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우량
우월
탁월
상위
유망
유명
저명
d라이브러리
"
우수
"(으)로 총 2,253건 검색되었습니다.
'광물의 표본실' 한반도의 천연자원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이르는 남해수역은 해안선의 길이가 2천km를 넘고 많은 섬들이 분포하여 우리나라의 가장
우수
한 어장을 이룬다. 이 해역은 자원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고급어류가 많은 특징도 있다. 어획량으로는 쥐치가 가장 많으며 연안에서는 멸치어로가 중심이 되고 있다. 또 이 해역은 김 굴 고막 홍합 등의 ... ...
잡목으로 우거진 빈약한 산림국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있다.또 통나무를 켜서 판대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30년 이상 자란 것이라야 폭이 넓고
우수
한 판자를 켤 수 있다.다음은 펄프 원료이다. 이 경우는 나무가 곧지 않아도 되고 가는 것도 쓸 수 있는데 우리나라의 소나무는 펄프용으로 매우 질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세째는 장작 숯 등 땔감이다. ... ...
마이크로 칩속에서 진행되는 보이지 않는 폭격기의 개발-STEALTH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진보인데 앞의 두가지는 특히 공군장교들에게 솔깃한 얘기이다. "전자공학적으로만
우수
한 새 폭격기로는 의회 설득이 안된다. B-52가소련의 대응에 발맞추어 끊임없이 최신화되고 있듯이 B-1B와 똑같은 '블랙박스'가 해외에도 있을지 모르기 때문이다"라고 한 상원 관계자는 밝힌다.B-1B나 B-52는 ... ...
한국 과학출판의 수준과 문제점을 말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본격적인 과학저술인은 홍문화, 김정흠, 김용운, 현원복씨 정도이고 70년대에 등장한
우수
한 저자들은 바빠서 쓸 틈이 없다. 언론·출판계는 새로운 과학저술인 발굴에 힘써야 할 것이다. 둘째, 과학물을 다룰 편집자를 구하기가 어렵다. 여기에는 출판사의 낮은 대우 같은 딱한 사정이 있지만 과학을 ... ...
21세기는 레이저로 밝힌다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머릿글자를 모은 것(LASER)이다.새로운 산업혁명의 원동력, 레이저인류가 만들어낸 가장
우수
한 빛인 레이저광은 보통의 빛에 비해 매우 다른 특성을 갖고 있다. 누구나 레이저광의 특성을 알게되면 그 순간 머리에 섬광이 번쩍이듯이 레이저의 이용가치를 느끼게 될 것이다. 레이저광은 산업의 ... ...
1천명 중 한명은 수퍼맨이다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볼 수 있다.이 가설에 따르면 또 하나의 가설도 있을 수 있다. 즉 '높은 활동성과
우수
한 지능을 가진 XYY 남성'이 그것이다. 확실하지는 않지만 그러한 남성이 있다는 것은 확률적으로도 가능하다. 그러한 XYY 남성이 사회에서 유익한 활동을 하고 있다는것도 당연히 생각해봄직 하다.사실 지금까지는 ... ...
외계인은 존재할까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전파잡음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전파잡음은 자연 발생적인 것으로 절대온도 3도의
우수
배경복사 전파를 비롯해서 수신장치에서 나오는 잡음, 지구 대기권에서 발생되는 잡음 등으로 약한 전파신호를 잡음 속에 묻어 버릴 수 있다.1959년 '모리손'(Morrison)과 '코코니'(cocconi)는 만일 다른 문명체가 ... ...
묘목의 배양법 발견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요즘, 삼림자원개발은 새로운 시각에서 추진되어야 한다는 소리가 높다. 그런 속에서
우수
한 성질의 수목 묘목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방법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일본의 한 임목육종연구소에서 개발한 기술로 수목에서 떼어낸 성장점을 특수한 환경에서 배양하여 대량으로 번식시키는 것. 식물의 ... ...
적은영양가에 많은 농약 온실재배채소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보다는 앞서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많은 부문에 있어 우리를 앞서고 우리보다
우수
하다.그런데 일본의 어떤 농협시찰단이 유럽에 갔을 때 일본인들 생각으로는 프랑스나 서독은 선진국이니까 겨울철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채소 재배에서도 상당히 앞서 있을 것이라는 생각으로 유심히 ... ...
반도체용 리드프레임, PMC102란?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김영길박사팀이 이 제품을 개발 완료한 것은 1982년이지만 세계시장에서 이 제품의
우수
성을 입증시키는데만 3년 이상이 걸린 것.한국과학기술원 강일구박사(재료공학부·부장)는 "산업적 의미가 매우 크다 하겠다. 사실 우리가 기술적 측면에서 떨어진다기 보다는 세계시장에서 우리 제품을 ... ...
이전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