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반"(으)로 총 7,844건 검색되었습니다.
- 범고래에게 송곳니만 있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돌고래의 태아를 이용해 각 단백질이 턱에 어떻게 분포하는지 확인했다. 돼지 태아는 일반 포유류처럼 턱뼈 앞에 BMP4, 턱뼈 뒤에 FGF8이 있었다. 돌고래 태아는 턱뼈 뒤에 FGF8이 있는 것은 동일했지만 BMP4가 턱뼈 전체에서 나타났다. 턱 전체에 분포하는 BMP4가 FGF8보다 우선적으로 작용해 뾰족한 ... ...
- [박형주 교수의 수학자 이야기] 인공지능의 가능성을 입증한 수학자 튜링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아마도 동성애자였던 그가 혼돈과 세상의 핍박을 감당하지 못해 자살했다는 추측이 일반적이다.그가 더 오래 살아 그의 대담한 꿈을 펼쳤더라면, 인공 지능의 문제에 큰 진전을 이루었을 거라는 추측도 있다. 아마 그랬더라면 20세기 문명의 모습이 달라졌을지도 모르겠다.만약 컴퓨터가 인간을 ... ...
- 가장 특별한 스페셜올림픽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수 있지요. 선수들의 능력에 따라 10m부터 10km까지 세부종목으로 나누었어요피겨스케이트일반 피겨스케이트 종목과 같아요. 선수의 능력에 따라 진행합니다. 잠깐!신체장애인이 참가하는 올림픽 ‘패럴림픽’전 세계 신체장애인들이 참가하는 올림픽도 있어요. 바로 장애인올림픽대회(패럴림픽 ... ...
- Let's MATH PARTY!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일어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어떤 세 점도 한 직선 위에 놓이지 않을 때를 ‘일반적인 위치’에 있다고 하자. 만약 종이 위에 점 4개가 있다면, 점들을 연결해 사각형을 그릴 수 있다. 그런데 사각형이라고 모두 같은 것은 아니다. 초중고 정규 교육과정에 선 한 내각의 크기가 180°보다 작은 ... ...
- ➋ 이재진 컴퓨터공학부 교수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천둥은 사실 snuCL의 성능평가를 위해서 만들었어요. 현재는 구체적인 용도는 없어요. 일반적으로 슈퍼컴퓨터는 날씨예보, 핵무기 실험, DNA시퀀싱, 블랙홀 충돌 실험 등 다양한 시뮬레이션에 쓰여요. 대용량, 고속 정보처리가 필요하기 때문이죠. 앞으로 천둥은 다양하게 쓰일 것입니다. 천둥은 ... ...
- 이과 갈까 문과 갈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지리, 역사, 윤리 등이, 과학 과목에는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등이 있습니다.일반적으로 인문계열을 선택해서 진학할 수 있는 대학으로는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경영대학 등이 있습니다. 자연계열을 선택해서 진학할 수 있는 대학으로는 자연과학대학, 간호대학, 공과대학 등이 있습니다. ... ...
- [2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한 종류다. 60℃에서 30분 동안 가열해도 감염성이 유지되고 일반 수돗물의 염소 농도에서도 불활성화되지 않을 정도로 저항성이 강하다. 적은 양으로도 쉽게 감염될 수 있다. 이 바이러스는 모든 연령의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특히 어린이와 노인들이 감염되기 쉽다. ... ...
- [hot science] 작은 어항이 큰 불 낸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실제로 초고층 빌딩을 설계할 때 안전성을 어떻게 확보할까.일반적으로 층간 불연화 구역을 만든다. 엘리베이터도 구획화한다. 저층용, 고층용 엘리베이터로 나눠 중간에 화재가 나더라도 지상으로 또는 건물 꼭대기를 통해 대피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그런데 미처 ... ...
- 고독한 우주의 방랑자, 외톨이 행성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성간 가스가 수축하면서 생긴다. 갈색왜성은 생성과정이 별과 동일하지만 질량이 모자라 일반적인 별이 되는데 실패한 천체다. 행성은 별 주위에 남은 물질이 뭉쳐서 생긴다. 큰 질량이 수축해서 만들어진 별과 달리 행성은 작은 질량이 뭉쳐서 자란 결과다.즉, 질량이 비슷하다 해도 갈색왜성과 ... ...
- PART 4. 영원히 착륙하지 않는 무인비행기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속도를 낼 수 있다.사람이 타야 한다는 것뿐만 아니라, 사용하는 엔진이 비행기에서 일반적으로 쓰는 제트엔진이어야 한다는 조건마저 빼버린다면 세계에서 가장 빠른 비행체는 X-43가 아닌 팰콘 HTV-2다. 미 국방부 산하 고등연구기획국(DARPA)이 만든 팰콘 HTV-2는 엄밀히 ‘로켓 글라이더’로 분류할 수 ... ...
이전2192202212222232242252262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