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쓰는사람"(으)로 총 2,322건 검색되었습니다.
- 왜 빛을 내는가? 그 결과로 무엇을 얻고 잃는가? 여름밤의 영롱한 빛 반딧불과학동아 l1988년 08호
- 곤충의 여러 습성중에서 가장 쉽게 연구할 수 있는 것이 반딧불의 통신수단이다. 간단한 펜라이트와 노트만 가지고 들에서 며칠 저녁을 지내보면 몇 가지 재미있는 사실들을 관찰하게 될 것이다.우선 비행중인 숫컷이 내는 섬광유형에 따라서 반딧불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다. 또한 펜라이트(Pen ... ...
- 암치료의 새로운 무기로 등장한 광학요법 암을 빛으로 죽인다과학동아 l1988년 08호
- 암을 광선으로 치료한다. 그렇다고 빛만 쪼여주면 멀쩡한 암이 죽어준다는 얘기는 아니다.먼저 빛(photo)에서 이름을 따온 pho A라는 화학물질을 몸속에 주사한 뒤 빛을 쪼여주면 30분 내에 암이 사멸한다는 것. 그래서 이 방법을 암치료의 광학요법이라고 부른다.무척 생소한 방법이지만 그 원리는 이 ... ...
- 본격 조사 시작된 마야 그 문명과학동아 l1988년 07호
- 돌 만으로 쌓은 신전을 중심으로 고도의 도시 문명을 이룩하고 독특한 문자를 사용했던 마야문명의 수수께끼가 조금씩 풀리고 있다. 마야문명은 세계의 여러 고대문명 중에서도 독특하고 신비스러운 것 중의 하나일 것이다. 그 기원이나 사회의 형태, 기괴한 문자, 돌연한 쇠퇴 등 아직 밝혀지지 ... ...
- 깨끗하고 맛있는 물을 마시려면과학동아 l1988년 07호
- 강과 호수가 오염되어 물고기가 떼죽음을 하고 있다. 이런 물을 원수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쁜물을 맛있고 좋은물로 만드는 방법을 살핀다.사람이 마실 물이 여러가지 원인으로 심각한 위협을 받고있다. 공업화에 따른 공장 폐수, 하수도 보급지연으로 인한 생활폐수의 증가와 농업에 의한 ... ...
- 「누가먼저?」의 논쟁 "내가 이룩한 것을 가로채려 하다니…과학동아 l1988년 07호
- 위대한 과학적 업적이 거의 동시에 쏟아져 나온다면 누구에게 최초의 발견자라는 명예가 돌아갈까? 판정내리기 무척 어렵다. 뉴턴 다윈 등 대과학자들에게도 치열하고 치사하게 보인 우선권 다툼이 있었다. 하지만 이 논쟁의 결과 과학의 발전은 더욱 활기를 띠었다.1950년대 DNA분자구조의 해명을 ... ...
- PARTⅠ 바이오리듬 파약해야 공부도 잘할수 있어과학동아 l1988년 06호
- 서양에선 이미 1백년전부터 등장된 바이오리듬이 최근 국내에 도입되었다. 이 바이오리듬은 상당한 과학적 근거를 가지고 있으며, 잘만 활용하면 성적향상에 도움을 얻을 수 있다.1962년 8월5일, 베벌리힐스의 고급 주택가. 장미넝쿨로 둘러싸인 담장을 따라 많은 차들이 주차해 있었고 평소 조용하 ... ...
- 귀동냥으로 배우는 16비트 PC③ 문서소프트웨어, 워드프로세서 사용법과학동아 l1988년 06호
- 컴퓨터로 자료를 관리하고 문서를 작성한다는 것은 커다란 변화이다. 다양한 기능을 습득해 최대의 능률을 올리자.요즘에는 정보화 사회라는 용어를 누구나 자연스럽게 말한다. 정보화 사회라는 것이 어떤 사회인지 정확하게 이야기하라면 곤란해지겠지만, 앞으로 다가올 사회는 정보화 사회일 것 ... ...
- 첨단의 약제를 찾아서 미사일 약 딱 한번 약 붙이는 약…과학동아 l1988년 06호
-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여 달나라에까지도 사람을 쏘아 올릴 수 있게 되었다. 더구나 지구상의 반대편 나라에 있는 조그만 공격목표를 미사일로 날려 맞추는 일이 흔한 일이 되어 버린지 오래이다. 우리는 이렇게 멀고도 작은 목표마저 정확히 쏘아 맞출 수 있는 놀라운 시대에 ... ...
- 시력을 다시 찾아주는 각막이식수술과학동아 l1988년 06호
- 각막은 눈에서 맨처음 빛을 받아들이는 중요한 부분, 투명한 각막이 혼탁해지거나 자국이 생기면 밖에서 들어오는 빛이 차단되어 시력장애가 생긴다. 그 각막을 다른 맑은것으로 바꿔 이식하여 시력을 회복하는 것이다.각막(검은자위)은 원래 유리같이 투명한 것인데 홍채(虹彩)나 동공(瞳孔)때문 ... ...
- 오명 체신부 장관 2천년대 초까지 모든 가정에 컴퓨터를…과학동아 l1988년 05호
- "지금 전화를 활용하듯이 모든 가정에 컴퓨터를 한대씩 갖고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시기가 곧 올 것입니다" 6공화국의 조각이 한창일 때 매스컴의 관심밖(?)이었던 부서중의 하나가 체신부였다. 이는 정보통신 정책이 중요치 않아서가 아니라, 이 분야의 전문가로서 80년대 들어 체신부의 실무를 전 ... ...
이전2192202212222232242252262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