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백"(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 2. 태풍도 엘니뇨 탄다과학동아 l1999년 09호
- 발생한 태풍의 수는 약 1천3백개이고, 이 중에서 여름철(6월-8월)에 발생한 태풍은 약 8백개이다(평균 27.1개). 이 기간 동안 태풍이 가장 많이 발생한 해는 라니냐 발생해인 1967년(39개)이고, 가장 적게 발생한 해는 1998년(18개)이다.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에 심각한 피해를 준 태풍은 1959년 ... ...
- 인간과 더불어 사는 신세대로봇과학동아 l1999년 09호
- 판단하는 사이크(Cyc, enCYClopedia에서 유래)가 바로 그것. 사이크에는 일상생활에서 추출한 2백만가지의 정보와 그 안에 내재된 50만건의 규칙이 입력돼 있다. 이를 기준으로 사이크는 사물을 판단한다. 한번은 수십만장의 사진과 관련기사를 입력한 후 강하고 용감한 남자의 사진을 찾으라고 ... ...
- 불임 해방과 아기산업의 두 얼굴 시험관아기과학동아 l1999년 09호
- 거래되고, 임신을 대신해주는 대리모가 등장했다. 미국의 예를 보면 정자의 경우 50-2백달러, 난자의 경우 5백-2천달러에 거래됐다. 물론 이는 교통비나 수고비 형식으로 지급됐기 때문에 법적으로 문제를 삼을 수 없었다.게다가 아기를 기를 능력이 없는 60세 할머니가 시험관아기를 낳는가 하면, 딸의 ... ...
- 태백으로 떠나는 화석여행과학동아 l1999년 09호
- 활발하게 일어나 장엄함과 시간의 위대함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이곳은 중생대 백악기에 퇴적된 역암층으로 강물에 의해 침식돼 2백70m 깊이로 패여 있는 거대한 협곡이다.삼척시 도계읍 심포리 오십천 상류 미인폭포에서 시작되는 통리협곡 바닥에는 수많은 자갈들이 굳어 만들어진 역암을 많이 ... ...
- 1. 장마는 약해지고 국지성 호우 등장과학동아 l1999년 09호
- 우선 양적으로 과거의 기록에서 보기 힘든 많은 양이라고 한다. 최근에는 봄철에도 1백mm가 넘는 큰비가 온 적도 있었다. 또한 겨울철에도 춥지 않은 겨울이 16년째 계속되고 있는데, 이것을 단지 이상기상이라고 하면서 계속해서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일축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결국 ... ...
- 세계의 밀레니엄 로봇 퍼레이드과학동아 l1999년 09호
- 로봇회사로 공룡로봇, 곤충로봇, 자동판매로봇, 리셉션로봇, 음악로봇 등 지금까지 1천5백개의 로봇을 과학자들의 자문을 받아 선보였다. 수술보조로봇인간의 손으로 할 수 없는 미세한 수술을 할 때 의사를 돕는다. 간호로봇 지브병원은 특성상 24시간 잠시도 쉬지 않는다. 1996년부터 런던병원에 ... ...
- 아프리카에서 발견된 최초의 인간과학동아 l1999년 09호
- 리키가족에 대한 예의도 갖췄다.최근 생화학조사에 따르면 인류는 약 7백만년 전(5백만년 전-1천만년 전 사이)에 유인원과 분리됐다고 추측된다. 현재 인류화석으로 추정되는 가장 오래된 화석은 1992년 에티오피아 아라미스에서 발견된 4백40만년 전의 화석. 그러나 이 화석이 두발로 보행했는지는 ... ...
- 로그과학동아 l1999년 09호
- dB의 소리는 표준음의 세기의 1억배(${10}^{8}$)이고, 전기톱 소리를 나타내는 100dB의 소리는 1백억 배를 의미한다. 이 소리들이 얼마나 큰 소음인지 짐작할 수 있다.산성, 염기성 알려주는 수소이온농도, pH대기 오염의 결과로 산성비가 내리고, 토양이 산성화되고 있다는 소식을 종종 듣는데 이 때 ‘pH4. ... ...
- 초고속 광통신망 실현 앞당긴 전자동 광증폭기과학동아 l1999년 09호
- 50만 회선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데 비해 전자동 광증폭기는 1백가지의 빛을 증폭해 3백만 회선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해 김교수는 “안정성을 확보한 제품이 되려면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겸손해 하면서도 2003년 북미 전자동 광증폭기 수출시장 규모가 10억 달러라며 연구의 경제적 ... ...
- 공룡 몸집이 커진 이유과학동아 l1999년 09호
- 이러한 계산이 옳다면 “새로운 공룡을 발견할 수 있을까”라는 걱정은 앞으로 2백년 후에나 고려해 볼 문제이다.공룡 이름을 어떻게 발음해야 하나학명은 라틴어 또는 라틴어화된 글로만 쓰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학명은 원칙적으로 라틴어의 원래 발음대로 읽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 ...
이전2192202212222232242252262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