니아의 비극
과학동아
l
199410
백인들이 와서는 들소를 죽여버려 마침내는 그것들이 있던 곳에는 뼈무더기만이 흩어져
남아
있을 뿐이었어. 백인들은 들소를 먹기 위해 죽이지 않았단 말이야. 그 자들은 쇠조각에 불과한 돈에 미쳐, 돈을 얻으려고 들소를 죽였고, 팔아먹기 위해 가죽만을 벗겨갔어. 때로는 가죽조차도 벗겨가지 ... ...
쓰레기 재생의 과학
과학동아
l
199409
가공하면 필요한 용기로 재생할 수 있다.제주도에는 우리의 전통식 삶의 모습들이 많이
남아
있다. 제주도 성읍마을에는 돼지고기 요리가 유명하다. 그 돼지 사육방식이 재미있다.돼지우리가 변소와 연결돼 있는데, 사람의 대변과 가정에서 나온 음식물 찌꺼기가 함께 돼지의 먹이가 된다. 또 ... ...
목성·혜성 충돌 그 후
과학동아
l
199409
충돌 후의 결과를 알아내려고 노력할 것이다.그러나 아직 인류가 목격치 못한 현상도
남아
있다. 아직 축제가 끝나지 않은 것이다. 그 중의 하나는 목성 테의 생성 가능성이다. 호라니 박사는 새로운 테가 3-4년 후에 생성될 것이라고 믿고 있다. 우리나라도 천문대에서 하루빨리 적외선 카메라를 ... ...
뇌지도 완성 인간마음 읽는다
과학동아
l
199409
활용하기 시작한 때는 1970년대 이다. 그 전까지 대부분의 의학영상은 X선에 의존했다.
남아
프리카의 앨런 코맥과 영국의 고드프리 하운스필드는 제각기 X선과 컴퓨터기술을 결합시킨 CT(computed tomography)의 원리를 창안했다. 하운스필드는 1972년 최초의 CT장치를 개발하여 임상에 사용했다. 두사람은 197 ... ...
세계 최대 규모 입자가속기 유럽 설립 예정
과학동아
l
199409
유럽 핵물리 연구센터(CERN) 19개 회원국 가운데 영국과 독일을 제외한 열일곱 나라가 거대 강입자 가속기(LHC, Large Hadron Collider)의 건설에 찬 ... 총 책임자인 크리스토퍼 레벨린 스미스는 "연기 결정이 매우 실망스런 일이긴 하지만
남아
있는 문제 역시 조만간 해결되야만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현대과학이 밝혀낸 5천년전 알프스 '얼음인간'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409
청동기 시대인 약 4천년 전이라고 늦추어 잡았었다.방사성 동위원소 연대 측정으로
남아
있는 식물들과 다른 재료들에 대해 측정한 결과 '얼음 인간'이 살았던 시대는 5천1백년에서 5천3백년 전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그때는 이미 티그리스 유프라테스 강 유역에서 수메르의 고대 도시들이 생겨났고 ... ...
목성고별관측 - 혜성충돌자국선명
과학동아
l
199409
견줄만한 것까지 있었다. 그리고 이 검은 반점들은 바로 소멸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남아
있었으므로 목성 표면에서 한꺼번에 세개의 반점까지를 볼 수 있었다.이 목성이 이달 21일에는 봄의 대곡선의 끝에 위치하는 처녀자리의 1등성 스피카에 접근하게 된다. 이각이 13분(보름달의 지름은 30분) 정도 ... ...
이전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