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코딩으로 수학 배우고 R&E까지 폴수학학교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여기에 코딩이 더해지면서 탁월한 성과들이 나오고 있다. 매년 한국수학교육학회와 한국멀티미디어학회에서 학생들이 연구 성과(R&E 결과물)를 발표하고 있다. 또 일본과 싱가포르 등에서 열리는 해외 학회에서 결과물을 발표하는 학생들도 있다. 학교에서 만난 김민석(고1) 군은 한창 컴퓨터로 ... ...
- 전해진 서울시립대 총장장학생 - “나만의 공부 방법을 만들어 보세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97, 백분위), 수학 2등급(89), 영어 1등급(절대평가), 화학Ⅰ 1등급(97), 지구과학Ⅰ 2등급(90), 한국사 1등급(절대평가)의 우수한 성적을 받았고, 서울시립대 화학공학과 수석으로 합격했다. 서울시립대는 등록금과 장학제도 등 여러 가지 제도를 통해 학생들을 폭넓게 지원하고 있다. 전 씨가 ... ...
- Intro. 과학으로 통일을 준비한다! 반달가슴곰의 팩트체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안녕? 난 비무장지대 ‘DMZ’에 살고 있는 반달가슴곰이야. 최근, 남한과 북한의 사이가 좋아지고 있어서 어쩌면 가까운 미래에 한반도의 백두대간이 이어질 수도 있다고 들었어. 그럼 지리산에 사는 반달가슴곰과 백두산호랑이가 만날 수도 있대. 통일을 위해 과학자들도 준비 중이라던데…. 진짜 ... ...
- [팩트체크 1] 남북, 65년만에 평화로운 분위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입장을 언급하며 회담을 취소한다는 서한을 보냈거든요. 이에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한국 문재인 대통령에 급히 회담을 요청해, 다시금 한반도 비핵화와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의지를 확인하는 자리를 가졌지요. 이 회담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6월 12일 북미정상회담은 바뀌지 않았다”고 말을 ... ...
- [이달의 사물] 호랑가시나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크리스마스 즈음에 빨간 열매를 맺죠. 호랑가시나무는 종류가 400~600종이나 됩니다. 그 중 한국과 중국에 분포하는 호랑가시나무는 잎이 호랑이 발톱 같다고 해서 ‘호랑이발톱나무’라는 이름을 갖고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호랑가시나무의 열매와 잎을 약재로 쓰기도 합니다. 붉은 열매에는 ... ...
- KAIST 과학로켓 우리새-2호 하늘을 날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과학적인 목적으로 발사하는 연구용 로켓이다. 그동안 국내에서 제작된 과학로켓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이 개발한 ‘KSR-Ⅰ호’ ‘KSR-Ⅱ호’ ‘KSR-Ⅲ호’가 있다. 하지만 정부 차원이 아니라 민간에서 과학로켓을 개발해 발사에 성공한 건 우리새-2호가 처음이다. 우리새-2호는 민간 최초의 ... ...
- 크리스마스에 솔로인 당신 ‘AI 연인’은 어떠세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시작 단계이기 때문에 완벽한 맞춤형 AI가 나오려면 아직 시간이 더 필요합니다. 장인훈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융합생산기술연구소 로봇그룹 수석연구원은 “어느 정도 기본적인 학습을 마친 뒤에 사용자와 생활하면서 추가적으로 학습해 개인 맞춤형 AI가 되는 ‘점진적 학습(incremental learning)’ ... ...
- 영장류자원지원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4년간 총 185억 원을 투입해 사육동과 본관동, 검역동, 부대시설 등을 건설했다. 김장성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장은 “영장류를 이용한 연구 기반을 확립해 노화와 뇌과학, 신약개발, 재생의학 등 전임상 연구를 지원할 수 있게 됐다”며 “국내 의생명과학기술을 발전시키고 바이오산업을 ... ...
- ‘아베노믹스’가 한국에 주는 교훈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잃어버린 20년’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장기적인 경제 불황을 겪던 일본이 부활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2018년 3분기 일본의 경제 성장률 ... 그러나 소비심리와 투자심리가 위축되는 현상이 장기화되고 있는 만큼, 일본의 경험은 한국에게 반면교사(反面敎師)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
- 수학자들이 병원에 간 이유는? “질병 문제 함께 풀어요”수학동아 l2018년 12호
- 한국표준연구원 등 다양한 연구 기관과 융합 연구를 해오고 있었다. 예를 들어 한국기계연구원과는 다리를 마음대로 쓸 수 없는 장애인을 위한 로봇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2018년 1월부터 시작된 수학자와 의사들의 의료수학 공동연구는 비뇨기과에서부터 피부과, 영상의학과 등 분야도 다양하다. ... ...
이전2192202212222232242252262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