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입"(으)로 총 2,7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연이 만들어낸 발명품들기사 l20191010
- 요즘 없는 사람이 없는 지우개도 우연히 발명된 것이랍니다. 지우개를 발명한 사람은 영국의 화학자 조지프 프리스틀리(joseph priestley) 입니다. 어느날, 조지프는 글을 쓰다 생각에 잠겼는데 다시 종이를 보니 글이 지워져 있어서 깜짝 놀랐습니다. 별 생각 없이 손에 들고있던 천연 고무 조각이 글을 지워서지요. 천연 고무 조각이 글을 지 ...
- 저의 대해 설명 하겠습니다!포스팅 l20191010
- 이름: 박지민 성별: 여 나이: 12 인사말: (그냥 내 맘대로) Q. 인싸인가 아싸인가?A.아싸(핵아싸) Q. 얼굴은..??A.입 닫아..!!! Q. 최애는..??(캐릭터)A.앨리스 신서시스 서티,앨리스.투베르크 Q. 차애는...??(캐릭터)A.키리토,키리가야 카즈토 Q. 키는??A........ㅂㄷㅂㄷ...!! 입 닫자..^^ ...
- 햄스터 베딩에 대해 공부 해보자!!기사 l20191004
- 많은 분들이 추천하시는 해동지를 잘게 잘라 주는 게 좋다고 합니다. 출처:네이버 하지만 해동지를 추운 곳에서 전체 베딩으로는 무리 입니다. 라는 의견이 있답니다. (의견이 막 달라요!!) 그리고 햄스터의 베딩 중 또 다른 하나는 천 베딩인데요. 출처:네이버 천 베딩은 톱밥/종이 알레르기가 있는 햄스터, 그리고 골든 햄스터 중에는 장모 햄스터라는 ...
- 곤충은 어떻게 숨을 쉬는 걸까?기사 l20190926
- 안녕하세요. 박주원기자입니다. 기사를 쓸까 고민했는데 결국 첫 기사를 쓰게 됩니다. 오늘은 제가 곤충은 어떻게 숨을 쉬는지에 대해 조사해 봤습니다. 곤충의 배를 자세히 보면 배 옆에 있는 동그란 모양을 볼 수 ... 핥아 먹으며 사는 곤충은 입이 평평하고 나비처럼 꽃의 꿀을 빨아먹는 곤충은 기다랗거나 길게 늘어나는 입 ...
- 노랑배허리노린재탐사기록 l20190925
- 다리무늬침노린재의 컬러 버전이라고 부르고 싶은'노랑배허리노린재'에요.배가 노란색이고, 입에는 침이 있어요~사진에서 성충과 약충을 함께 보실수 있어요~열매 등 과즙을 빨아 먹어요~아래 사진은 탈피각입니다~^^ ...
- 네 여러분 입만 조심하면 잘 살수 있습니다 저처럼 안 망해요 번외편(?)포스팅 l20190924
- 저희반은 1등을 했구여.............저희 엄마의 반대로 모두에게 (더비싼)과자를 쏘게 되었어요ㅎㅎㅎㅎㅎㅎ ...
- 네 여러분 입만 조심하면 잘 살 수 있습니다 저처럼 안 망해요포스팅 l20190923
- 내일은 저의 학교에서 학년별로 하는 운동회같은 걸 하는 날인데여........저희 학년은 8자 줄넘기를 하거든요?근데 저희반은 8자 줄넘기를 진짜 못해요ㅠㅠ그런데 오늘 마지막 연습을 하는데 자꾸 똑바로 안하는거에요!!!!!!!그래서 체육시간이 끝나고 애들이 저한테 와서 운동회때 장난을 안치게 좀 해달라고 했어요(제가 부회장이거든요ㅎㅎ)그래서 제가 농담으로 ...
- 서울새활용플라자에 다녀와서기사 l20190921
- 것은 무엇인지 '재활용'과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았습니다. 먼저 새활용이란, 버려진 물건에 디자인을 해서 새롭게 다시 쓸 수 있도록 입그레이드 하는 것이고, 재활용은 아예 분해해서 가공한 다음 새 물건을 만드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재활용은 에너지와 비용이 많이 들어서 그냥 '좋다'라는 뜻의 리사이클링, 새활용은 훨씬 적게 들어서 '더 좋다'는 뜻 ...
- '초능력 가족 은비네가 수상해'세계관 정리(스포주의)포스팅 l20190919
- 1.은비와 건우의 탄생(사이언스 별과 지구인의 혼혈) 어느 날 사이언스 별의 공주는 지구로 수학여행을 가게 됩니다. 그러다가 공주는 떡볶이를 먹게 되죠, 그러다가 너무 매워서 입에서 불이 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다가 어떤 한 사람이 공주에게 우유를 줬고요. ... 되어 착해진 것처럼)그러나 급속 방전을 당하게 되지만 건우가 건 ...
- 상상이 현실이 되는곳, 고성 공룡 박물관기사 l20190915
- 군립 공원은 남해안 한려 수도를 한눈에 바라볼 수 있고 해면의 넓은 암반과 기암적벽이 계곡을 형성하는 자연경관이 뛰어난 곳입니다. 상족암은 수직절벽이 밥상다리 모양을 하고하고 있는 데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쌍족 또는 쌍발이라고도 부른다고 합니다. 고성 덕명리 화석산지는 중생대 백악기 공룡발자국 화석산지로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곳이라고 합니다 ...
이전2192202212222232242252262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