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점"(으)로 총 8,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토리텔링 교과서 뛰어넘기] 화합과 평화의 상징, 원형 탁자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중식당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원형 회전 식탁은 가운데 회전판이 있어 둘러앉은 사람들이 쉽게 반대편에 있는 음식을 먹을 수 있다. 더불어 사람들은 서로 얼굴을 마주보며 식사를 즐길 수 있다. 이뿐만이 아니라 각국 정상들이 모이는 국제회의에서도 동그란 탁자에 둘러앉은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2 똑똑한 드론의 임무 수행기!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작고 왜소한 다윗이 덩치 큰 골리앗을 쓰러뜨렸다는 유명한 일화가 있습니다. 비결은 지혜로움과 민첩함이었죠. 기존의 비행기가 골리앗이라면, 드론은 다윗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몸집은 손바닥 위에 올릴 수 있을 정도로 작지만, 지능이 뛰어난 드론은 웬만한 비행기로는 할 수 없는 다양한 임무 ... ...
- 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신비롭고 놀라운 프랑스의 곤충을 뛰어난 관찰력으로 오랫동안 지켜 본 장 앙리 파브르는 곤충학자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파브르 곤충기는 생동감 있는 곤충의 다채로운 삶을 사실적으로 전달해주는 최고의 곤충서다. 곤충의 생태를 꼼꼼하게 관찰해 정확하게 묘사했을 뿐 아니라 시적인 문장 ... ...
- “세상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학문, 컴퓨터공학”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빅데이터, 웨어러블, 사물인터넷. 미래의 기술에는 아직 해결하지 못한 문제가 많다. 전병곤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는 게 컴퓨터공학의 역할이라고 말한다. 지금도 세상의 미해결 문제와 씨름하고 있는 전 교수를 만나 컴퓨터공학의 매력을 물었다. [마이크로소프트사 ... ...
- 오감만족 수학 놀이터 군포수학체험관에 가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하늘은 맑고 시원한 바람이 분다. 소풍 가기 딱 좋은 날씨다. 그런데 숙제와 시험 때문에 놀러 나갈 수 없다고? 그럴때는 놀면서 공부하는 곳으로 가면 된다. 두 독자기자를 따라 수학을 감각적으로 배울 수 있는 놀이터로 가보자. 김주경, 이재교 독자기자가 찾은 곳은 경기도 군포시에 자리 잡은 ... ...
- [이달의 사물] 천일염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음식칼럼니스트로 유명한 황교익 씨가 최근 천일염에 불순물이 들어있다고 문제를 제기해 소금 업계가 발칵 뒤집혔습니다. 바닷물을 바람과 햇빛으로 말린다고 해서 천일염(天日鹽)이란 이름이 붙은 소금, 정말 비위생적인 걸까요?천일염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건 1907년입니다. 갯벌을 다져서 염전 ... ...
- [Knoledge]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론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일반상대성이론은 중력이론인 동시에 시간과 공간과 물질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이론의 유력한 후보다. 이때 일반적이라는 말은 모든 것을 일관되게 서술할 수 있다는 뜻이다. 여러 다양한 현상을 하나의 이론으로 통일해 설명할 수 있다면 그 이론은 더 진리에 가깝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렇 ... ...
- [Life & Tech] 하늘공원이 품은 것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연애 10개월, 어느덧 소년과 소녀는 햇빛 아래에서 데이트 하는 일이 뜸해졌습니다. 산으로 들로 쏘다니다 보니 전보다 아주 많이(?) 친해졌거든요. 때맞춰 세상도 참 편해졌습니다. 밤새 시험 공부를 할 때도, 딱히 데이트하러 갈 데가 없을 때도, 영화 한편 보고 싶을 때도 자놀자 오달수 선생을 부 ... ...
- [Life & Tech] 사찰 김치, 세계인의 보약 될까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요즘 서양에서 많이 주목받고 있는 김치가 사찰 김치, 즉 절에서 먹는 김치입니다.”광주 세계김치연구소에서 만난 박채린 연구개발본부장은 한창 김치 이야기를 하다 사찰 김치를 눈여겨보라고 기자에게 조언했다. 사찰 김치는 젓갈 등 동물성 재료는 물론 마늘, 파 등 자극이 강한 양념을 쓰지 ... ...
- 신나는 지사탐 활동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지구사랑탐사대 3기지구사랑탐사대 3기 발대식이 4월 25일 토요일 오후, 이화여자대학교 포스코관에서 열렸어요. 210여 명의 탐사대원들이 참여해 재미있는 강연도 듣고, 앞으로 진행할 탐사방법도 배웠답니다.발대식 다음 주인 4월 27일부터는 이화여대 장이권 교수님과 함께하는 청개구리·수원청 ... ...
이전219220221222223224225226227 다음