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채집
모집
컬렉션
콜렉션
모금
수집물
소장품
뉴스
"
수집
"(으)로 총 2,43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 모형으로 도시의 뎅기열 확산을 예측하다
수학동아
l
2016.02.04
감염률 변수를 포함시켜 새로운 모형을 만들었습니다. 2014년까지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수집
한 뎅기열 환자들의 데이터를 ‘SIR-네트워크 모형’에 적용한 것입니다. SIR-네트워크 모형은 전체 인구를 S, I, R로 구분한 뒤 전염병이 퍼지는 현상을 분석하는 가장 기초적인 모델입니다. S는 병에 걸릴 ... ...
인공지능 로봇, 지식 경연대회 출연한다
동아일보
l
2016.02.03
속으로 깊숙이 파고들고 있다. 국내 AI 기업 솔트룩스는 빅데이터에서 스스로 정보를
수집
하고 분석해 질문에 답할 수 있는 ‘아담(ADAM)’을 지식 경연 대회에 출연시키기로 했다고 1일 밝혔다. 국내에서 처음 선보이는 인간과 로봇의 퀴즈 대결이다. 장막 뒤에서 문제를 풀고 시청자들은 누가 AI인지 ... ...
인공지능 로봇, 장학퀴즈 나온다
동아일보
l
2016.02.02
속으로 깊숙이 파고들고 있다. 국내 AI 기업 솔트룩스는 빅데이터에서 스스로 정보를
수집
하고 분석해 질문에 답할 수 있는 ‘아담(ADAM)’을 장학퀴즈에 출연시키기로 했다고 1일 밝혔다. 국내에서 처음 선보이는 인간과 로봇의 퀴즈 대결이다. 장막 뒤에서 문제를 풀고 시청자들은 누가 AI인지 맞히는 ... ...
[Health&Beauty]‘스마트 헬스케어’ 활용 국내외 맞춤 의료서비스 이끈다
동아일보
l
2016.01.27
구축을 위해 △PHR(의료기관에 흩어져 있는 진료·검사 정보와 스마트폰 등으로
수집
한 활동량 데이터 등을 취합한 건강기록 시스템) 기반의 원격의료 플랫폼 △진료의뢰 및 예약연동 진료협력 시스템 △생애주기별 질환관리 콘텐츠 △만성질환관리 콘텐츠 △글로벌 협진 시스템 구축에 박차를 ... ...
제3차 세계대전 일어난다면 우주쓰레기 탓?
2016.01.26
앞서 아두슈킨 교수는 미국 우주감시네트워크(USSSN)와 러시아 우주감시시스템(RSSS)에서
수집
한 우주쓰레기의 궤도 데이터를 분석해 국제우주학회지 ‘악타 아스트로노티카(acta astronautica)’ 8일 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그는 “지구 궤도상의 우주쓰레기 집적도가 매우 높은 수준에 다다른 데다 ... ...
3개월간 먹은 약, 인터넷으로 한번에 확인…어린이·임신부 복용 금지 약 등 정보 제공
동아일보
l
2016.01.26
“본인 확인을 위해
수집
된 개인정보는 본 서비스 목적에만 활용하며 주민등록번호는
수집
즉시 암호화하여 개인정보 유출을 사전 차단하고 있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다”며 “2016년 서비스 운영 결과를 토대로 의약품 복용 정보 제공 기간을 확대하는 등 서비스의 질을 높여나갈 것”이라고 ... ...
日 ‘AI 로봇’ 1000만원에도 불티… 글로벌시장 年20%씩 성장
동아일보
l
2016.01.26
‘ICBM’ 기술이 성숙 단계에 접어들면서 현실화가 가능해졌다. 막대한 양의 데이터를
수집
하고 저장 분석하는 기술이 급속히 발전해 서로 융합되면서 기계가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과 추론까지 할 수 있게 됐다. AI 분야의 특징은 축적된 데이터에 따라 기술과 서비스 수준이 크게 좌우돼 선발자를 ... ...
“한국 인공위성의 성공 신화는 제 역사이기도 합니다”
2016.01.25
55㎝ 크기의 물체까지 식별이 가능하고 어두운 밤에도 적외선 센서로 열을 감지해 영상을
수집
할 수 있다. 서브미터급 고해상도 지구관측위성 ‘아리랑 3A호’를 제작 중인 연구원들.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 “이제는 한 단계 점프할 때” 지금껏 앞만 보고 달려온 용 연구원은 벌써 다음 ... ...
[박성연의 SNS 트렌드]성큼 다가온 ‘가상현실’ 시대, SNS에 달아오른다
동아일보
l
2016.01.22
눈길을 끌었다. CES 해시태그(#)가 달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게시물을 실시간으로
수집
해 CES 열기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했는데, 6일 하루 동안 관련 트윗이 150만 개를 넘었다고 한다. 리트윗은 79만 개가 넘었다. 첨단 기술에 대한 열기는 국내도 예외가 아니다. 정보기술(IT) 제품 전시장을 가거나 ... ...
올해 세계를 놀라게 할 과학계 핫 이슈는?
2016.01.22
hundred meter Aperture Spherical Telescope)’가 9월경 완공돼 가동을 시작한다. 패스트는 전파를
수집
하는 반사경의 지름이 500m로 축구장 30개 면적과 맞먹는다. 현재 이런 형태의 전파망원경으로는 푸에르토리코에 있는 지름 305m의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이 세계에서 가장 크다. 하지만 패스트가 완공되면 5 ... ...
이전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