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리
대행
대변
대표
대치
대체
대리인
뉴스
"
대신
"(으)로 총 4,649건 검색되었습니다.
항체 잡는 '빛 스위치'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있는 항체 의약품 개발에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비슷하게 빛
대신
라파마이신이라는 화학물질을 가하면 GFP 나노바디가 합쳐져 활성화되는 ‘케모바디’ 기술도 개발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소드’ 15일자에 발표됐다. ... ...
멀리 떨어진 사용자들 가상현실 공유하는 플랫폼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콘텐츠를 만들어 적용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유범재 연구단장은 “사용자는 자신을
대신
하는 아바타로 표현돼 네트워크에 접속한 뒤 다른 장소에 있는 사용자들과 소통하고 협업할 수 있다”며 “가상 키보드를 사용해 메시지를 보내거나 가상 공간에 그림을 그리고 가상 물체를 조작하면서 ... ...
‘디자이너 베이비’ 조기사망 가능성 제기 연구논문 철회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먼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사람들 간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단순히 CCR5
대신
CCR5-Δ32 돌연변이를 가진 것만으로 사망 나이를 조사했는데, 이들 중 가족이 포함돼 있다면 다른 유전적 영향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닐슨 교수팀은 연구에서 가족관계나 이로 인해 유전자 분석이 ... ...
우주 탄생부터 일상의 혁신까지… 인류의 미래 밝힐 위대한 발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1
“목성의 공전주기가 12년에 이르는 것을 생각하면 어마어마한 속도”라고 말했다. 그
대신
별과 행성 사이 거리는 태양과 지구 사이의 20분의 1에 불과했다. 오 선임연구원은 “다른 학자들이 외계행성계가 태양계와 비슷할 것이라는 고정관념에 매여 있던 반면 이들은 고정관념 없이 데이터를 ... ...
물구나무 피아니스트 ‘인기’
팝뉴스
l
2019.10.10
제공 피아노 의자에 엉덩이
대신
머리를 올려 놓았다. 몸을 완전히 뒤집은 채 피아노를 연주한다. 소리는 제대로 날까. 연습을 많이 했던 모양이다. 의외로 소리가 괜찮다. 베토벤의 ‘엘리제를 위하여’를 연주했는데 전혀 어색하지 않다는 평가가 많다. 화제의 물구나무 피아노 연주 ... ...
노벨상위원회 "화학상 수상자들, 전에 없던 신개념 배터리 만든 게 업적"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찌꺼기를 격렬하게 열분해시켜서 만든 석유코크스를 산화코발트나 이황화타이나늄
대신
썼다. 석유코크스도 리튬 이온이 자유롭게 왔다갔다 할 수 있는 층을 가지고 있다. 구디너프의 연구를 기초로 해 배터리의 음극재로 석유 코크스를 사용했고 구디너프가 제시한 4V 전위차를 유지한 배터리를 ... ...
"충전 가능한 세상 만든 과학자들"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노벨화학상 수상자 공적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뛰어나 배터리가 폭발할 위험이 크다는 점이었다. 존 구디너프 교수는 금속황화물
대신
금속산화물을 이용해 배터리의 음극을 만들었다. 그러면 배터리가 더 큰 에너지를 가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1980년 그는 리튬 이온을 넣은 코발트 산화물이 최대 4V까지 생산할 수 있음을 보였다. 이것은 ... ...
노벨화학상, 충전의 세상 연 리튬이온 배터리 연구자 3명 수상(종합)
2019.10.09
단락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요시노 교수는 음극으로 리튬금속을 쓰지 않는
대신
흑연을 음극으로 활용해 이 문제를 해결하고 리튬이온 배터리를 안정화하며 상용화에 성공했다. 박사후연구원 시절 구디너프 교수와 함께 연구한 김영식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는 "기존에는 포터블 ... ...
노벨화학상에 리튬이온 배터리 연구자3명…日 24번째 수상(2보)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혁신적인 음극을 만든 공로를 인정받았다. 구디너프 교수는 음극이 금속 황화물
대신
금속 산화물을 사용해 배터리를 만들면 더 큰 전위를 가질 것이라고 예측하는 연구로 리튬이온배터리 발전에 기여했다. 요시노 교수는 1985 년에 일본 화학회사 아사이카세이에서 최초의 상용 리튬 이온 ... ...
오른손-왼손 대칭 같은 괴짜물질 광학이성질체 쉽고 빠르게 분석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1시간이 들고 분석물이 색을 내야만 분석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연구팀은 HPLC
대신
화합물의 분자 구조를 분석하는 데 주로 쓰이는 핵자기공명 분광분석기를 활용했다. NMR 분광분석기는 분석시간이 1~5분으로 짧다는 장점이 있다. 광학활성을 분석하는데도 쓰이지만 신호 감도와 분해능이 ... ...
이전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