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435건 검색되었습니다.
AI가 만든 텍스트 식별·추적하는 워터마크...AI 악용한 허위정보 구분 길 열릴까
동아사이언스
l
2024.10.25
방법을 제시해 올해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제프리 힌턴 캐나다 토론토대 컴퓨터과학과
교수
는 수상 이후 진행된 전화 인터뷰에서 "AI는 우리 사회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AI가 가져올 나쁜 결과, 특히 통제 불능이 되는 위협에 대해 걱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 doi.org/10.1038/s41586-0 ... ...
[과기원NOW] UNIST, 소형 원전 원격 감시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24
갖는 성형체를 제조하는 데 성공해 성형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주
교수
는 "새로운 열저장 성형체 기술은 열저장 사이클에서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다양한 산화물 열저장 소재의 성형 기술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doi.org/10.1080/17452759.2024.2411024 - doi.org/ ... ...
핵심정보만으로 의사결정하는 인간 뇌 회로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10.24
하는 뇌 회로를 처음으로 규명했다. 서울대는 김형 생명과학부
교수
와 이수현 심리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영장류 뇌에서 일어나는 효율적인 정보처리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23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공개됐다. 그동안 영장류의 인지신경과학 ... ...
DNA에 저장한 판다 이미지, 빠르고 정확하게 읽어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24
획기적으로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하오 얀 미국 애리조나주립대 바이오디자인연구소
교수
팀은 DNA의 합성 과정 없이 DNA 염기를 선택적으로 변화시켜 2진법(0과 1)으로 정보를 저장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결과는 23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공개됐다. 인류가 생산하는 데이터가 ... ...
스스로 걸어와 장애인에 입혀진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4.10.24
대회는 스위스 현지와 각국 경기장에서 생중계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진행된다. 공
교수
연구팀은 대전에 위치한 엔젤로보틱스 선행연구소 내에 설치된 경기시설에서 온라인으로 참가한다. 하반신 마비 환자를 위한 웨어러블 로봇 '워크온슈트 F1'에 사용된 주요 기술과 부품을 나타낸 ... ...
아부다비서 중국에 있는 자율주행 로봇 AI 원격제어…국내 연구팀 우승
동아사이언스
l
2024.10.24
조율했다. 졸업 후 자율주행 로봇 스타트업을 창업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
교수
는 "이번 수상의 가장 큰 의의는 개인적인 영예를 넘어 원격 제어 기반 자율주행 기술 분야에서 서울대의 경쟁력을 입증했다는 데 있다"며 "성과를 발판 삼아 앞으로도 지속적인 기술 혁신을 추구하고 더 높은 ... ...
필수의료 혁신 연구한다는데…의료계 "연구할 의사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24
응급의학과 전문의들의 업무 피로도는 한계에 달했다는 지적이다. 최근 전국의과대학
교수
협의회(전의교협)가 전국 수련병원 34곳에서 근무 중인 응급의학과 전문의 89명에게 추석 연휴가 포함된 지난달 13~20일 근무 현황을 조사한 결과 69.6%에 해당하는 62명이 12시간 이상 연속근무를 한 것으로 ... ...
[과기원NOW] 포스텍, 차세대 초고속 반도체입자 변조기 개발 성공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23
유지해 시간당 수소·산소 생성속도를 높인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확인했다. 이재영
교수
는 "단위 면적당 9배 이상의 고순도 그린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전해질을 설계했다"며 "수전해 기술의 성능과 내구성 문제를 동시에 해결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23일 미국 ... ...
[사이언스게시판] 카오스재단, '2024 노벨상 해설 강연'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23
효율적으로 개선한다. 로보틱스 공동연구실의 책임을 맡은 김아영 서울대 기계공학부
교수
는 "이동형 양팔 로봇의 고도화를 위해 인식, 판단, 제어를 아우르는 주요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미리 무작위 정보 학습하면, AI 학습 효율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4.10.23
때 훨씬 빠르고 정확하게 학습하며 가중치 수송 없이 높은 학습 효율성을 얻었다. 백
교수
는 “데이터 학습만이 중요하다는 기존 기계학습의 통념을 깨고 학습 전부터 적절한 조건을 만드는 뇌신경과학적 원리에 주목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공했다”며 “발달 신경과학으로부터의 단서를 통해 ... ...
이전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