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귀성길 지긋지긋한 멀미, ‘모자’로 예방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기존의 먹는 약만큼 좋았고, 졸음 등 부작용은 오히려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아르샤드
박사
는 “스마트폰 이어폰 연결 부위에 전선을 꽂아서 작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라며 “5~10년 내로 상용화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 ...
[Knoledge]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론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등식이 성립하지 않는다. 흥미로운 점은 당시 케임브리지대에서 압두스 살람의 지도로
박사
학위논문을 쓰고 있던 로널드 쇼가 양-밀즈 이론과 거의 비슷한 형태의 이론을 만들어 학위논문에 포함시켰다는 사실이다. 안타깝게도 로널드 쇼의 연구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이후 전자기력과 약한 ... ...
[Knowledge] 더 지니어스의 생존법 : 인디언포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그만 끝내자.(독한 수학자들의 토론은 중국집에서도 이어졌다. 식사를 마치고 이승진
박사
가 기자를 집 근처에 데려다 줬는데 차안에서도 지니어스 이야기를 했다. 집 근처의 지하철역에 내려서야 기자의 길고긴 금요일 밤이 끝이 났다. ... ...
논문에서… 내 이름이 사라졌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문제를 봤을 때 전담자가 있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제보 바랍니다]구본경
박사
는 “저자권은 연구자의 기본권”이라고 말합니다. 인권처럼 연구자들이 반드시 되찾아야 할 기본적인 권리라는 말이지요. 저자권만 기본권은 아닙니다. 수많은 연구자들이 지금도 정당한 권리를 누리지 못하며 ... ...
신나는 지사탐 활동 시작!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차이점도요.이명렬
박사
님은 강의를 통해서 꿀벌과 밀원식물에 대해 알려 주셨어요. 이
박사
님은 “꿀벌의 밥인 밀원식물을 탐사하는 것은 꽃가루를 옮겨 생태계를 지키는 꿀벌을 보호하는 길”이라고 강조하셨지요. 또 김영재 연구원은 “해롭다고 귀화식물을 무작정 없애 버릴 것이 아니라, ... ...
[과학뉴스] 초대칭이론은 필요 없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예측하는 바와 완전히 일치한다”며 “다른 가설이 필요 없다”고 말했다. 윌킨슨
박사
는 “앞으로 몇 년 안에 아무런 증거가 나오지 않을 경우 초대칭이론은 위기에 처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물리학’ 7월 27일자에 실렸다 ... ...
[Hot Issue] 통계물리학 실험실에서 찾은 더 지니어스 생존법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누군가의 배신으로 결국엔 실패로 끝나긴 했지만 아이디어가 흥미로웠다.김영진 석
박사
통합과정(이하 김) : 제안대로 모두가 짜장면을 선택할 때 출연자 전체의 효용이 가장 크다. 마치 죄수의 딜레마에 빠진 죄수들이 서로를 믿고 배신하지 않을 때처럼 말이다. 하지만 한명이라도 배신을 하고 ... ...
[Knowledge] 머리 이식…과연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죽을 거라고 생각했던 것이다.반전은 20년 뒤에 일어났다. 대만계 의사인 앤드류 리
박사
팀이 하버드대병원과 연구한 결과 근육과 피부가 면역거부반응이 가장 높고 혈관이 가장 낮은데, 흥미롭게도 이들 모두가 함께 존재할 때는 면역거부반응이 훨씬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복합조직인 ...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따라 걷는 속도가 다른 이유도 이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미국 물리학자인 재클린 페리
박사
는 사람이 걸을 때 다리를 움직이는 과정을 관찰했다. 두 발이 번갈아 움직여 한 걸음을 걷는 데 걸리는 시간은 약 0.6초. 말과 마찬가지로 사람도 일정한 패턴을 수없이 반복해 움직인다.하지만 사람은 다른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위해 노력하고 있단다.”박테리아가 만드는 플라스틱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우한민
박사
팀은 지난 해 박테리아로 플라스틱을 만드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어요. 연구팀이 주목한 것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이라는 박테리아예요. 이 박테리아는 원래 대사를 한 후 아미노산을 내놓아요. ... ...
이전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