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지
계속
존속
보전
지탱
보수
영속
스페셜
"
지속
"(으)로 총 2,717건 검색되었습니다.
유행어된 '한국형DARPA'…과기정통부·국방부 누가 혁신의 아이콘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7.31
있다. PM은 4~5년 임기의 계약직으로 재계약은 없다. 신선한 사고와 새로운 관점을
지속
적으로 받아들이겠다는 목적이다. DARPA는 프로그램 종료에도 적극적이다. 후속 결과에서 추가 투자를 할 정당성이 발견되지 않으면 프로그램을 바로 종료해 버린다. 고위험을 추구하는 프로젝트의 특성상 ... ...
만성요통 환자 자극선별 세포와 통증감각 처리 뇌 영역 유독 발달
동아사이언스
l
2019.07.29
환자의 허리통증이 심해졌을 때 더욱 크게 증가했다”며 “만성요통 환자가 평상시 겪는
지속
적 통증 상태로 인해 현출성 네트워크와 일차체성감각피질 간의 연결상태가 증가된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통증에 대한 공포감이 크고 허리 통증이 심한 만성요통 환자일수록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플라톤의 하늘, 아리스토텔레스의 땅
2019.07.25
수 있는 거의 모든 분야에 큰 자취를 남겼고 그 영향력이 중세 1천 년 또는 그 너머까지
지속
되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문제점이라면 그가 자기 시대에 비해서 지나치게 똑똑하고 명석했다는 점이 아닐까 싶다. 근대과학이 태동한 역사는 아리스토텔레스를 극복한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간단한 ... ...
난청 있으면 치매 걸릴 확률 높아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2
2일자에 발표했다. 그간 난청과 알츠하이머 치매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지속
적으로 나왔으나, 구체적으로 어떤 작용이 일어나기 때문인지 밝혀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난청을 겪는 쥐와 청력이 정상인 쥐에게 알츠하이머 치매를 일으키는 주요 물질인 베타아밀로이드 ... ...
글로벌 AI 인재 양성 위해 KAIST-구글 협약
동아사이언스
l
2019.07.21
KAIST와 구글이 19일 오후 KAIST 대전 본원에서 산학협력 파트너십 협약식을 체결했다. 왼쪽은 신성철 KAIST 총장, 오른쪽은 존 리 구글 코리아 사장이다. KAIST 제 ... 통해 KAIST의 뛰어난 AI 연구 프로그램에 힘을 보태고 한국 AI 인재 양성을 도와 AI 분야의
지속
적인 혁신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속도와 정확도 한층 개선한 실리콘 양자컴퓨터
동아사이언스
l
2019.07.21
정보처리 정확도는 약 90%에 이른다”며 “현재 정확도를 더 향상시키는 노력을
지속
중이다”고 말했다. 시몬스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당장 내년에 실리콘 기반의 양자컴퓨터가 개발되진 않는다”며 “다만 실리콘 기반의 양자컴퓨터를 이용하면 매우 높은 정확도와 빠른 정보처리 속도를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소행성탐사, 과학기술에 관심 불러일으킨 게 가장 큰 수확”
동아사이언스
l
2019.07.19
있다. 가와구치 매니저는 “가장 잘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소행성 연구를
지속
하고 있다”라며 “화성과 목성에 탐사선을 보내는 것도 매력적이지만 이 모든 것을 하나의 기구가 할 수 없다. 대신 가장 잘하는 소행성에 집중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하야부사1은 크기 0.01mm의 소행성 미립자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우주 탐사의 궁극적인 목표는 심우주로 유인탐사”
동아사이언스
l
2019.07.19
심우주를 탐사, 진출하는 것”이라며 “우주탐사를 성공적으로 이끌려면 무엇보다도 ‘
지속
적인 국제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발사체를 발사해 탐사하고자 하는 천체 가까이에 다가가 탐사를 하는 일에만 멈출 것이 아니라 그곳의 자원을 채취해 활용하거나, 또는 소행성 등이 지구로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달착륙 실패? 더 큰 미래세대 꿈 심은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7.18
국민들이 우리 때문에 달착륙에 대해 알게 됐다. 계속해서 소개하고 교육을 하는 활동을
지속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달착륙을 다시 시도할 것인지 묻는 질문에는 “아직은 생각이 없다. 교육에 보다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젊은 세대답게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중요한 ... ...
[특별기고]우주는 이미 삶 속으로 들어와 있다
2019.07.17
컴퓨터 분야의 우수한 산업기술이 많다. 특히 정권이 여러 차례 교체됐지만 정부가
지속
적으로 우주개발 프로그램을 만들어 나서고 있어 인공위성 분야는 세계 5-6위 수준, 독자적으로 우주 로켓 엔진을 만든 7번째 나라가 됐다. 현재 개발 일정이 차분하게 진행되면 2021년이면 우리 땅에서 ... ...
이전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